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기도 G시 위스타트 5년 사업 성과 평가 = Outcome Evaluation of the We-Start Project Implemented in G City, Gyeonggi-do over the Past 5 Years (2007∼2011) -Quantitative Analysis Utilizing Comparison Grou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506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2년 현재 위스타트 사업이 시작된 지 5년이 된 경기도 G시를 대상으로 위스타트 사업의 성과를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해당지역 위스타트 사업 대...

      본 연구는 2012년 현재 위스타트 사업이 시작된 지 5년이 된 경기도 G시를 대상으로 위스타트 사업의 성과를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해당지역 위스타트 사업 대상 아동과 양육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이 사업이 목표로 하는 광범위한 영역에 대해 2012년 2월 말부터 3월 초까지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비동일통제집단사후검사설계에 기반한 본 연구는 분석 방법으로 독립표본 t-검정과 교차분석을 주로 사용하였다. 위스타트 참여집단과 비교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검증된 결과를 중심으로 주요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스타트 참여 아동이 비교집단 또래 보다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양호하였으며 학령기아동의 경우 비교집단 보다 더 건강한 식습관을 갖고 있었다. 둘째, 위스타트 참여 아동들은 비교집단 아동들보다 사회적 위축 정도, 우울 및 불안 감정의 정도가 더 낮았으며 학습습관은 더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위스타트 대상 아동의 주양육자들은 비교집단 보다 양육스트레스와 무망감 정도가 더 낮았다. 또한 아동의 아버지 집단에서 음주문제 역시 비교집단 보다 더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양육행동과 관련하여 위스타트 참여 아동의 주양육자들은 비교집단 보다 아동의 학교과제 및 준비물을 더 자주 점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부분에서는 본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함의와 함께 위스타트 사업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제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We-Start Project implemented in S1-Dong, G City, Gyeonggi-do over the past 5 years. We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in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We-Start partic...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We-Start Project implemented in S1-Dong, G City, Gyeonggi-do over the past 5 years. We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in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We-Start participants and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their counterparts living in a neighboring district. Data were collected between the end of February and early March, 2012.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Primar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ject were more likely to be in good health, when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e-Start participants aged 7-12 were found to have better eating habits than the comparison group. (2)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gram showed lower levels of depressive mood and feeling of loneliness than their peers in the comparison group. Furthermore, children in the We-Start program, on average, ha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the We-Start Project implemented in S1-Dong, G City, Gyeonggi-do over the past 5 years. We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in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We-Start participants and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their counterparts living in a neighboring district. Data were collected between the end of February and early March, 2012.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Primar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ject were more likely to be in good health, when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We-Start participants aged 7-12 were found to have better eating habits than the comparison group. (2)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gram showed lower levels of depressive mood and feeling of loneliness than their peers in the comparison group. Furthermore, children in the We-Start program, on average, had better study habits than the comparison group. (3) Parents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gram reported low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and feeling of helplessnes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4) In terms of good parenting, parents participating in the We-Start project checked and supported their children's homework more frequently than the parents in the comparison group. Lastly,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We-Start Projects and for future stud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순희, "한국의 인적자본투자 성과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11

      2 조은상, "인적자원개발 : 다학문적 접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1-213, 2001

      3 이봉주, "인적자본과 불평등,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위스타트 운동본부 2006

      4 방소영, "위스타트(We Start)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수용·표현 언어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9 (49): 51-66, 2011

      5 황혜정, "위스타트(We Start) 가정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9 (49): 55-66, 2011

      6 김효진, "빈곤이 아동에게 주는 영향 분석" 139 : 33-42, 2008

      7 김미숙, "빈곤아동을 위한 미국 Head Start와 영국 Sure Start 고찰" 12 : 129-137, 2006

      8 김선숙, "빈곤아동 심리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WE Start 대상아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봉주, "메타분석을 통한 위스타트 프로그램의 성과" 위스타트 운동본부 2009

      10 박찬화, "그림책읽기 언어중재프로그램이 저소득 가정 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1 강순희, "한국의 인적자본투자 성과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11

      2 조은상, "인적자원개발 : 다학문적 접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1-213, 2001

      3 이봉주, "인적자본과 불평등,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위스타트 운동본부 2006

      4 방소영, "위스타트(We Start)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유아들의 수용·표현 언어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9 (49): 51-66, 2011

      5 황혜정, "위스타트(We Start) 가정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9 (49): 55-66, 2011

      6 김효진, "빈곤이 아동에게 주는 영향 분석" 139 : 33-42, 2008

      7 김미숙, "빈곤아동을 위한 미국 Head Start와 영국 Sure Start 고찰" 12 : 129-137, 2006

      8 김선숙, "빈곤아동 심리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WE Start 대상아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봉주, "메타분석을 통한 위스타트 프로그램의 성과" 위스타트 운동본부 2009

      10 박찬화, "그림책읽기 언어중재프로그램이 저소득 가정 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11 김신영, "교육복지 대상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교육복지 우선지원사업과 WE Start 사업의 비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12 Willingham, D. T., "Why does family wealth affect learning" American Educator. Spring 33-39, 2012

      13 염미경, "We Start센터 이용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14 김명숙, "We Start 프로그램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We Start 삼척마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1

      15 Brooks-Gunn, J.,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 7 (7): 55-71, 1997

      16 Calley, N. G., "Program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age 2010

      17 Garrett, P., "Poverty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and the quality of their home environments" 65 (65): 231-245, 1994

      18 Timmreck, T. C., "Planning,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Jones & Bartlett Learning 2002

      19 Chazan-Cohen, R., "Low-income children's school readiness : Parent contributions over the first five years" 20 (20): 958-977, 2009

      20 Korenman, S., "Long-term poverty and child development" 17 (17): 127-155, 1995

      21 Becker, G. S., "Investment in human capital : A theoretical analysis" 70 : 8-49, 1962

      22 Schultz, T. W, "Investment in human capital" 51 : 1-17, 1961

      23 Olaniyan, D. A., "Human capital theory: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development" 24 (24): 157-162, 2008

      24 Becker, G. S., "Human capital :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25 Yeung, W. J., "How money matters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Parental investment and family processes" 73 (73): 1861-1879, 2002

      26 Craske, M. 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

      27 Conger, R. D., "An interactionist perspective on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human development" 58 : 175-199, 2007

      28 Conger, R. D., "A family process model of economic hardship and adjustment of early adolescent boys" 63 : 526-541, 1992

      29 통계청,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보도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1.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5 2.11 2.512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