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심리상담을 통해 비자발적 퇴직자의 퇴직 상황과 퇴직 후, 재취업 시 어떤 것을 경험하며 그 경험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30237
2019
-
373
KCI등재
학술저널
1347-1369(2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심리상담을 통해 비자발적 퇴직자의 퇴직 상황과 퇴직 후, 재취업 시 어떤 것을 경험하며 그 경험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울...
본 연구는 심리상담을 통해 비자발적 퇴직자의 퇴직 상황과 퇴직 후, 재취업 시 어떤 것을 경험하며 그 경험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울산광역시에서 운영하는 인생 2막 설계프로그램 중 개인 심리상담에 참여한 비자발적 퇴직자 8명(남: 5명, 여: 3명)을 대상으로 심층 심리상담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료 분석을 위해 모든 상담 내용은 필사하여 문서화 한 후 Nvivo 11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구조화하기 위하여 Colaizzi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7개의 현상과 18개의 드러난 주제, 그리고 207개의 주요한 사례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비자발적 퇴직자의 경험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담을 통한 내담자의 사례와 유목화 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후 비자발적 퇴직자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체제 마련과 이 들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포함되어야 할 요인들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experiences of involuntary retirees are in retirement, retirement and re-employment and to analyze what the experience means. To do this, we interviewed 8 involuntary retirees (5 males and 3 females) p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experiences of involuntary retirees are in retirement, retirement and re-employment and to analyze what the experience means. To do this, we interviewed 8 involuntary retirees (5 males and 3 females) participating in personal psychological counseling in the second of the life planning program by Ulsan City in 2018. The results of the counseling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was obtaine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ethic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data, all the consultation contents were documented and analyzed by Nvivo 11. Colaizzi s analysis method was used to structure the study results. The study found a total of 7 phenomena, 18 revealed topics, and 207 major examples. As a result, we c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experience of involuntary retire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rived factors that should be included in developing a practical support system for involuntary retirees and developing programs for them based on counseling cases and nomencla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한국인의 은퇴준비"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2012
2 강혜숙, "퇴직자의 전직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정기범, "퇴직자의 재취업 교육프로그램이 교육만족도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189-213, 2013
4 허정무, "퇴직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탐색을 통한 퇴직준비교육프로그램 모델 개발" 18 : 1-18, 1998
5 김성우, "퇴직자들의 교육기부활동 경험학습 사례 연구" 한국공공사회학회 8 (8): 99-125, 2018
6 금문혜, "직장인에서 창업자로의 경력전환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7 나영선, "중장년층 퇴직자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8 성지미, "중고령자의 은퇴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175-212, 2011
9 김지경, "중고령 은퇴자들의 은퇴 후 경과기간별 은퇴생활적응의 영향요인" 대한가정학회 48 (48): 83-101, 2010
10 김명언, "조직감량의 희생자, 생존자, 그리고 집행자" 97-148, 1998
1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한국인의 은퇴준비"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2012
2 강혜숙, "퇴직자의 전직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정기범, "퇴직자의 재취업 교육프로그램이 교육만족도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189-213, 2013
4 허정무, "퇴직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탐색을 통한 퇴직준비교육프로그램 모델 개발" 18 : 1-18, 1998
5 김성우, "퇴직자들의 교육기부활동 경험학습 사례 연구" 한국공공사회학회 8 (8): 99-125, 2018
6 금문혜, "직장인에서 창업자로의 경력전환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7 나영선, "중장년층 퇴직자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8 성지미, "중고령자의 은퇴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175-212, 2011
9 김지경, "중고령 은퇴자들의 은퇴 후 경과기간별 은퇴생활적응의 영향요인" 대한가정학회 48 (48): 83-101, 2010
10 김명언, "조직감량의 희생자, 생존자, 그리고 집행자" 97-148, 1998
11 정해영, "정년퇴직자의 여가활동이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안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1
12 이규만, "전직지원활동이 퇴직자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22 (22): 27-50, 2007
13 이희수, "전직지원활동에 참여한 퇴직자의 특성과 전환학습 수준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6 (6): 61-88, 2011
14 권인탁, "전문직 퇴직자 봉사단체의 발전방향 : 금빛평생교육봉사단의 사례" 교육종합연구소 7 (7): 45-70, 2009
15 장미옥,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직무, 경력, 임파워먼트 요인을 중심으로"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16 권은비, "은퇴한 남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은퇴관련변인과 부부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5 (15): 73-92, 2011
17 전도근, "은퇴쇼크" 북포스 2011
18 성미애, "은퇴 후 생활만족도 변화에 관한 단기 종단적 분석" 한국가족학회 24 (24): 82-102, 2012
19 문진수, "은퇴 절벽" 원더박스 2016
