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남진, "행정법 Ⅱ" 법문사 1992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총론․재량활동-"
3 이기우, "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개선방안" 24 : 33-47, 1997
4 조성일, "지방교육자치제도론" 양서원 1998
5 김용일, "지방교육자치의 현실과 이상" 문음사 2001
6 정영수, "지방교육자치 내실화를 위한 관련 법령 개편 연구" 교육과학기술부지정 중점연구소 지방교육연구센터 2008
7 국회사무처 입법조사국, "주요국의 교육자치제도(입법부 참고자료 제279호)"
8 이시우, "자율화와 다양화 실현을 위한 교육법령 개정방향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9 고전, "일본교육개혁 흑․백서" 학지사 2003
10 김범주, "신교육법" 지정 2001
1 김남진, "행정법 Ⅱ" 법문사 1992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총론․재량활동-"
3 이기우, "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개선방안" 24 : 33-47, 1997
4 조성일, "지방교육자치제도론" 양서원 1998
5 김용일, "지방교육자치의 현실과 이상" 문음사 2001
6 정영수, "지방교육자치 내실화를 위한 관련 법령 개편 연구" 교육과학기술부지정 중점연구소 지방교육연구센터 2008
7 국회사무처 입법조사국, "주요국의 교육자치제도(입법부 참고자료 제279호)"
8 이시우, "자율화와 다양화 실현을 위한 교육법령 개정방향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9 고전, "일본교육개혁 흑․백서" 학지사 2003
10 김범주, "신교육법" 지정 2001
11 교육인적자원부,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Ⅷ)-총론비교-"
12 교육과학기술부,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Ⅵ)-종합편-"
13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14 부산광역시교육청, "부산광역시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15 안병준, "법령체계와 입법절차"
16 교육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기준 : 총론(1954-1997)"
17 정영근, "국가 교육과정 관련 문서체제 개선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18 김종철,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4
19 남정걸,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교육과학사 1991
20 박재윤, "교육부문 행정권한 위임 및 이양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21 박창언, "교육과정심의회의 법적 성격과 역할"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37-156, 2007
22 박순경, "교육과정‘지역화’의 흐름과 자리매김"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85-105, 2010
23 함수곤, "교육과정 효율적 운영을 위한 관련 법령 및 정책개선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2
24 강인수,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법체제 정비방향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25 박채형, "교육과정 지역화의 성격과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6-132, 2003
26 류충현, "교육․과학기술법규의 체계화를 위한 법제 정비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27 경기도교육청, "경기도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28 兼子 仁, "敎育法" 有斐閣 1989
29 紙野健二, "敎育事務配分法制の總合的檢討, In 敎育の地方自治" エイデル硏究所 66-104, 1981
30 日本敎育法學會, "敎育の地方自治" エイデル硏究所 1981
31 竹內俊子, "敎育にける地方分權, In 敎育改革と地方分權" 有斐閣 76-85, 1999
32 敎育法規硏究會, "學習指導要領の法的批判" 勁草書房 1970
33 광주광역시교육청, "2011학년도 광주광역시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34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