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印度의 舍利信仰과 主要 舍利莊嚴 類例 考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465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도에서 사리신앙은 석가모니의 입적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석가모니 생전에도 그의 제자 중 사리불과 대목건련의 열반 뒤 그들의 유골을 탑에 안치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불교적 사리숭배는 석가모니 이전에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석가모니의 외에 과거불인 가섭불과 벽지불의 사리탑도 있었던 것은 사리신앙이 비단 석가모니의 사리에 의해서만 발전된 것은 아니라는 증거가 된다. 하지만 사리신앙의 주요 대상은 역사적 실재인물로서의 석가모니였음은 인도뿐만 아니라 한국, 중국 등의 주변 불교국가에서의 사리신앙을 통해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또한 석가모니 사리의 숭배는 비단 유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석가모니의 머리카락과 손톱을 봉안한 발탑, 조탑이 세워질 정도였다. 이는 다시 말해서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는 곧 석가모니의 존재 그 자체로 인식되었음을 알게 해준다. 석가모니
      의 사리는 입적 후, 당시 8분되어 탑에 봉안되었다. 이 사리들은 나중에 아소카왕에 의해 개봉되어 다시 세분되어 인도 전역에 전파되었고, 이들 중 일부는 한국이나 중국 등지로 이안됨으로써 불교의 전파에 상당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한편 인도 초기의 사리장엄은 1세기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불상의 발생과 그 시기를 같이 한다. 이는 석가모니의 입적후 수 세기가 지나서야 불상이 등장함으로써 불교가 획기적으로 전파되는 것과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리신 앙에 힘입은 사리장엄의 유행은 불상과 마찬가지로 대중에게 불교를 홍포하는 수단으로써 상당한 역할을 하였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인도의 사리장엄은 사리신앙과 더불어 한국과 중국 등지로 전파되어 각국의 사리장엄이 발전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번역하기

      인도에서 사리신앙은 석가모니의 입적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석가모니 생전에도 그의 제자 중 사리불과 대목건련의 열반 뒤 그들의 유골을 탑에 안치하였다는 기록이 ...

      인도에서 사리신앙은 석가모니의 입적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석가모니 생전에도 그의 제자 중 사리불과 대목건련의 열반 뒤 그들의 유골을 탑에 안치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불교적 사리숭배는 석가모니 이전에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석가모니의 외에 과거불인 가섭불과 벽지불의 사리탑도 있었던 것은 사리신앙이 비단 석가모니의 사리에 의해서만 발전된 것은 아니라는 증거가 된다. 하지만 사리신앙의 주요 대상은 역사적 실재인물로서의 석가모니였음은 인도뿐만 아니라 한국, 중국 등의 주변 불교국가에서의 사리신앙을 통해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또한 석가모니 사리의 숭배는 비단 유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석가모니의 머리카락과 손톱을 봉안한 발탑, 조탑이 세워질 정도였다. 이는 다시 말해서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는 곧 석가모니의 존재 그 자체로 인식되었음을 알게 해준다. 석가모니
      의 사리는 입적 후, 당시 8분되어 탑에 봉안되었다. 이 사리들은 나중에 아소카왕에 의해 개봉되어 다시 세분되어 인도 전역에 전파되었고, 이들 중 일부는 한국이나 중국 등지로 이안됨으로써 불교의 전파에 상당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한편 인도 초기의 사리장엄은 1세기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불상의 발생과 그 시기를 같이 한다. 이는 석가모니의 입적후 수 세기가 지나서야 불상이 등장함으로써 불교가 획기적으로 전파되는 것과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리신 앙에 힘입은 사리장엄의 유행은 불상과 마찬가지로 대중에게 불교를 홍포하는 수단으로써 상당한 역할을 하였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인도의 사리장엄은 사리신앙과 더불어 한국과 중국 등지로 전파되어 각국의 사리장엄이 발전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essay, I look into the sarira reliquary from India.
      Sarira reliquary was known as death of a Buddhist saint, but it was originated from Indian Asoca King's 84,000 sarira. Indian sarira reliquary can be divided into sphere type, cylinder type, and stupa type by threir shape. The sarira box from Piprahwa Pagoda is a good example of the
      sphere type. The Piprahwa Saria box was found in 1898 and was collected by Gandala museum. It was assumed that sarira box was enshrined in B.C. 4th century. It is one
      of the oldest Indian sarira box. Also, the sarira box from the Drona sculpture in Kizil wall painting is another representative example of early Indian Sarira box. The cylinder type has couple of the examples; Sarira cases from Maya's Memorial of Loumbini, Kanisika Pagoda and
      Kutsche area in Japan. We could not find bottoms and the stereobate unlike sphere type and stupa type. The cylinder type appeard in the Indian wall painting and relief so we
      could estimate that it was typical type of Sarira case. stupa type sarira case is belong to admiration faith for stupa in India, so it represents architecture at that period.
      It has important influence to China, Korea and other circumferences.
      번역하기

      In this essay, I look into the sarira reliquary from India. Sarira reliquary was known as death of a Buddhist saint, but it was originated from Indian Asoca King's 84,000 sarira. Indian sarira reliquary can be divided into sphere type, cylinder type,...

