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주택공급은 인접지역 주민들과의 사회적 고립, 빈민지역으로의 낙인, 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등 지역내에서 다양한 반대여론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임대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12459
서울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학위논문(석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택도시대학원 , 주택도시개발·관리학과 , 2018
2018
한국어
596 판사항(6)
647 판사항(23)
서울
v, 52장 : 삽화, 도표 ; 30 cm
지도교수: 박병규
권말부록: 청년주택 보급에 따른 주민인식에 관한 연구 ; 청년주택 수립 관련 조례(서울시) ; 청년주택 공급 관련 조례(서울시)
참고문헌: 장 42-4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청년주택공급은 인접지역 주민들과의 사회적 고립, 빈민지역으로의 낙인, 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등 지역내에서 다양한 반대여론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임대주...
청년주택공급은 인접지역 주민들과의 사회적 고립, 빈민지역으로의 낙인, 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등 지역내에서 다양한 반대여론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임대주택인 청년주택의 성공적인 추진과 정책의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실증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정책과 선행연구 등을 문헌자료를 분석하고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추가로 현장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실적으로 이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청년주택 사업촉진지구 10곳 중에서 선정하여 2차례에 걸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취합하여 청년주택과 지역주민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의 정책 인지정도는 연구대상지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이 전반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청년주택 건설의 찬반에 대한 설문은 반대 의견이 절반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주민 거주지에서 청년주택 입지 거리와 소요시간에 연관된 찬반의견을 조사한 결과 30분 이상의 거리에 입지하는 경우에만 절반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청년주택에 입주하게 될 입주민과 기존 거주자간 교류의사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입주 후 활발하게 교류하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청년주택에 대한 주민이 느끼는 이미지는 청년주택을 안전, 편리한 주거공간, 매우 실용적인 주거공간 등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청년주택 건립에 따른 주민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종합한 결과, 청년주택 입지에 대하여 반대하는 의견이 많았으며, 반대 이유로는 개인 사유재산에 대한 가치하락과 함께 인근지역 임대시장에 대한 악영향을 우려하는 의견이 다수였다. 이 연구는 현장 조사를 통하여 지역주민의 느낌을 파악하여 갈등 해소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현재 시행 중인 청년주택정책의 성공적인 연착륙을 위하여 추후 시행하게 될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와 지역주민과의 갈등해소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