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구 기반의 교수학습은 수업이 일어나는 맥락, 그 맥락을 둘러싼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교수학습의 주체 중하나인 교사도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교사의 수업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51491
2025
Korean
KCI등재,SCOPUS,ESCI
학술저널
127-144(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탐구 기반의 교수학습은 수업이 일어나는 맥락, 그 맥락을 둘러싼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교수학습의 주체 중하나인 교사도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교사의 수업 ...
탐구 기반의 교수학습은 수업이 일어나는 맥락, 그 맥락을 둘러싼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교수학습의 주체 중하나인 교사도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교사의 수업 실행은 자신이 갖는 인식 및 신념, 교수학습 내용 및 자료, 주변 상황과 복잡하게 상호작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예비 화학교사들이 물리화학실험 교과목에서 직접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는 참 탐구를 수행하고, 그 과정에서 발견한 문제를 기반으로 탐구 수업을 설계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예비 화학교사들이 (1) 학습자로서 참 탐구를 수행하는 맥락과 (2) 교수자로서 탐구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맥락에서 탐구에 대한 인식 및 신념을 분석하고 둘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탐구기반 교수학습을 위한 예비교사 교육의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quiry-based teaching and learning is influenced by the context in which it occurs and various factors surrounding that context. Among these, teachers, as key agent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must be considered as crucial factors. In part...
Inquiry-based teaching and learning is influenced by the context in which it occurs and various factors surrounding that context. Among these, teachers, as key agent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must be considered as crucial factors.
In particular,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s emerge through the complex interplay of their perceptions and belief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and materials, and surrounding circumstances. This study examined cases in which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engaged in authentic inquiry by identifying and solving problems within a Physical Chemistry Laboratory course. Based on these self-identified problems, they designed and implemented inquiry-based lessons. This study analyzed how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erceived inquiry in two contexts: (1) as learners engaging in authentic inquiry and (2) as instructors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quiry-based lessons.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contexts and proposed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imed at fostering inquiry-based teaching and learning.
전자적으로 들뜬 상태를 이용한 선택적 CO2 포집과 수집: 이론적 연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화학 I 교과서에 제시된 자기 평가 분석
엔트로피를 활용한 묽은 용액의 총괄성 설명 모델 개발: 화학 교사들의 ‘Crosscutting Concepts’ 관점에 대한 인식 변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산과 염기’, ‘여러 가지 기체’에 대한 학업 성취 특성 분석: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