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정규직 고용이 산업재해를 이야기 할 수 있는가? = Does the use of contingent employment invoke the industrial accid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366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비정규직 고용이 산업재해를 유발한다는 주제는 외국에서는 자주 주장 되어온 바이지만 국내에선 이에 대한 선행 연구가 매우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4개년치 사업체 패널 자료를 근간으로 해 이 주제를 분석하였다. 비정규직을 직접고용과 간접고용으로 나누고 직전년도 산업재해 유무와 산재 인정자수를 종속변수로 한 패널 회귀 분석을 실행한 결과 직접고용은 산업재해 유무와 산재인정자수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간접고용은 산재인정 자수에만 정의 영향을 주었다. 외국의 연구에서는 직접고용보다 간접고용이 산재에 미치는 영향이 두드러질 것이란 주장과 논의가 자주 제기된 반면, 본 분석결과에서는 의외로 직접고용과 간접고용이 큰 차별성이 없이 모두 산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에 대하여 다양한 토론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비정규직 고용이 산업재해를 유발한다는 주제는 외국에서는 자주 주장 되어온 바이지만 국내에선 이에 대한 선행 연구가 매우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4개년치 사업체 ...

      비정규직 고용이 산업재해를 유발한다는 주제는 외국에서는 자주 주장 되어온 바이지만 국내에선 이에 대한 선행 연구가 매우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4개년치 사업체 패널 자료를 근간으로 해 이 주제를 분석하였다. 비정규직을 직접고용과 간접고용으로 나누고 직전년도 산업재해 유무와 산재 인정자수를 종속변수로 한 패널 회귀 분석을 실행한 결과 직접고용은 산업재해 유무와 산재인정자수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간접고용은 산재인정 자수에만 정의 영향을 주었다. 외국의 연구에서는 직접고용보다 간접고용이 산재에 미치는 영향이 두드러질 것이란 주장과 논의가 자주 제기된 반면, 본 분석결과에서는 의외로 직접고용과 간접고용이 큰 차별성이 없이 모두 산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에 대하여 다양한 토론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the topic that the use of contingent worker would invoke industrial accident at the workplace was asserted by the prior researches in the foreign country, there have been few Korean researches searching for this topic. This study analyzed empirically the panel workplace survey data provided by Korea labor Institute, searching for this topic. The panel data was composed of 4 yearly data(2011, 2009, 2007, 2005). The contingent employment was classified as the direct-hired and the indirect-hired. The analytic result reported that the direct-hired made positive impacts on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nd the recognized number of workers who experienced industrial accidents, meanwhile, the indirect-hired made a positive impact on the recognized number of workers who experienced industrial accidents. this result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e assertion of the prior researches in the foreign country. Lastly, some discuss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suggested.
      번역하기

      Although the topic that the use of contingent worker would invoke industrial accident at the workplace was asserted by the prior researches in the foreign country, there have been few Korean researches searching for this topic. This study analyzed emp...

      Although the topic that the use of contingent worker would invoke industrial accident at the workplace was asserted by the prior researches in the foreign country, there have been few Korean researches searching for this topic. This study analyzed empirically the panel workplace survey data provided by Korea labor Institute, searching for this topic. The panel data was composed of 4 yearly data(2011, 2009, 2007, 2005). The contingent employment was classified as the direct-hired and the indirect-hired. The analytic result reported that the direct-hired made positive impacts on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nd the recognized number of workers who experienced industrial accidents, meanwhile, the indirect-hired made a positive impact on the recognized number of workers who experienced industrial accidents. this result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e assertion of the prior researches in the foreign country. Lastly, some discuss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배경
      • Ⅲ. 연구방법론
      • Ⅳ. 분석결과
      • Ⅴ. 정리 및 토론
      • Ⅰ. 서론
      • Ⅱ. 연구배경
      • Ⅲ. 연구방법론
      • Ⅳ. 분석결과
      • Ⅴ. 정리 및 토론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