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체험한 학생들을 추적조사하여 국내 교육 정책과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유학년제 실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20966
2020
-
자유학기제 ; 교육정책 ; 질적연구 ; 8년연구 ; 교육과정 ; free semester system ; education policy ; FGI ; qualitative research ; 8 years of research ; education system
373
KCI등재
학술저널
921-951(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체험한 학생들을 추적조사하여 국내 교육 정책과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유학년제 실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이...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체험한 학생들을 추적조사하여 국내 교육 정책과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유학년제 실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대상자 표집에 있어 우선적으로 2013년 전국의 42개의 연구학교에서 자유학기제를 체험한 학생들을 공개모집하였다. 구체적으로 눈덩이 표집을 거쳐 일차로 7명을 모집했다. 이후 자료 포화도를 위해 2차 추천을 받아 7명을 추가로 모집하여 총 14명을 표집하였다. 자료 조사를 위한 면담일정은 다음과 같았다. 7명씩 총 4회기에 걸쳐 2018년 8월부터 9월까지 두 달간 면담을 실시했으며 학생들의 일일 스케쥴을 고려하여 인터뷰 시간은 각 회기마다 50분 내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 번째, 자유학기제는 연구 참여자들에게‘지필고사로 부터의 자유’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교육 불평등의 해소에는 의문을 남겼으며 수행평가과정에 있어서 ‘무임승차’,‘평가에 대한 불신’등 다양한 문제점을 노출하였다. 두 번째, 자유학기제를 통해서 연구 참여 학생들은 자신의 꿈과 끼를 키울 수 있었는지 혹은 진로 선택에 영향을 받았는가에 대한 답은 모두 ‘아니었다’. 대신 진로 결정에 있어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부모와 가족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지금까지의 자유학기제는 한학기 제공된 일회성 프로그램에 지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의견과 함께 이전에 실시되었던 우리나라 교육제도와의 비교현상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이 체험하고 인식한 자유학기제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현장의 일부 탐색할 수 있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omestic education policies and practices by tracking down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goal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chool year. For this p...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omestic education policies and practices by tracking down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goal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chool year. For this purpose, it sampled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free semester system on the 42 pilot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2013. After sampling, each of the seven selected a total of 14 people, and four interviews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e semester system provided the study participants with freedom from the written examination . However, the solution of educational inequality remained questionable and exposed various problems such as free ride and no confidence in assessment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 Second, through the free semester system, the answer to whether the students were able to grow their dreams and talents or were influenced by career choices was all no . As a result, the free semester system so far has been nothing more than a one-off program offered in a semester. Nevertheless, various opinions and a comparison with the nation s education system that was previously implemented were also revealed. The last study that we saw may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n empirical basis for the need for linkage with higher education and the need for changes in social awarenes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나라,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과 과제 - 아일랜드·덴마크·스웨덴·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99-223, 2014
2 정병오, "한국형 ‘자유학기제’, 해외 사례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49-52, 2013
3 유경훈, "핀란드 교육개혁의 특징 분석" 안암교육학회 23 (23): 319-352, 2017
4 황은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연구동향 분석" 교육연구소 25 (25): 299-318, 2019
5 조재호, "지니계수로 추정한 대학입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의 하향평준화 분석* :‘이해찬 1세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통상학회 25 (25): 1-19, 2007
6 여지영,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98-709, 2016
7 하정희, "중학생들의 자유학기제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2) : 139-162, 2018
8 원효헌, "중학교 자유학기제 형성평가 방안 탐색"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8 (28): 289-299, 2016
9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10 김민희, "정권교체에 따른 교육복지 정책변동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5 (25): 129-158, 2018
1 김나라,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과 과제 - 아일랜드·덴마크·스웨덴·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99-223, 2014
2 정병오, "한국형 ‘자유학기제’, 해외 사례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49-52, 2013
3 유경훈, "핀란드 교육개혁의 특징 분석" 안암교육학회 23 (23): 319-352, 2017
