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주시민교육 교사아카데미에 참여한 교사들의 실천적 인식 탐색 = Exploring the Practical Perception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Democratic Citizens' Education Acade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20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practical perceptions tha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c Citizens Education Teachers Academy have about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scene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raining and narra...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practical perceptions tha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Democratic Citizens Education Teachers Academy have about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r this purpose, scene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raining and narrativ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ens of democratic citizenship.
      There are three practical perceptions of teachers revealed in the Democratic Citizens' Education Academy.
      First, teachers gradually shifted from what they thought was democratic civic education to democratic civic education.
      Second, teachers shared the view that they realize themselves as 'teacher citizens' and grow into 'student citizens' instead of limiting students to be educated.
      Third, teachers perceived that participation in social affairs is necessary to grow up as critical citizens.
      Through the above three, teachers welcomed each other as equal citizens, broadening their demands for democratic citizenship. Methodically they shared the experimental orientation of the students by reflecting their situation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three practical perceptions shown by the participating teachers, the following two are presented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e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First, teachers who will participate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activities need an attitude that practically embraces the daily life and life context of the student so that the student's citizenship can be expressed on a daily basis.
      Second, teachers need an emotional attitude to ensure equal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with each other in the scene of education to foster citizenship with students.
      This inclusive attitude and emotional attitude can be seen as one aspect of the teacher's competence that teachers should show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itizenship in each educational activity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민주시민교육 교사 아카데미에 참여한 교사가 민주시민교육에 대해 갖게 된 실천적 인식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교사의 연수참여 장면과 내러티브 자료를 민주시민성이라...

      본 연구는 민주시민교육 교사 아카데미에 참여한 교사가 민주시민교육에 대해 갖게 된 실천적 인식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교사의 연수참여 장면과 내러티브 자료를 민주시민성이라는 렌즈에 따라 분석하였다.
      민주시민교육 교사아카데미에 드러난 교사들의 실천적 인식은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교사들은 본인이 생각하는 민주시민교육에서 점차 다중이 인식하는 민주시민교육으로 전환해 나갔다.
      둘째, 교사들은 자신을 ‘교사시민’으로서 자각하면서 학생을 교육받을 대상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학생시민’으로 성장시켜 나간다는 관점에 공감했다.
      셋째, 교사들은 비판적인 시민으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회문제에 대한 참여가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위 세 가지를 통해 교사들은 서로를 동등한 시민으로서 환대하면서 민주시민성에의 요구를 넓혀갔다. 방법적으로 학생의 처지를 민주시민교육활동에 반영하여 변용해가는 실험적 지향을 공유하였다.
      이상 참여교사들이 보여준 세 가지 실천적 인식을 바탕으로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교사역량 제고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민주시민교육활동에 참여할 교사들은 학생의 시민성이 일상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학생의 일상과 삶의 맥락을 실천적으로 포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둘째, 교사는 학생과 함께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의 장면에서 서로 동등하면서도 민주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려는 정서적 태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포용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는 민주시민교육의 교육활동 마다 학생의 시민성 함양을 촉진시키기 위해 교사가 보여주어야 할 교사 역량의 한 측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혁규, "한국의 교육 생태계" 교육공동체벗 2015

      2 에듀인뉴스(EduinNews), "한국 청소년 민주시민의식 '양극화', 남녀 차 커...교사 자신감 낮아"

      3 심성보,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학연구원 (67) : 93-122, 2017

      4 심성보, "한국 교육의 현실과 전망-세계교육의 담론과 운동 그리고 민주시민교육" 살림터 2018

      5 이민영, "학생자치를 말하다" 에듀니티 2017

      6 오재길, "학생의 시민주체화 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7 김용, "학교자율운영 2. 0" 살림터 2019

      8 이수광, "학교의 민주적 전환을 위한 과제" 경기도교육청ㆍ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9 장은주, "학교민주주의지수 개발연구(Ⅰ) : 학교민주주의 지수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10 백병부, "학교민주주의의 개념과 실행조건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1 이혁규, "한국의 교육 생태계" 교육공동체벗 2015

