선사고고학에서 문화의 지역적 차이와 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집단 간 역동적인 교류와 시간적 흐름에 대한 적절한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청동기시대 송국리문화는 지역성 연구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595588
2016
-
충청지역 ; 송국리문화 ; 지역성 ; 다양성 ; 송국리식주거지 ; 핵심지역 ; Chung-cheong Region ; Songgukri Culture ; Spatiality ; Diversity ; Songgukri type dwelling ; Core-Area
911
KCI등재
학술저널
5-32(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선사고고학에서 문화의 지역적 차이와 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집단 간 역동적인 교류와 시간적 흐름에 대한 적절한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청동기시대 송국리문화는 지역성 연구를 ...
선사고고학에서 문화의 지역적 차이와 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집단 간 역동적인 교류와 시간적 흐름에 대한 적절한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청동기시대 송국리문화는 지역성 연구를 통하여 남한지역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문화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충청지역은 송국리문화의 핵심지역으로 인식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역 내 존재하는 소지역성(지역적 변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송국리문화가 어떠한 문화 접변과 확산과정을 통하여 충청지역에 확산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화요소들의 배치상황, GIS 밀도분석(Density), 수계검증을 통하여 지역구분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총 6개지역(1지역:서산·당진·홍성, 2지역 : 천안·아산, 3지역 : 청원·청주·진천, 4지역 : 보령·서천, 5지역 : 공주·부여, 6지역 : 대전·계룡)으로 충청지역을 구분할 수 있었으며 송국리문화 요소의 빈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던 5지역(공주·부여)을 충청지역 송국리문화의 핵심지역으로, 나머지 지역을 외곽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처럼 송국리문화를 구성하는 개별문화요소가 지역별로 상이하게 확인되는 것은 송국리문화가 완성된 형태로 핵심지역에 정착했거나, 외곽지역에서 핵심지역으로의 이동으로 요약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patiality holds a key post in the archeological study, and also in case of the research related to the Songguk-ri culture of Bronze Age, the study on spatiality is being made actively. In this paper, we intend to review the diversity of Songguk-ri ...
Spatiality holds a key post in the archeological study, and also in case of the research related to the Songguk-ri culture of Bronze Age, the study on spatiality is being made actively.
In this paper, we intend to review the diversity of Songguk-ri Culture representing the middle Bronze Age, and the region of study is established as Chung-cheong Region.
The previous studies of the diversity of Songguk-ri Culture have been performed not for the overall review of feature·artifact but for the center of the partial cultural factors. And most of the studies defined the regional differe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 type as the difference of type, or divide the region based on simple nature·geographical situations in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circle, and as a result, there occurred the circumstances to overlook the difference of individual cultural factors of unit regions.
Hereupon in this thesis, we aim to identify how the cultural factors forming Songgok-ri Culture spread in Chung-cheong Region through diverse cultural assimilation and diffusion process, and for this purpose, we divided Chung-cheong Region into 6 regions through
Especially, in this thesis, we classified the key region and peripheral region on the basis of the strength and ratio of Songgukri cultural factors, and pointed out Region 5(Gongju Buyeo region) showing the strongest frequency of Songgukri cultural factors as the Core-area of Songgukri culture of Chung-cheong Region.