20 권인탁, "예비퇴직자의 은퇴 후 재무설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콘텐츠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175-199, 2015
21 이용환, "실업시대 희망사전" 이담 2010
22 윤진, "성인·노인 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1985
23 이숙경, "서비스디자인 관점에서 본 이해관계자의 취업지원이 비자발적 퇴직자의 구직활동에 미치는 영향" 820-823, 2018
24 최성훈, "산업체 남성 퇴직자들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행복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6 (36): 49-58, 2012
25 윤종만, "비자발적 퇴직자의 대처전략의 영향요인과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8 (28): 193-221, 2004
26 윤윤규, "비자발적 이직자의 일자리 이행경로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8
27 김지영, "비자발적 이직자의 경력전환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8 김선화, "부산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21 : 95-131, 2010
29 윤도혜, "베이비부머 세대 비자발적 조기퇴직자들의 일상학습 연구 : 해운산업 퇴직자를 중심으로"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8 (8): 103-125, 2017
30 이수분, "미취업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187-208, 2010
31 김미혜, "노년을 위한 퇴직준비교육 모형의 개발" 13 (13): 15-29, 1993
32 박영희, "남편은퇴 후 가족관계변화가 노년기부부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탐라대학교 경영·사회복지대학원 2008
33 이가옥, "남성 연소노인의 은퇴 후 적응과정과 노년기 조망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93-120, 2005
34 김석란, "기업 퇴직 예정 근로자의 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S사 재취업 교육프로그램 사례분석" 한국산업교육학회 (26) : 51-68, 2013
35 황희숙, "고령자의 재취업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10 : 89-109, 2011
36 임지현, "고령사회를 대비한 예비퇴직자의 생애재설계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과정 연구 -Caffarella의 프로그램개발 상호작용모형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소 13 (13): 267-295, 2015
37 전지영, "경력전환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성인교육 종사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5
38 손영미,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예측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 (20): 165-184, 2016
39 Colaizzi, P. F., "간호의료연구와 통계분석" 수문사 1998
40 Salsbury, G., "What Retirees Want : They want financial expertise-and a healthy dose of retirement counseling" 103 (103): 18-21, 2008
41 Gall, T. L., "The retirement adjustment process : Changes in the well-being of male retirees across time" 52 (52): 110-117, 1997
42 Buxton, J. W., "The mental health of early retirees" 40 (40): 99-105, 2005
43 Fronstin, P., "The impact of the erosion of retiree health benefits on workers and retirees" EBRI 1-20, 2005
44 Connelly, R., "The effect of child care costs on marrie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74 (74): 83-90, 1992
45 Kremer, Y.,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and retirement : self-health assessment of Israeli retirees" 20 (20): 61-66, 1985
46 Spencer, A. L., "Sensons" Pauist Press 1982
47 Mobley, W. H., "Review and conceptual analysis of the employee turnover process" 86 (86): 493-, 1979
48 Wang, M., "Profiling retirees in the retirement transition and adjustment process : Examining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retirees' psychological well-being" 92 (92): 455-475, 2007
49 Bailey, M., "Physical activity alone and with others as predictors of sense of belonging and mental health in retirees" 9 (9): 82-90, 2005
50 Hepworth, S. J., "Moderating factors of the psychological impact of unemployment" 53 (53): 139-145, 1980
51 Bossé, R., "Mental health differences among retirees and workers : Findings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2 (2): 383-, 1987
52 Riddick, C. C., "Life satisfaction for older female homemakers, retirees, and workers" 7 (7): 383-393, 1985
53 Jang, S. Y., "Korean culture and the reentry motivations of university-graduated women" 54 (54): 273-290, 2004
54 Caplan, R. D., "Job seeking, reemployment, and mental health : A randomized field experiment in coping with job loss" 74 (74): 759-, 1989
55 Rife, J., "Job search discouragement and the older worker :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14 (14): 71-94, 1990
56 DeFrank, R. S., "Job loss : An individual level review and model" 28 (28): 1-20, 1986
57 Leana, C. R., "Individual responses to job loss : Perceptions, reactions, and coping behaviors" 14 (14): 375-389, 1988
58 Kanfer, R., "Individual differences in successful job searches following lay‐off" 38 (38): 835-847, 1985
59 Strumpf, E., "Employer-sponsored health insurance for early retirees : impacts on retirement, health, and health care" 10 (10): 105-147, 2010
60 Leonesio, M. V., "Early retirees under Social Security: Health status and economic resources" 63 (63): 1-16, 2000
61 Zhan, Y., "Bridge employment and retirees’ health :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14 (14): 374-389, 2009
62 Fryer, D., "Being unemployed :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unemployment" 1 (1): 235-277, 1986
영어 전공자들의 진로교육 강화를 위한 현장실습과정 도입 및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