      In this essay, I look into the sarira reliquary from India.
      Sarira reliquary was known as death of a Buddhist saint, but it was originated from Indian Asoca King's 84,000 sarira. Indian sarira reliquary can be divided into sphere type, cylinder type, and stupa type by threir shape. The sarira box from Piprahwa Pagoda is a good example of the
      sphere type. The Piprahwa Saria box was found in 1898 and was collected by Gandala museum. It was assumed that sarira box was enshrined in B.C. 4th century. It is one
      of the oldest Indian sarira box. Also, the sarira box from the Drona sculpture in Kizil wall painting is another representative example of early Indian Sarira box. The cylinder type has couple of the examples; Sarira cases from Maya's Memorial of Loumbini, Kanisika Pagoda and
      Kutsche area in Japan. We could not find bottoms and the stereobate unlike sphere type and stupa type. The cylinder type appeard in the Indian wall painting and relief so we
      could estimate that it was typical type of Sarira case. stupa type sarira case is belong to admiration faith for stupa in India, so it represents architecture at that period.
      It has important influence to China, Korea and other circumfere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釋迦牟尼 入寂 이전의 佛塔
      • 1. 佛弟子 塔
      • 2. 髮塔과 爪塔
      • Ⅲ. 佛舍利 分配의 전설을 통해 본 舍利信仰의 발생 및 발전
      • Ⅰ. 머리말
      • Ⅱ. 釋迦牟尼 入寂 이전의 佛塔
      • 1. 佛弟子 塔
      • 2. 髮塔과 爪塔
      • Ⅲ. 佛舍利 分配의 전설을 통해 본 舍利信仰의 발생 및 발전
      • 1. 불사리 분배의 전설
      • 2. 印度 佛舍利 신앙의 발전과 전파
      • Ⅳ. 印度 舍利莊嚴의 특징
      • 1. 印度 舍利 容器의 발생
      • 2. 인도 사리장엄의 類例
      • Ⅴ. 맺음말
      • 국문요약문
      • 영문 요약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姜舜馨, "한국에 끼친 인도의 옛 사리차림새" 11 : 1998

      2 金禧庚, "塔內舍利容器의 變遷考-印度?中國?日本을 中心으로-. 蕉雨黃壽永博士古稀紀念 美術史學論叢" 通文館 1988

      3 姜友邦, "佛舍利莊嚴論, 佛舍利莊嚴" 국립중앙박물관 1991

      4 奈良國立博物館, "佛舍利の莊嚴" 東湖社 1983

      5 河田, "佛舍利と經の莊嚴" 至文堂 280 : 1989

      6 高田, "佛塔と舍利" 中央公論出版 1969

      7 奈良國立博物館, "シルワロ?ド?佛敎美術傳來の道" 1988

      8 伊東照司, "サ-ンチ-大塔の信仰的意義-塔門の浮彫と碑文にみる佛舍利安置の可能性" 158 : 1985

      9 熊谷宣夫, "クチャ將來の彩畵舍利容器" 191 : 1989

      10 高田, "ガニシュカ大塔及ぴ舍利容器の再檢討" 181 : 1955

      1 姜舜馨, "한국에 끼친 인도의 옛 사리차림새" 11 : 1998

      2 金禧庚, "塔內舍利容器의 變遷考-印度?中國?日本을 中心으로-. 蕉雨黃壽永博士古稀紀念 美術史學論叢" 通文館 1988

      3 姜友邦, "佛舍利莊嚴論, 佛舍利莊嚴" 국립중앙박물관 1991

      4 奈良國立博物館, "佛舍利の莊嚴" 東湖社 1983

      5 河田, "佛舍利と經の莊嚴" 至文堂 280 : 1989

      6 高田, "佛塔と舍利" 中央公論出版 1969

      7 奈良國立博物館, "シルワロ?ド?佛敎美術傳來の道" 1988

      8 伊東照司, "サ-ンチ-大塔の信仰的意義-塔門の浮彫と碑文にみる佛舍利安置の可能性" 158 : 1985

      9 熊谷宣夫, "クチャ將來の彩畵舍利容器" 191 : 1989

      10 高田, "ガニシュカ大塔及ぴ舍利容器の再檢討" 181 : 1955

      11 田邊勝美, "カニシュカ王と所謂カニシュカ舍利容器-古錢學的考察と新資料の紹介" 173 : 1988

      12 高田, "インドの佛塔と舍利安置法" 11 : 1951

      13 河田 貞,?インド?中國?朝鮮の佛舍利莊嚴?, "インド?中國?朝鮮の佛舍利莊嚴" 同朋舍 1983

      14 杉本卓洲, "イント佛塔の硏究" 平樂寺書店 1984

      15 Chewon Kim, "Treasures from Songyimsa Temple in Southern Korea" 22 (22): 196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KCI등재
      2016-0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1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