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과정의 지방자치를 위한 국가 권한의 문제와 과제 = Problems and issues of national competence for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in curriculum fiel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596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as stated in curriculum fields. The gist of the discussion centers on the legal regulations in the authority distribu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contends that autonomy of the curriculum administration is an essential part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refore should have citizen control and organization autonomy. The local self-government for curriculum fields is prescribed to the Act on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re delinea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legal aspect of carrying out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in curriculum fields are here discussed. The law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law for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and the National Curriculum are all discussed in terms of the need to bind the allocation of the curriculum administration power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to law.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as stated in curriculum fields. The gist of the discussion centers on the legal regulations in the authority distribu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as stated in curriculum fields. The gist of the discussion centers on the legal regulations in the authority distribu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contends that autonomy of the curriculum administration is an essential part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refore should have citizen control and organization autonomy. The local self-government for curriculum fields is prescribed to the Act on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re delinea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issu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legal aspect of carrying out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in curriculum fields are here discussed. The law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e law for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and the National Curriculum are all discussed in terms of the need to bind the allocation of the curriculum administration power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to law.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진, "행정법 Ⅱ" 법문사 1992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총론․재량활동-"

      3 이기우, "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개선방안" 24 : 33-47, 1997

      4 조성일, "지방교육자치제도론" 양서원 1998

      5 김용일, "지방교육자치의 현실과 이상" 문음사 2001

      6 정영수, "지방교육자치 내실화를 위한 관련 법령 개편 연구" 교육과학기술부지정 중점연구소 지방교육연구센터 2008

      7 국회사무처 입법조사국, "주요국의 교육자치제도(입법부 참고자료 제279호)"

      8 이시우, "자율화와 다양화 실현을 위한 교육법령 개정방향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9 고전, "일본교육개혁 흑․백서" 학지사 2003

      10 김범주, "신교육법" 지정 2001

      1 김남진, "행정법 Ⅱ" 법문사 1992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총론․재량활동-"

      3 이기우, "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개선방안" 24 : 33-47, 1997

      4 조성일, "지방교육자치제도론" 양서원 1998

      5 김용일, "지방교육자치의 현실과 이상" 문음사 2001

      6 정영수, "지방교육자치 내실화를 위한 관련 법령 개편 연구" 교육과학기술부지정 중점연구소 지방교육연구센터 2008

      7 국회사무처 입법조사국, "주요국의 교육자치제도(입법부 참고자료 제279호)"

      8 이시우, "자율화와 다양화 실현을 위한 교육법령 개정방향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9 고전, "일본교육개혁 흑․백서" 학지사 2003

      10 김범주, "신교육법" 지정 2001

      11 교육인적자원부,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Ⅷ)-총론비교-"

      12 교육과학기술부,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Ⅵ)-종합편-"

      13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14 부산광역시교육청, "부산광역시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15 안병준, "법령체계와 입법절차"

      16 교육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기준 : 총론(1954-1997)"

      17 정영근, "국가 교육과정 관련 문서체제 개선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18 김종철,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4

      19 남정걸,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교육과학사 1991

      20 박재윤, "교육부문 행정권한 위임 및 이양 실태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4

      21 박창언, "교육과정심의회의 법적 성격과 역할"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37-156, 2007

      22 박순경, "교육과정‘지역화’의 흐름과 자리매김"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85-105, 2010

      23 함수곤, "교육과정 효율적 운영을 위한 관련 법령 및 정책개선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2

      24 강인수,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법체제 정비방향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25 박채형, "교육과정 지역화의 성격과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6-132, 2003

      26 류충현, "교육․과학기술법규의 체계화를 위한 법제 정비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8

      27 경기도교육청, "경기도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28 兼子 仁, "敎育法" 有斐閣 1989

      29 紙野健二, "敎育事務配分法制の總合的檢討, In 敎育の地方自治" エイデル硏究所 66-104, 1981

      30 日本敎育法學會, "敎育の地方自治" エイデル硏究所 1981

      31 竹內俊子, "敎育にける地方分權, In 敎育改革と地方分權" 有斐閣 76-85, 1999

      32 敎育法規硏究會, "學習指導要領の法的批判" 勁草書房 1970

      33 광주광역시교육청, "2011학년도 광주광역시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34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1 2.81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5 2.69 3.5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