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인요양기관 이용 가족부양자 부양부담감이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연구 :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Family Caregiver Burden on Stress and Depression in Using Elderl Care Fac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8309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기관을 이용한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이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에 미치는 가를 파악해 보고, 부양가족의 부담감을 줄이기 위한 효...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기관을 이용한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이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에 미치는 가를 파악해 보고, 부양가족의 부담감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상담학적 프로그램 실천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전라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요양기관에 가족 부양자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427부의 설문지를 15곳에서 직접 회수하였으며, 이중 불성실 응답설문지 16부를 제외하고 최종 411부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의 유의 수준은 p<.05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은 타당도, 신뢰도,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는 피어슨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매개효과는 회귀분석(Simple &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양부담감은 소득이 많을수록, 부양기간이 짧을수록, 장기요양등급이 2등급인 경우 부양부담감이 낮았으며, 부양노인의 질환이 치매인 경우는 타 질병에 비해 부양부담감이 높았다.
      둘째, 정서적 소진은 여성, 중간소득자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스트레스는 소득이 낮을수록, 부양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그리고 우울은 중간소득자가 가장 높았다.
      셋째, 부양부담감, 스트레스, 우울, 정서적 소진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부양부담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경제적, 의존적 모두 스트레스, 우울, 정서적 소진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노인요양기관을 이용한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은 스트레스, 우울, 정서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정서적 소진은 스트레스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부양부담감의 하위요인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경제적, 의존적 모두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계에 서 정서적 소진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이로 인한 신체적·정신적 문제를 더 이상 관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는 지역사회나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과 다양한 지원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며, 특히 가족부양자의 스트레스, 우울, 정서적 소진 등의 정신적인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상담치료학적 지원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임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 대한 상담심리치료학의 시야에서 조명한 결과로 연구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family caregiver burden while using elderly care facilities had an impact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burnout on stress and depression. This study also aimed to find effective ways to 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family caregiver burden while using elderly care facilities had an impact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burnout on stress and depression. This study also aimed to find effective ways to reduce the family caregiver burden and to prepare practical plans for counseling program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given to 430 family car egivers at elderly c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Gangwon-do, and Jeolla-do. A total of 427 questionnaires w ere collected directly from 15 sites. 411 copies of the data were used for the study, excluding 16 questionnaires deemed to be insuffici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2.0, and the significan ce level of all analysis was set based on p < 0.05. The analysis was verified using validity,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The correlation was verifi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using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analyzed data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family caregiver burde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 teristics, the higher the income and the shorter the support period, the lower the family caregiver burden. Family caregiver burden was low whe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grade was at Grade 2. In the case of diseases, family caregiver burden was higher for those caring for the eldery with dementia than those caring for the elderly with other dis eases.
      Second, emotional burnout was analyzed to be low among women and those with a mid-level income. Stress was higher with a lower income and longer caregiving period. Depression was the highest among those with a mid-level income.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caregiver burden, stress, depression, and emotional burnou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depression, and emotional burnout in all of the physical, emotional, social, economic, and dependent sub-factors of family caregiver burden.
      Fourth, family caregiver burden while using elderly care facilities was a factor that influenced stress, depression, and emotional burnout. Emotional burnout was a factor that influenced stress and depression. In addition, it was determined that emotional burnou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the physical, emotional, social, economic, and dependent factors in regards to family caregiver burden.
      The burden of support felt by family caregivers who care for the elderly and the resulting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can no longer be overlooked. This is a problem that can only be solved through active intervention and various forms of support from the local community or state. In particular,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counseling therapy support plays an essential part in alleviating the mental burden of family caregiver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as a result of illuminating this viewpoint from a counseling perspect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6
      • 1) 노인요양기관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의 6
      • 1) 노인요양기관 6
      • 2) 가족부양 부담감 6
      • 3) 스트레스 7
      • 4) 우울 7
      • 5) 정서적 소진 7
      • Ⅱ. 이론적 배경 9
      • 1. 노인요양기관 9
      • 1) 노인요양기관의 이해 9
      • 2) 노인요양기관 입소노인의 특징 10
      • 3) 노인요양기관 현황 12
      • 2. 부양부담감 13
      • 1) 부양부담감의 개념 13
      • 2) 부양부담감의 구성요소 15
      • 3) 부양부담감의 선행연구 18
      • 3. 스트레스 21
      • 1) 스트레스의 개념 21
      • 2) 스트레스의 구성요소 23
      • 3) 스트레스의 선행연구 25
      • 4. 우울 27
      • 1) 우울의 개념 27
      • 2) 우울의 구성요소 29
      • 3) 우울의 선행연구 30
      • 5. 정서적 소진 33
      • 1) 정서적 소진의 개념 33
      • 2) 정서적 소진의 구성요소 35
      • 3) 정서적 소진의 선행연구 37
      • 6.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감, 스트레스, 우울, 정서적 소진 연구 40
      • Ⅲ. 연구 방법 45
      • 1. 연구모형과 가설 45
      • 1) 연구모형 45
      • 2) 연구가설 46
      • 2. 연구의 대상 및 자료 49
      • 1) 연구의 대상 49
      • 2) 자료수집 49
      • 3. 측정도구 50
      • 1) 부양부담감 50
      • 2) 스트레스 50
      • 3) 우울 51
      • 4) 정서적 소진 51
      • 4. 분석방법 51
      • 5.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52
      • Ⅳ. 연구결과 53
      • 1.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분석 53
      • 2. 연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부양부담감, 정서적 소진, 스트레스, 우울 58
      • 3. 주요 변인의 차이 분석 63
      • 4.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75
      • 5.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가설검증 77
      • 1) 노인요양기관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이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77
      • 2) 노인요양기관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79
      • 3) 노인요양기관 가족부양자의 정서적 소진이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80
      • 4) 노인요양기관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계에서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 81
      • 5) 가설검증 93
      • Ⅴ. 논의 및 결론 98
      • 1. 논의 98
      • 2. 결론 105
      • 3. 함의 106
      • 4. 제언 108
      • 참고문헌 110
      • 부록 설문지 129
      • Abstract 1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