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myeong Jo Sik (1501-1572)’s 「Shinmyeongsadomyeong」 shows one’s worrying and overcoming process in building up his moral character and reaching the saintly state and clearly reveals ‘Strict Discipline’. You can find five literary works 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63505
전병철 (경상대학교)
2009
Korean
Nammyeong Jo Sik ; 「Shinmyeongsadomyeong」 ; Guam Lee Jeong ; 「Shinmyeongsabu」 ; Donggang Kim Woo Ong ; 「Cheongunjeon」 ; Hansa Gang Dae Soo ; 「Shinmyeongsagi」 ; Taegye Ha Jin ; Myeonwoo Gwak Jong Seok. ; 南冥 曺植 ; 「神明舍圖銘」 ; 龜巖 李楨 ; 「神明舍賦」 ; 東岡 金宇顒 ; 「天君傳」 ; 寒沙 姜大遂 ; 「神明舍記」 ; 台溪 河溍 ; 俛宇 郭鍾錫. ; Nammyeong Jo Sik ; 「Shinmyeongsadomyeong」 ; Guam Lee Jeong ; 「Shinmyeongsabu」 ; Donggang Kim Woo Ong ; 「Cheongunjeon」 ; Hansa Gang Dae Soo ; 「Shinmyeongsagi」 ; Taegye Ha Jin ; Myeonwoo Gwak Jong Seok.
KCI등재
학술저널
315-360(46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mmyeong Jo Sik (1501-1572)’s 「Shinmyeongsadomyeong」 shows one’s worrying and overcoming process in building up his moral character and reaching the saintly state and clearly reveals ‘Strict Discipline’. You can find five literary works o...
Nammyeong Jo Sik (1501-1572)’s 「Shinmyeongsadomyeong」 shows one’s worrying and overcoming process in building up his moral character and reaching the saintly state and clearly reveals ‘Strict Discipline’. You can find five literary works of Nammyeong School Scholars succeeding to Nammyeong’s 「Shinmyeongsadomyeong」, and you can have an opportunity to learn ‘Study of the Mind of Nammyeong School’ formed around Jinju, one of Mt. Jirisan areas.
The works are Guam Lee Jeong’s 「Shinmyeongsabu」, Donggang Kim Woo Ong’s 「Cheongunjeon」, Hansa Gang Dae Soo’s 「Shinmyeongsagi」, Taegye Ha Jin’s 「Shinmyeongsagi」 and Myeonwoo Gwak Jong Seok’s 「Shinmyeongsabu」. You can induce two main conclusions after consideration of reinterpretation and contemporary meaning that these five works have.
Firstly, they succeed to Nammyeong’s 「Shinmyeongsadomyeong」 and illuminate their meaning and importance from each one’s position and perspective. The five works have different analytical methods of identifying key factors of 「Shinmyeongsadomyeong」 according to each one’s perspective and contemporary needs. Accordingly, central ideas that you try to highlight shall be different.
Secondly, when you see some of the authors from the genealogy of Nammyeong School, you will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ir works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Nammyeong School. You will discover the meaning of the pieces of Guam and Donggang in terms of ‘Inheritance and Propagation of Nammyeong School’. You can identify the pieces of Hansa and Taegye in terms of ‘Protection of School Ties’ at a crisis of Nammyeong School immediately after Injo rebellion against Gwanghaegun. Myeonwoo works show ‘How to spread the Study of the Mind of Nammyeong’ as a Confucian Mind Discipline at a moment of foreign invasion or at a national crisis.
국문 초록 (Abstract)
南冥 曺植(1501-1572)의 「神明舍圖銘」은 한 인물이 자신의 마음을 어떻게 수양하여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이겨내는 과정을 다룬 것으로, 그의 엄격한 수양론을 극명하게 ...
南冥 曺植(1501-1572)의 「神明舍圖銘」은 한 인물이 자신의 마음을 어떻게 수양하여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이겨내는 과정을 다룬 것으로, 그의 엄격한 수양론을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남명의 「신명사도명」을 계승한 남명학파 학자들의 문학 작품 5편을 통시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지리산권 가운데 하나인 진주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남명학파의 마음 공부를 이해하는 일단의 실마리로 삼았다.