      2 에듀인뉴스(EduinNews), "한국 청소년 민주시민의식 '양극화', 남녀 차 커...교사 자신감 낮아"

      3 심성보,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학연구원 (67) : 93-122, 2017

      4 심성보, "한국 교육의 현실과 전망-세계교육의 담론과 운동 그리고 민주시민교육" 살림터 2018

      5 이민영, "학생자치를 말하다" 에듀니티 2017

      6 오재길, "학생의 시민주체화 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7 김용, "학교자율운영 2. 0" 살림터 2019

      8 이수광, "학교의 민주적 전환을 위한 과제" 경기도교육청ㆍ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9 장은주, "학교민주주의지수 개발연구(Ⅰ) : 학교민주주의 지수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10 백병부, "학교민주주의의 개념과 실행조건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11 김달효, "학교민주주의에 관한 플랫폼 구축 연구"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15 (15): 5-29, 2019

      12 이가영, "학교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과제" 전라북도교육정책연구소 2016

      13 Fullan, M., "학교개혁은 왜 실패하는가 - 교육변화의 새로운 의미와 성공원리" 21세기교육연구소 2015

      14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총론"

      15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아카데미프레스 2016

      16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0

      17 김영석, "중등교사들의 민주시민교육 의미 해석과 실천 전략에 대한 FGI 연구: 서울과 경남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6 (26): 59-71, 2019

      18 인천광역시교육청, "인천광역시교육청 학교민주시민교육진흥조례"

      19 김원태, "오스트리아 학교시민교육 훈령과 학교시민교육 개혁 과정" 전국사회교사모임 (봄) : 2019

      20 장은주, "시민교육이 희망이다 :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철학과 실천모델" 피어나 2017

      21 김선택, "시민교육의 기초로서의 헌법적 합의" 전국사회교사모임 (봄) : 2019

      22 미래교육신문, "선거법 개정 전남교육청 학생주권자교육 본격 추진-전남 만18세 유권자 6000여명 달해...선관위와 MOU 체결 등 발빠른 행보"

      23 심성보, "사람다움과 시민다움의 조화를 통한 ‘민주적’ 시민교육의 모색-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크릭 보고서를 중심으로 -" 한국윤리교육학회 (47) : 253-282, 2018

      24 염경미, "비사회과 교사의 민주시민교육 수행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7

      25 심성보,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민주시민교육" 북멘토 2018

      26 한겨레신문, "민주시민은 태어나는 게 아니라 길러지는 것이다. 2019 학교민주시민교육 국제포럼 톺아보기"

      27 박하나,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학교 조성 방안 탐색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교사들의 민주시민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1 (51): 61-94, 2019

      28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29 이혁규, "기조발표: 민주시민교육-교과를 넘어 학교문화로" 한국사회과수업학회 4-14, 2019

      30 옥일남, "글로벌 시대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정치적 쟁점 주제의 적용 원칙과 교사 유형 탐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1 (51): 167-197, 2019

      31 이한나, "교육과정 지식을 생성하는 교사의 내러티브적 사고 과정 탐구를 위한 제안"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71-92, 2015

      32 주성수, "개인이 이끄는 변화, 생활민주화(디지털에디션)" 북저널리즘 2019

      33 박재창, "“촛불민주주의” 시대의 민주시민교육: 과제와 전략" 3-12, 2019

      34 장은주, "‘형성적 기획’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 전국사회교사모임 (봄) : 2019

      35 Noddings, N., "21세기 교육과 민주주의 - 개인적 삶, 직업적 삶, 그리고 시민적 삶을 위한 교육" 살림터 2016

      36 교육부, "2019 민주시민교육 시행계획"

      37 시민교육과 사회정책을 위한 사단법인 마중물, "2019 민주시민교육 교사아카데미 결과보고서-수행시기" 인천광역시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시민교육과 사회정책을 위한 사단법인 마중물 2019

      38 심성보, "(인간과 사회의 진보를 위한) 민주시민교육" 살림터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