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파멜라 논쟁``의 승자: 18세기 영국 중간계급의 여성담론- 『파멜라』(1740) 대 『샤멜라』(1741)를 중심으로 = The Winner of the Pamela Controversy: The Middle Class`` Discourse on Women in 18th Century England - focusing on Pamela(1740) vs. Shamela(1741)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파멜라 논쟁’의 포문을 연 사뮤엘 리차드슨의 『파멜라』(1740)와헨리 필딩의 『샤멜라』(1741)를 분석하여, 논쟁 전체를 관통하는 18세기 중간계급의 여성담론을 추적하...

      본 연구의 목적은 ‘파멜라 논쟁’의 포문을 연 사뮤엘 리차드슨의 『파멜라』(1740)와헨리 필딩의 『샤멜라』(1741)를 분석하여, 논쟁 전체를 관통하는 18세기 중간계급의 여성담론을 추적하는 것이다. 친파멜라와 반파멜라로 갈라진 ‘파멜라 논쟁’의핵심쟁점은 파멜라가 보여준 미덕의 진정성 문제였다. 여주인공이 순수함과 순결함으로 신분상승까지 성취하는 모습을 그린『파멜라』에 대해 『샤멜라』는 그 미덕이 위선이라고 폭로한다. 이런 풍자와 대립 구도는 눈길을 끌기에 충분하지만 본고에서 주목하는 것은 오히려 이 두 작품의 공통분모이다. 당대의 ‘파멜라 논쟁’ 에서는 파멜라의 미덕이 진짜인가 가짜인가가 쟁점이었지만 본 연구자의 관심은‘그 미덕이란 무엇인가’이기 때문이다. 『파멜라』는 여성의 성공스토리를 기조로 하여 중간계급 남성의 신분상승 욕망을 충실히 반영하는 한편, 그 이면에는 순결한 처녀, 순종적이고 근검절약하는 아내, 섹슈얼리티가 제거된 어머니라는 중간계급의 이상적 여성상을 구현했다. 필딩은귀족의 시선으로 『파멜라』에 드러난 미덕의 위선과 신분상승 플롯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지만, 필딩의 샤멜라 역시 결국 여성의 미덕을 실천하지 못한 부도덕한여성일 뿐 여성의 미덕이란 곧 정절이라는 편협한 중간계급의 도덕성 자체를 의문시하지 않았다. 기실 ‘집안의 천사’로 상징되는 정숙하고 순결한 여성성 신화가 활개를 친 빅토리아 시기 여성담론을 감안해 볼 때 ‘파멜라 논쟁’에서 최종승자는 일찍부터 이런여성상의 전조를 보여준 파멜라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반파멜라 진영의 힘이 약해서라기보다는 여성에 대한 그들의 태도 또한 친파멜라 진영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탓이 컸다. 필딩은 리처드슨이 그리는 여성상에는 직접적으로 도전하지 않았기때문에, 의도치 않게 근대적 여성성 신화가 탄생하는 데 공모했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middle class’ discourse on women in 18th century England by examining the main texts of ‘the Pamela Controversy’, Samuel Richardson’s Pamela (1740) and Henry Fielding’s Shamela (1741). The main d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middle class’ discourse on women in 18th century England by examining the main texts of ‘the Pamela Controversy’, Samuel Richardson’s Pamela (1740) and Henry Fielding’s Shamela (1741). The main dispute between “pro-” and “anti-Pamelists” was a controversy over the virtue of Pamela. While an innocent and chaste Pamela succeeded in raising her status, Shamela exposed her hypocrisy. I focus not on the differences but on the common points between the two texts. That is not ‘whether the virtue of Pamela is real?’ but rather, ‘What is that virtue?’ Pamela reflected the middle class’ desire for higher status on the basis of the success stories of women but also embodied the middle class’ ideal woman: an innocent virgin, a thrifty and obedient housewife, and an asexual mother. Indeed, in thinking that the myth of chaste and obedient women and the ideology of maternity were predominant in the 19th century, the winner of the Pamela Controversy was Pamela. I don’t think this was because anti-Pamelists were weaker than pro-Pamelists. The former’s view of women is no different from the latter’s view. Unintentionally, Fielding also took part in creating the modern myth of women for he did not question Richardson’s view of women but agreed with the womanly virtues that Richardson describ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아, "품행 지침서에 나타난 여성의 몸: 「젊은 여성에게 주는 설교」와 「딸에게 주는 아버지의 유산」"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18 (18): 73-96, 2011

      2 박형지, "제국주의와 남성성" 아카넷 2016

      3 임순희, "영역 분리이데올로기와 19세기 영국의 여성 성장소설의 문제점" 49 : 1996

      4 허상문, "영국소설의 이해" 우용출판사 2002

      5 이영석, "딸들의 반란?: 빅토리아 후기 새로운 여성성에 관한 비판적 담론" 영국사학회 17 : 141-170, 2007

      6 Pateman, Carole, "남과 여, 은폐된 성적 계약" 이후 2001

      7 김진아, "근대 영국소설에 나타난 성차와 계급의 기호로서의 중간계급 여성의 몸"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11 (11): 49-72, 2003