Thus the situations where the aspect of Songgukri Culture is maintained as the mutually different forms by each region and the fact that the individual cultural factors are distributed diversely mean that the spread period and existence period were different by the reg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규, "梁山 所土里 松菊里文化 聚落" 경남고고학연구소 2005
2 박순발, "흔암리유형 형성과정 재검토" 호서고고학회 (1집) : 79-93, 1999
3 이형원, "호서지역 가락동유형의 취락구조와 성격" 호서고고학회 (17집) : 26-71, 2007
4 배진성, "한반도 주상편인석부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5 최성락, "한반도 마제석촉의 일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6 송만영, "한국농경문화의 형성" 학연문화사 2001
7 김원룡, "한국 반월형석도의 발생과 전개" 6 : 1972
8 안재호, "한국 농경사회의 성립" 43 : 2000
9 김장석, "충청지역의 선송국리 물질문화와 송국리 유형" 한국상고사학회 51 (51): 43-77, 2006
10 金壯錫, "충청지역 송국리유형 형성과정" 한국고고학회 51 : 33-56, 2003
1 최종규, "梁山 所土里 松菊里文化 聚落" 경남고고학연구소 2005
2 박순발, "흔암리유형 형성과정 재검토" 호서고고학회 (1집) : 79-93, 1999
3 이형원, "호서지역 가락동유형의 취락구조와 성격" 호서고고학회 (17집) : 26-71, 2007
4 배진성, "한반도 주상편인석부의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5 최성락, "한반도 마제석촉의 일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6 송만영, "한국농경문화의 형성" 학연문화사 2001
7 김원룡, "한국 반월형석도의 발생과 전개" 6 : 1972
8 안재호, "한국 농경사회의 성립" 43 : 2000
9 김장석, "충청지역의 선송국리 물질문화와 송국리 유형" 한국상고사학회 51 (51): 43-77, 2006
10 金壯錫, "충청지역 송국리유형 형성과정" 한국고고학회 51 : 33-56, 2003
11 쇼다신야, "청동기시대의 생산활동과 사회" 학연문화사 2009
12 안재호, "청동기시대 취락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13 김승옥, "청동기시대 주거지의 편년과 사회변천" 한국고고학회 (60) : 4-37, 2006
14 우정연, "중서부지역 송국리문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5 송만영, "중서부지방 무문토기문화의 전개" 10 : 1997
16 宋滿榮, "중기 무문토기시대 문화의 편년과 성격 : 서남한지방을 중심으로"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5
17 유병록, "제주도 송국리문화의 수용과 전개" 2010
18 노혁진, "유구석부 재검토" 57 : 2001
19 김범철, "쌀의 고고학 -한국 청동기시대 水稻作과 정치경제-" 민속원 2011
20 이종철, "송국리형 주거지에 대한 연구" 12 : 2000
21 안재호, "송국리유형의 검토" 11 : 1992
22 김승옥, "송국리문화의 지역권 설정과 확산과정" 호남고고학회 24 : 81-112, 2006
23 김장석, "송국리단계 저장시설의 사회경제적 의미" 한국고고학회 (67) : 4-39, 2008
24 손준호, "부여 송국리유적으로 본 한국 청동기시대 사회" 2010
25 안재호, "동북아 청동기문화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학연문화사 2009
26 禹姃延, "금강중류 남부 송국리유형 상한 재고- 송국리유적과 그 주변 유적을 중심으로" 호서고고학회 (23) : 144-179, 2010
27 김규정, "금강; 송국리형문화의 형성과 발전" 2006
28 김범철, "금강 중ㆍ하류역 송국리형 취락에 대한 가구고고학적 접근" 한국상고사학회 51 (51): 79-108, 2006
29 Robert D. Drennan, "고고학을 위한 기초통계학" 사회평론 2009
30 송만영, "계층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사회평론 2006
31 이건무, "韓國式銅劍文化의 硏究" 高麗大學校 1992
32 이홍종, "靑銅器社會의 土器와 住居" 서경문화사 1996
33 손준호, "靑銅器時代 磨製石器 硏究" 서경 2006
34 이수홍, "靑銅器時代 檢丹里類型의 考古學的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35 우정연, "錦江中流域 松菊里文化段階 社會의 威信構造에 대한 試論的 考察" 한국고고학회 (84) : 30-61, 2012
36 최성락, "考古學에 있어서 文化의 槪念" 22 : 1996
37 이백규, "漢江流域 前半期 민무늬토기의 編年에 대하여" 2 : 1986
38 김범철, "湖西地域支石墓의시·공간적특징" 한국고고학회 (74) : 46-75, 2010
39 이홍종, "湖西地域 無文土器의 變化와 編年" 호서고고학회 (23) : 110-143, 2010
40 이동휘, "湖西地域 松菊里文化 地域性 硏究"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4
41 황재훈, "湖西-湖南地域松菊里式土器의 時·空間性" 한국고고학회 (77) : 5-46, 2010
42 김규정, "湖南地域 靑銅器時代 聚落 硏究"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43 이종철, "湖南地域 松菊里型 住居文化" 한국상고사학회 42 (42): 1-30, 2002
44 이홍종, "松菊里文化의 時空的展開" 호서고고학회 (6집) : 77-104, 2002
45 이홍종, "松菊里文化의 文化接觸과 文化變動" 한국상고사학회 48 (48): 29-50, 2005
46 趙現鐘, "松菊里形土器에 대한 一考察" 弘益大學校 大學院 1989
47 이홍종, "松菊里式 土器文化의 登場과 展開" 4 : 1992
48 이청규, "南韓地方 無文土器文化의 展開와 孔烈土器文化의 位置" 1 : 1988
49 안재호, "南韓 前期 無文土器의 編年" 慶北大學校 1990
50 Clarke, David L, "Analitical Archaeology" Methuen 1968
5~6세기 서남부지역 수장묘를 통해 본 백제와 왜의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6 | 1.438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