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AI 기반 적응형 시스템이 지역 대학의 교육환경에 적용되고 활용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AI 적응형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써 선행연구와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93166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81-212(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I 기반 적응형 시스템이 지역 대학의 교육환경에 적용되고 활용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AI 적응형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써 선행연구와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
본 연구는 AI 기반 적응형 시스템이 지역 대학의 교육환경에 적용되고 활용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AI 적응형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써 선행연구와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구체적인 구축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AI 적응형 시스템은 학습자의 지식과 학습 수준을 진단하여 개별화된 맞춤형 학습 지원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 격차 해소 및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지역의 S대학에서는 다양한 학생들의 맞춤형 관리를 위한 AI 학사관리시스템으로 활용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이 연구는 AI 적응형 학습의 잠재력에 대한 이론적 통찰력을 제공하며, S대학교의 AI 적응형 시스템에 적합한 모델을 제안하고 AI 적응형 시스템 구현을 위한 윤리적 고려 사항 등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growing interest in AI tools for educational settings, research on implementing and utilizing AI-enabled adaptive learning systems in Korean universities remains largely unexplored.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examining an AI adaptive learni...
With growing interest in AI tools for educational settings, research on implementing and utilizing AI-enabled adaptive learning systems in Korean universities remains largely unexplored.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examining an AI adaptive learning system in the context of S University.The study employed corpus analysis methods, using Python programming for frequency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followed by a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s indicate that an AI adaptive learning system is crucial for creating a personalized learning environment by diagnosing individual learners’ knowledge and adjusting content accordingly. Thes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insights into the potential of AI adaptive learning as an effective tool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a model suitable for an AI adaptive system at S University and provides general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I adaptive systems.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인공지능과 윤리규범에 대한 인식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