      8 정희원, "고딕적 상상력과 영국소설 : 『파멜라』에서 『노생거 수도원』에 이르는 소설사의 이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9 박은정, "계급과 성(sex)의 갈등 구조로 바라본 파멜라" 9 : 2003

      10 Dülmen, Richard van, "개인의 발견" 현실문화연구 2005

      1 김진아, "품행 지침서에 나타난 여성의 몸: 「젊은 여성에게 주는 설교」와 「딸에게 주는 아버지의 유산」"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18 (18): 73-96, 2011

      2 박형지, "제국주의와 남성성" 아카넷 2016

      3 임순희, "영역 분리이데올로기와 19세기 영국의 여성 성장소설의 문제점" 49 : 1996

      4 허상문, "영국소설의 이해" 우용출판사 2002

      5 이영석, "딸들의 반란?: 빅토리아 후기 새로운 여성성에 관한 비판적 담론" 영국사학회 17 : 141-170, 2007

      6 Pateman, Carole, "남과 여, 은폐된 성적 계약" 이후 2001

      7 김진아, "근대 영국소설에 나타난 성차와 계급의 기호로서의 중간계급 여성의 몸"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11 (11): 49-72, 2003

      8 정희원, "고딕적 상상력과 영국소설 : 『파멜라』에서 『노생거 수도원』에 이르는 소설사의 이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9 박은정, "계급과 성(sex)의 갈등 구조로 바라본 파멜라" 9 : 2003

      10 Dülmen, Richard van, "개인의 발견" 현실문화연구 2005

      11 Reddy, William M, "감정의 항해: 감정이론, 감정사, 프랑스혁명" 문학과 지성사 2016

      12 이시연, "『안티파멜라』로 되돌아보는 『파멜라』 논쟁의 쟁점들"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13 (13): 103-125, 2006

      13 Tague, Ingrid H, "Women of quality: Accepting and Contesting Ideals of Femininity in England, 1690-1760" 2002

      14 Mendelson, Sara, "Women in Early Modern England, 1550-1720" 1998

      15 Pocock, John Greville Agard, "Virtue, Commerce, and History: Essays on Political Thought and History Chiefly in the Eighteenth Century" 1985

      16 An Oxford scholar, "The parallel or, Pilkington and Phillips compared" 1748

      17 Mckeon, Michael, "The origins of the English novel, 1600-1740" 2002

      18 Thomas, Keith, "The double standard" 20 : 1959

      19 Watt, Ian, "The Rise of the Novel: Studies in Defoe, Richardson and Fielding" 1957

      20 Shaw, Peter, "The Reflector: Representing Human Affairs" 1750

      21 Keymer, Thomas, "The Pamela Controversy: Criticisms and Adaptations of Samuel Richardson’s Pamela, 1740-1750, 6 vols" 1750

      22 Armstrong, Nancy, "The Ideology of Conduct: Essays on Literature and History of Sexuality" 1987

      23 Rothstein, Eric, "The Framework of Shamela" 35 : 1968

      24 Tague, Ingrid H, "The Family in Early Modern England" 2011

      25 Richetti, John, "The English Novel in History 1700-1780" 1999

      26 Fordyce, James, "Sermons to Young Women" 1766

      27 Gooding, Richard, "Samuel Richardson’s Fictions of Gender" 1993

      28 Eaves, T. C. Duncan, "Samuel Richardson: A Biography" 1971

      29 Michie, Allen, "Richardson and Fielding: The Dynamics of a Critical Rivalry" 1999

      30 Richardson, Samuel, "Pamela: or Virtue Rewarded" 1740

      31 Folkenflik, Robert, "Pamela: Domestic Servitude, Marriage, and the Novel" 5 (5): 1993

      32 Warner, William B, "Licensing Entertainment: The Elevation of Novel Reading in Britain, 1684-1750" 1998

      33 Barbara Ehrenreich, "For Her Own Good: 150 Years of the Experts’ Advice to Women" 1979

      34 Perry, Ruth, "Colonizing the Breast: Sexuality and Maternity in Eighteenth- Century England" 2 (2): 1991

      35 Haywood, Eliza, "Anti-Pamela; or, Feign’d Innocence detected; In a Series of Syrena’s Adventures" 1741

      36 Ingrassia, Catherine, "Anti-Pamela and Shamela" 2004

      37 Mullan, John, "Anonymity: A Secret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2008

      38 Fielding, Henry, "An Apology for the Life of Mrs. Shamela Andrews" 1741

      39 하명희, "18세기 영국 소설과 젠틸리티 담론 형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40 사무엘 리차드슨, "18세기 영국 소설 강의" 신아사 1999

      41 헨리 필딩, "18세기 영국 소설 강의" 신아사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서양사론
      외국어명 : The Western History Review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6 0.49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