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35종 해조류 추출물의 병원성 세균 및 Candida sp.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 평가 =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35 Seaweed Extract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Candida s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04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ourse of this study aimed at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from seaweeds, the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35 different seaweeds (17 phaeophyta, 11 rhodophyta and 7 chlorophyta) were det...

      In the course of this study aimed at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from seaweeds, the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35 different seaweeds (17 phaeophyta, 11 rhodophyta and 7 chlorophyta) were determined against food-borne diseases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including multi-drug resistant (MDR) Pseudomonas sp. and Candida sp. Based on disc-diffusion assays at 500 g/disc concentration of the methanol extracts, Ishige okamurai, I. foliacea, Sargassum confusum, and S. yamade exhibit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ies in a broad-spectrum, except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In addition to the latter four seaweeds, Ecklonia stolonifera, E. cava and Eisenia bicyclis also demonstrat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 albicans. Among these 8 selected seaweeds, I. okamurai, I. foliacea, and S. yamade exhibited strong hemolytic activity (55-93%) at 500 g/ml against human RBC. Organic solvent sequential fractions using hexane, ethylacetate and butanol, and water residues were prepared from the 8 selected seaweeds and their anti-Candida sp. activities were further determined. The ethylacetate and butanol fraction of I. okamurai, and the hexane fraction of I. foliacea demonstrat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DR-pathogenic Candida sp. Although the solvent fractions had no activity against MDR-Pseudomonas sp., our results suggest that seaweeds, especially Ishige okamurai, I. foliacea, S. confusum, and S. yamade could be developed as broad-spectrum antimicrobial ingredi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범, "해조류에 의한 아질산염 소거활성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293-1296, 2005

      2 최익원, "해조류(Laminaria species, Ecklonia stolonifera, Gelidium amansii, Undaria pinnatifida)에 의한 중금속 생물흡착 특성" 한국환경농학회 24 (24): 370-378, 2005

      3 오재근,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 섭취가 혈액학적 성분과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2 (42): 895-904, 2003

      4 진형주, "해조류 추출물로부터의 Photosensitizing 효과를 지니는 항 적조물질 탐색" 한국수산과학회 40 (40): 122-127, 2007

      5 정인학, "해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097-1101, 2006

      6 차명화, "해조류 건강 기능 식품에 대한 소비가치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3 (23): 462-468, 2008

      7 주동식, "해조 올리고당 음료의 고지혈증 유도 쥐에 있어서 혈청 및 간장의 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1364-1369, 2003

      8 류희영, "항생제 다제내성 Pseudomonas aeruginosa 및 Candida균주에 대한 산사자의 항균 활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8 (38): 77-83, 2010

      9 류희영, "한약재의 항균 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8 (38): 190-197, 2010

      10 강소영, "한국산 해조류의 어류병원성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한국어병학회 18 (18): 147-156, 2005

      1 박영범, "해조류에 의한 아질산염 소거활성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293-1296, 2005

      2 최익원, "해조류(Laminaria species, Ecklonia stolonifera, Gelidium amansii, Undaria pinnatifida)에 의한 중금속 생물흡착 특성" 한국환경농학회 24 (24): 370-378, 2005

      3 오재근,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 섭취가 혈액학적 성분과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2 (42): 895-904, 2003

      4 진형주, "해조류 추출물로부터의 Photosensitizing 효과를 지니는 항 적조물질 탐색" 한국수산과학회 40 (40): 122-127, 2007

      5 정인학, "해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097-1101, 2006

      6 차명화, "해조류 건강 기능 식품에 대한 소비가치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3 (23): 462-468, 2008

      7 주동식, "해조 올리고당 음료의 고지혈증 유도 쥐에 있어서 혈청 및 간장의 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1364-1369, 2003

      8 류희영, "항생제 다제내성 Pseudomonas aeruginosa 및 Candida균주에 대한 산사자의 항균 활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8 (38): 77-83, 2010

      9 류희영, "한약재의 항균 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8 (38): 190-197, 2010

      10 강소영, "한국산 해조류의 어류병원성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한국어병학회 18 (18): 147-156, 2005

      11 임은정, "파래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과 항암 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7-14, 2008

      12 강민철, "제주도 근해에 자생하는 참가죽그물바탕말 (Dictyota coriacea) 추출물의 멜라닌 억제 효과 및 항염증 효과" 한국생물공학회 23 (23): 311-316, 2008

      13 박덕훈, "제주 자생 해양식물들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연구" 대한화장품학회 34 (34): 201-207, 2008

      14 손호용, "재배마 (Dioscorea batatas Decne)의 주아로부터 분리된 phenanthrene 유도체의 항진균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16 (16): 647-652, 2006

      15 이은하, "왜모자반 (Sargassum yezoense)에서 분리한 화합물의 α-glucosidase 및 산화스트레스 억제효과" 한국생약학회 40 (40): 150-154, 2009

      16 배송자, "서실의 항산화, 항균효과 연구" 한국생명과학회 14 (14): 411-416, 2004

      17 Chamilani Nikapitiya, "발효된 식용갈조류(Laminaria ochotensis)로부터 항응고 활성을 가지는 다당체의 분리 및 정제" 한국양식학회 19 (19): 33-39, 2006

      18 배송자, "모자반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항발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480-486, 2004

      19 김병주, "다제내성 결핵 균주에서 리팜핀과 리파부틴간의 교차내성률 및 rpoB 유전자 돌연변이와의 연관성"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60 (60): 171-179, 2006

      20 이미숙, "다섯 가지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활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451-459, 2005

      21 박영길, "결핵균에서 gyrA 유전자 돌연변이에 따른 Fluoroquinolone계 약제들의 교차내성"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59 (59): 250-256, 2005

      22 조은경, "감태 열수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0 (20): 1675-1682, 2010

      23 Lim, C. W, "Structure and some properties of the antimicrobial compounds in the red alga, Symphylocladia latiuscula" 33 : 280-287, 2000

      24 Lee, H. S., "Preparation of antibacterial agent from seaweed extract and its antibacterial effect" 33 : 32-37, 2000

      25 손호용, "Candidiosis 치료제 개발을 위한 약용 및 야생 식물의 항진균 활성의 검색" 한국생명과학회 13 (13): 604-617, 2003

      26 Kim, J. H, "Antibacterial activity of sea-mustard, Laminaria japonica extracts on the cari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35 : 191-195, 2002

      27 Lee, H. O,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algae" 32 : 427-431, 1999

      28 안선미, "35종 해조류 추출물의 in-vitro 항혈전 활성 평가" 한국생명과학회 20 (20): 1640-164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5-09-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5 0.97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