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고대시기의 族姓과 가바네(姓)는 사회적인 신분을 상징하는 보이지 않는 표식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賜姓이 천황의 全權으로 이루어지는 天恩이라면, 改・賜 姓청원은 청원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 고대시기의 族姓과 가바네(姓)는 사회적인 신분을 상징하는 보이지 않는 표식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賜姓이 천황의 全權으로 이루어지는 天恩이라면, 改・賜 姓청원은 청원자...
일본 고대시기의 族姓과 가바네(姓)는 사회적인 신분을 상징하는 보이지 않는 표식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賜姓이 천황의 全權으로 이루어지는 天恩이라면, 改・賜 姓청원은 청원자들의 요청과 천황의 승인 과정을 거치는 천황↔청원자간의 쌍방향적인구조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도래계 씨족들의 개・사성 청원은 ‘선조 도래의 연혁과 일본 조정의 귀화’ 라는 공통적인 내용을 담아 씨족의 정체성을 증명하며 사성 청원의 정당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奈良시대 중기까지의 개・사성 청원은 도래계에 대한 집단사성 정책과 연동되면서, 청원의 결과가 씨족질서의 재편으로까지는 이어지지 않았다.
그런데 桓武조에서는 상위 가바네에 대한 강한 願望을 가진 大和조정 시기부터의 구도래계 씨족을 중심으로 개・사성 청원이 증가하게 된다. 이들 대부분이 ‘宿禰’에 사성된 바와 같이, 도래계의 가바네의 상한은 宿禰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씨성제 질서에서 벗어난 것이 칸무천황의 寵臣인 津連眞道(쯔노무라지 마미치)에 대한 ‘菅野朝臣’사성이었다. 마미치는 칸무조의 모계 혈통의 격상작업에 편승하며, 백제국 왕의 혈통으로 자신의 계보를 윤색한 측면도 있었지만, 뛰어난 才技와 함께 시류를 간파할 수 있는 안목이 있었다. 여타씨족의 청원이 현재의 가바네에 대한 불만을 암묵적으로 표했다면, 마미치는 칸무조부터 본격화되는 숭문의 풍조 속에서 ‘⽂’을 전면에 내세우며, 백제왕족 후예로서의 우월한 出自→가문의 형성(葛井, 船, 津씨)→가문의 인정(國史 및 家 牒詳載)→가문의 계승(家傳⽂雅)과 같이, 과거-현재-미래로 계승되는 名家를 부각시키면서, 사성의 타당성을 논리정연하게 주장하였다. 마미치의 ‘菅野朝臣’사성을 계기로‘本出一祖’ 의 葛井・船・津씨가 菅野朝臣 으로 통합되어 가며, 平安귀족 사회에서 菅野씨가 도래계의 주류씨족으로 부상하는 등, 전체적인 씨족질서가 재편되는 새로운 양상을맞이하게 된다. 즉 헤이안 시대의 씨족질서의 새로운 전환점이 된 마미치의 菅野朝臣 사성이야말로, 칸무천황의 ‘侍臣, 寵臣’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貴須王’의 후예로서의‘菅野’ 가문의 성립이라는 측면에서 특별한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ra of Emperor Kanmu(桓武) in ancient Japan, the old immigrant clans who had arrived during the Yamato court(大和朝廷) period sought higher-ranking kabane(姓), resulting in an increase in petitions for title conferrals. Most petitioners ...
In the era of Emperor Kanmu(桓武) in ancient Japan, the old immigrant clans who had arrived during the Yamato court(大和朝廷) period sought higher-ranking kabane(姓), resulting in an increase in petitions for title conferrals. Most petitioners from these immigrant clans were granted the title ‘sukune(宿禰)’. However, Tsuno Muraji Mamichi(津連眞道), favored by Emperor Kanmu, was exceptionally granted the highest title of ‘sugano ason(菅野朝臣)’. Mamichi, reflecting the literary trends valued during Emperor Kanmu’s reign, prominently emphasized culture and learning while logically asserting his superior lineage and historical heritage as a descendant of the royal family of Baekje(百濟).
The ason title granted by Emperor Kanmu to Mamichi, although deviating from the established clan-name system, can be seen as both a recognition of Mamichi’s individual abilities and a formal endorsement of the future Sugano clan. This is supported by the changes in noble appointments observed from the mid-9th century onward. While the Baekje royal descendants, who had held a dominant position in promotions since the Nara period, began to decline, the Sugano clan’s influence significantly grew. Members of the Sugano clan, with their exceptional scholarship, increasingly participated in imperial court events, including lectures for the emperor, poetry composition, and public readings.
Additionally, the unification of Baekje-descended clans under the title Sugano Ason allowed them to establish a prominent position within the Heian(平安) aristocracy as a leading immigrant lineage. In this sense, Mamichi’s conferral of the ason title holds significant meaning, marking the foundation of the Sugano clan as descendants of King Kisū(貴須王).
보편 종교의 ‘특수한’ 자리 잡기-한국 천주교회의 기원 논쟁과 최근의 논점들-
로봇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하나의 답변-윤리적 행동주의에 대한 비판적 소고-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나타난 배설과 구토의 의미
의로움의 빛과 그림자-‘의로운 기생(義妓)’ 이야기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