4 황은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연구동향 분석" 교육연구소 25 (25): 299-318, 2019
5 조재호, "지니계수로 추정한 대학입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의 하향평준화 분석* :‘이해찬 1세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통상학회 25 (25): 1-19, 2007
6 여지영,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98-709, 2016
7 하정희, "중학생들의 자유학기제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2) : 139-162, 2018
8 원효헌, "중학교 자유학기제 형성평가 방안 탐색"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8 (28): 289-299, 2016
9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10 김민희, "정권교체에 따른 교육복지 정책변동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5 (25): 129-158, 2018
11 신철균, "자유학기제의 확장을 위한 자유학기와 일반학기의 연계 원리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93-414, 2018
12 손희권,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헌법적 쟁점 분석" 대한교육법학회 25 (25): 151-180, 2013
13 김이경, "자유학기제의 도입에 따른 교사들의 직무부담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181-203, 2015
14 이정인, "자유학기제의 ‘자유’의 의미와 교육적 방향 탐색" 한국교육학회 54 (54): 1-20, 2016
15 조계중, "자유학기제에 따른 현장체험 경험에 대한 중학생들의 의식과 태도 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9 (19): 89-97, 2015
16 김진영, "자유학기제(2015-2017) 수업 전과 후의학생 만족도에 따른 성적변화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93-316, 2018
17 최상덕, "자유학기제 운영 종합매뉴얼"
18 신철균,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연구" 교육연구소 16 (16): 27-55, 2015
19 임종헌,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양가성 현상의 발견과 의미"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99-128, 2016
20 최상훈,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사교육 공급자의 인식 및 대응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26 (26): 31-56, 2019
21 김월섭, "자유학기제 시행과 기대, 우려, 그리고 학부모의 역할" 59-68, 2017
22 정광순, "자유학기제 도입과 중학교 수업 개선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99-421, 2013
23 강재태, "자유학기제 관련 쟁점 및 운영의 실제 현황" 29 : 27-46, 2017
24 조혜영,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동향 분석 및 과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352-376, 2017
25 박수정, "자유학기제 관련 신문 기사 분석: 정책 입장과 주요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83-707, 2018
26 신철균, "자유학기와 일반학기의 연계 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65-190, 2016
27 김진숙, "아일랜드 연계학년제(TY)와 한국 자유학기제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163-183, 2013
28 김달효, "사례연구를 통해 본 자유학기제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연구소 21 (21): 179-202, 2015
29 김종성, "부모의 사회계층이 자녀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과학연구회 (90) : 296-330, 2014
30 방하남, "변화와 세습 : 한국 사회의 세대간 지위세습 및 성취구조" 35 (35): 1-30, 2001
31 강승호, "미국 SAT의 평가내용과 타당도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20 (20): 125-150, 2007
32 박봉서, "대학입학정책 변동에 관한 연구-대학수학능력시험 도입 이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33 이병훈, "기회 불평등에 대한 국민 인식태도의 인과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157-179, 2017
34 신재영, "교육개혁 체험 연구:'이해찬 1세대'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15 (15): 163-188, 2005
35 홍후조, "관련자 의견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안 탐색 연구" 안암교육학회 19 (19): 33-68, 2013
36 이지연, "「進路」중심 자유학기제 도입의 타당성과 향후 과제"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1-22, 2013
37 정윤경, "“자유학기제”의 개혁적 의미와 과제" 한국교육철학학회 38 (38): 105-129, 2016
38 김종구, "[특집 : 수능이 뭐길래] 수능을 바라보는 언론의 고정된 틀" 70-73, 2002
39 Bayne, S., "The ‘digital native’and ‘digital immigrant’: a dangerous opposition" 20 : 24-32, 2007
40 Olson, M., "The theory of collective action: public goods and the theory of groups" Harvard UniversityPress 11-18, 1965
41 Park, Y., "Study on the Effect of the Free Semester Policy" KDI 9-12, 2017
42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Revised and Expanded from"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Jossey-Bass Publishers 52-69, 1998
43 Giorgi, A.,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Duquesne 41-48, 1985
44 Berlin, I., "Isaiah Berlin: a celebr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65, 1991
45 Patton, M. Q., "Designing qualitative studies" 3 : 230-246, 2002
46 Guba, E. G., "Competing paradigms in qualitative research" 2 (2): 105-, 1994
47 Cresswell, C., "A qualitative approach" 21-32, 2007
48 유성열, "2014 핀란드 교육과정으로 본 학교교육과정을 지원하는 국가교육과정의 역할 탐색"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2 (12): 171-196, 2018
49 이윤미, "1930년대 미국의 중등교육개혁 - ‘8년연구’의 재조명" 한국교육사학회 37 (37): 131-161, 2015
유아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 및 직무스트레스와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수학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들뢰즈 철학에 기초한 대안적 유아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발명악보 활동을 중심으로
메타포(metaphor)를 활용한 부모의 놀이신념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