대상으로는 삼은 작품은 龜巖 李楨의 「神明舍賦」, 東岡 金宇顒의 「天君傳」, 寒沙 姜大遂의 「神明舍記」, 台溪 河溍의 「神明舍記」, 俛宇 郭鍾錫의 「神明舍賦」 등이다. 이 5편의 문학 작품이 가지는 재해석의 면모와 시대적 의미를 고찰해 볼 때, 크게 두 가지 정도로 그 결론을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남명의 「신명도사명」을 각기 계승하되 그것이 함유하고 있는 의미와 중요성을 저마다의 입지와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5편의 작품들은 자신의 관점과 시대적 필요에 의거해 「신명사도명」의 핵심을 파악하는 해석의 각도가 차이를 빚게 되었다. 따라서 부각시키려 한 중심 내용이 달라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둘째, 남명학파의 계보상에서 저자들을 구분해 볼 때, 그들의 작품이 가지는 의의를 남명학파의 시대적 상황과 연관시켜 가늠해 보게 된다. 구암과 동강의 작품은 ‘남명학의 계승과 전파’라는 측면에서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한사와 태계의 작품은 인조 반정 직후 남명학파의 명맥이 끊어질 위기에 봉착하여 ‘학맥의 수호’라는 관점에서 해석해 볼 수 있다. 면우의 작품은 외세의 침략과 국가의 존망이 위태로운 시기에 유학적 마음 수양의 指南으로서 ‘남명의 심학을 천양’한 것이라고 규정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충렬, "「神明舍圖ㆍ銘」의 새로운 고석" 남명학연구원 11 : 2002
2 曺植, "사람의 길 배움의 길 - 學記類編" 한길사 2002
3 이상필, "면우 곽종석" 진주문화연구소 (창간) : 2007
4 이상필,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와우출판사 2005
5 조일규, "남명의 神明舍圖ㆍ銘과 언어 구조" 평택대학교 18 : 2004
6 李楨, "龜巖集"
7 이상필, "龜巖 李楨의 學問 標的" 경남문화연구원 23 (23): 263-285, 2007
8 이세동, "龜巖 李楨의 中庸學" 퇴계연구소 (44) : 265-300, 2009
9 朱熹, "近思錄"
10 河沆, "覺齋集"
1 김충렬, "「神明舍圖ㆍ銘」의 새로운 고석" 남명학연구원 11 : 2002
2 曺植, "사람의 길 배움의 길 - 學記類編" 한길사 2002
3 이상필, "면우 곽종석" 진주문화연구소 (창간) : 2007
4 이상필,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와우출판사 2005
5 조일규, "남명의 神明舍圖ㆍ銘과 언어 구조" 평택대학교 18 : 2004
6 李楨, "龜巖集"
7 이상필, "龜巖 李楨의 學問 標的" 경남문화연구원 23 (23): 263-285, 2007
8 이세동, "龜巖 李楨의 中庸學" 퇴계연구소 (44) : 265-300, 2009
9 朱熹, "近思錄"
10 河沆, "覺齋集"
11 하만흥, "覺齋 河沆의 學問과 詩世界" 경상대학교 2002
12 成汝信, "浮査集"
13 고순정, "浮査 成汝信 硏究" 경상대학교 1995
14 金宇顒, "東岡集"
15 朱熹, "朱子語類"
16 胡廣, "性理大全"
17 姜大遂, "寒沙集"
18 강성두, "寒沙 姜大遂 硏究" 경상대학교 2002
19 河溍, "台溪集"
21 최석기, "南冥의 「神明舍圖」ㆍ「神明舍銘」에 대하여" 남명학연구소 4 : 1994
22 曺植, "南冥集" 한길사 2001
23 전병윤, "南冥曺植의 「神明舍圖」 考察" 남명학연구소 (창간) : 1991
24 陳淳, "北溪字義" 예문서원 1993
25 郭鍾錫, "俛宇集"
26 이상필, "俛宇 郭鍾錫의 南冥學 繼承樣相" 경남문화연구원 28 : 201-232, 2009
27 강신표, "'신명사도ㆍ명'의 새로운 이해" 남명학연구소 14 : 2002
기획논문 : 면우 곽종석(郭鍾錫)의 학문(學問)과 사상(思想) ; 면우(면宇) 곽종석(郭鍾錫)의 성리설(性理說) -한주(寒洲) 성리설의 수용과 전파-
기획논문 : 면우 곽종석(郭鍾錫)의 학문(學問)과 사상(思想) ; 면우(면宇) 곽종석(郭鍾錫)의 정치철학(政治哲學)과 국권회복(國權恢復) 방향
기획논문 : 면우 곽종석(郭鍾錫)의 학문(學問)과 사상(思想) ; 면우(면宇) 곽종석(郭鍾錫) 문학사상(文學思想) 일고(一考)
기획논문 : 면우 곽종석(郭鍾錫)의 학문(學問)과 사상(思想) ; 면우(면宇) 곽종석(郭鍾錫) 한시(漢詩)의 인격미(人格美)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5-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98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