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벤처투자계약상 주식매수청구권의 활용 및 배제에 관한 소고 = Venture Capital Investment Contract: Contracting in and Contracting out of Appraisal Righ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98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벤처투자계약상 주식매수청구권과 관련된 두 가지 논점에 관한 법적 기반을 고찰하였다. 첫 번째는 상법과는 다른 요건사실에 기초한 주식매수청구권 발생 계약의 활용과 그 법...

      본 논문은 벤처투자계약상 주식매수청구권과 관련된 두 가지 논점에 관한 법적 기반을 고찰하였다. 첫 번째는 상법과는 다른 요건사실에 기초한 주식매수청구권 발생 계약의 활용과 그 법적 한계이며, 두 번째는 상법상 인정되는 주식매수청구권을 주주간 또는 주주와 회사 간의 계약으로 배제할 수 있는가에 관한 문제이다.
      주식매수청구권은 회사의 중요한 결정에 반대하는 소수주주에게 상법이 제공하는 투하자본회수의 방안이다. 주식양도가 용이하지 않은 비상장회사의 경우 소수주주가 회사에게 자신의 주식을 매도함으로써 투하자본회수 가능성이 보호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벤처투자계약에서는 상법과는 다른 발생요건을 당사자간의 계약으로 정하여 주식매수청구권을 인정하는 경우가 많다. 벤처투자자 보호를 위한 방편으로 계약에 의하여 상법과는 다른 종류의 주식매수청구권이 인정되고 있는 바, 그 정함의 내용이 강행법규 또는 사회상규에 반하지 아니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관하여 벤처투자계약상 주식매수청구권의 활용과 한계에 관한 법적 기반을 살펴보았다.
      벤처투자계약에서 상법상의 주식매수청구권과 관련된 다른 논점은 활용이 아니라 배제 가능성에 있다. 특히 벤처투자자에게 동반매도청구권을 인정함에는 묵시적으로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배제의 약정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동반매도청구권을 행사하는 상황은 결국 합병 또는 이에 준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상법상 반대주주에게 주식매수청구권이 인정되기 때문이다. 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명시적으로 배제조항을 계약의 내용에 포함시킬 수 있겠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주식매수청구권이 소수주주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규정이라는 이유로 이를 강행규정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설령 주식매수청구권이 강행규정이라도 특수한 상황에서도 당사자간의 계약을 무조건 배척하여야 하는지는 의문이다. 이에 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우리 학설과 판례를 보충하는 차원에서 2018년 미국 델라웨어주 법원의 Manti Holdings LLC v. Authentix Acquisition Co. 판결을 소개한다. 델라웨어주 법원은 Manti 판결에서 회사법상 보통주에 인정되는 주식매수청구권의 법적 성격을 임의법규로 보아 당사자간의 유효한 계약으로 이를 배제할 수 있다고 판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본 고에서는 우리 벤처투자계약상 계약으로 정할 수 있는 주식매수 청구권 발생원인의 다양성과 한계에 관한 법적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경영권을 보유한 창업주주가 재무적투자유치를 위해 스스로에게 주어진 상법상의 주식매수청구권을 배제하는 약정의 유효성 인정 가능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ppraisal right is the statutory remedy to protect dissenting shareholders from fundamental changes of their company. The purpose of statutory right is to protect minority shareholders. The issuer of shares frequently give broaden contractual appraisa...

      Appraisal right is the statutory remedy to protect dissenting shareholders from fundamental changes of their company. The purpose of statutory right is to protect minority shareholders.
      The issuer of shares frequently give broaden contractual appraisal remedies to venture capitalists and private equity investors so as to protect investors from fraudulent behavior or misrepresentation of the share company.
      The large financial investor, to prevent common stockholders from seeking appraisal, wants to waiver appraisal right of minority shareholders, especially for the exercise of drag-along right. It is unclear whether drag-along rights with an appraisal waiver is enforceable under Korean law.
      In this paper, the author explores two questions: (1) the legal basis enabling create a contract between investors and company on the triggering events of appraisal rights; and (2)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tockholders can, via contract, validly waive their statutory appraisal right.
      There is no clear authority, however, upholding drag-along rights with appraisal waivers in Republic of Korea. The author, therefore, introduces Manti Holdings, LLC v. Authentix Acquisition Co. case where Delaware court rules that unambiguous stockholders' contract provision providing stockholders to refrain from exercising statutory appraisal rights is enforceable and does not violate of the Delaware General Corporation Law.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혁준, "주주인 이사에 대한 주주간 계약의 구속력- 대법원 2013. 9. 13. 선고 2012다80996 판례 평석 -" 법학연구소 42 (42): 155-171, 2018

      2 이중기, "주주간계약의 회사규범성과 그 한계: 사적자치와 보충성의 원칙, 계약에 기한 특정이행청구의가부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0 (20): 359-417, 2019

      3 천경훈, "주주간 계약의 실태와 법리 -투자촉진 수단으로서의 기능에 주목하여-" 한국상사판례학회 26 (26): 3-44, 2013

      4 이동건, "주주간 계약의 실무상 쟁점 - 작성 시 주의 사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67) : 2014

      5 이승환, "주식매수청구권의 배제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경제법학회 18 (18): 33-55, 2019

      6 노미리, "주식매수청구권의 남용 방지에 관한 연구 - 델라웨어주 일반회사법의 비교법적 고찰 -" 한국상사법학회 38 (38): 49-103, 2019

      7 김희철, "주식매수청구권 차익거래 예방을 위한법적 기반 연구 - 미국 델라웨어주의 최근 법 개정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50 (50): 347-368, 2015

      8 양만식, "상법상 주식양도제한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법률학회 30 (30): 155-187, 2020

      9 박상철, "벤처투자계약의 국내법상 수용과 관련한 쟁점 - 상환전환우선주 조항의 효력을 중심으로 -" 한국상사법학회 37 (37): 383-419, 2018

      10 한국벤처투자(주), "벤처기업을 위한 벤처캐피탈 투자계약서 해설서"

      1 노혁준, "주주인 이사에 대한 주주간 계약의 구속력- 대법원 2013. 9. 13. 선고 2012다80996 판례 평석 -" 법학연구소 42 (42): 155-171, 2018

      2 이중기, "주주간계약의 회사규범성과 그 한계: 사적자치와 보충성의 원칙, 계약에 기한 특정이행청구의가부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0 (20): 359-417, 2019

      3 천경훈, "주주간 계약의 실태와 법리 -투자촉진 수단으로서의 기능에 주목하여-" 한국상사판례학회 26 (26): 3-44, 2013

      4 이동건, "주주간 계약의 실무상 쟁점 - 작성 시 주의 사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67) : 2014

      5 이승환, "주식매수청구권의 배제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경제법학회 18 (18): 33-55, 2019

      6 노미리, "주식매수청구권의 남용 방지에 관한 연구 - 델라웨어주 일반회사법의 비교법적 고찰 -" 한국상사법학회 38 (38): 49-103, 2019

      7 김희철, "주식매수청구권 차익거래 예방을 위한법적 기반 연구 - 미국 델라웨어주의 최근 법 개정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50 (50): 347-368, 2015

      8 양만식, "상법상 주식양도제한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법률학회 30 (30): 155-187, 2020

      9 박상철, "벤처투자계약의 국내법상 수용과 관련한 쟁점 - 상환전환우선주 조항의 효력을 중심으로 -" 한국상사법학회 37 (37): 383-419, 2018

      10 한국벤처투자(주), "벤처기업을 위한 벤처캐피탈 투자계약서 해설서"

      11 염미경, "계약에 의한 주식양도제한의 효력" 한국경영법률학회 19 (19): 33-66, 2009

      12 윤성승, "계약에 의한 주식양도제한에 관한 검토" 한국기업법학회 26 (26): 113-134, 2012

      13 Barry M. Wertheimer, "The Purpose of the Shareholder’s Appraisal R" 65 (65): 678-679, 1998

      14 Hideki Kanda, "The Appraisal Remedy and the Goal of Corporate Law" 32 (32): 1985

      15 이제원, "PEF의 M&A 관련 계약 주요 유형에 대한 검토 - 경영권 인수형 M&A를 중심으로 -" 한국금융법학회 17 (17): 121-154, 2020

      16 Mary Siegel, "Back to the Future: Appraisal Rights in the Twenty-First Century" 32 (32): 105-110,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5 0.772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