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가유산을 활용한 디지털 문화유산 개발 연구 -<2023 강릉대도호부관아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Heritage Utilizing National Heritage -Focusing on the <2023 National Heritage Media Art Case of Gangneung Daedohobu Gwa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828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네스코의 ‘디지털 문화유산 보존 헌장’과 우리나라의 ‘국가유산법’은 디지털 기술의 문화적 영향력을 인식하고, 이를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적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문화사업 흐름 속에 다양한 국가 차원의 디지털 문화유산 사업이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국가유산을 활용한 디지털 문화유산 개발 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형과 실천적 적용 방안은 충분히 논의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디지털 문화유산 개발 모형 5단계’를 제안하고, 각 단계 아래 세부 항목을 두어, 개발 과정의 범주를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해당 모형의 실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2023년 강릉대도호부관아에서 진행된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축제를 사례로 들어 이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문화유산 개발 모형 5단계’가 디지털 문화유산 개발 전반에 걸쳐 타당성과 체계성을 갖춘 개발 모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디지털 문화유산 개발 모형 5단계’는 향후 유사 프로젝트에서 전략적이고 지속 가능한 문화유산 개발을 위한 유용한 실천 도구로 기능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번역하기

      유네스코의 ‘디지털 문화유산 보존 헌장’과 우리나라의 ‘국가유산법’은 디지털 기술의 문화적 영향력을 인식하고, 이를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적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

      유네스코의 ‘디지털 문화유산 보존 헌장’과 우리나라의 ‘국가유산법’은 디지털 기술의 문화적 영향력을 인식하고, 이를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적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문화사업 흐름 속에 다양한 국가 차원의 디지털 문화유산 사업이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국가유산을 활용한 디지털 문화유산 개발 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형과 실천적 적용 방안은 충분히 논의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디지털 문화유산 개발 모형 5단계’를 제안하고, 각 단계 아래 세부 항목을 두어, 개발 과정의 범주를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해당 모형의 실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2023년 강릉대도호부관아에서 진행된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축제를 사례로 들어 이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문화유산 개발 모형 5단계’가 디지털 문화유산 개발 전반에 걸쳐 타당성과 체계성을 갖춘 개발 모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디지털 문화유산 개발 모형 5단계’는 향후 유사 프로젝트에서 전략적이고 지속 가능한 문화유산 개발을 위한 유용한 실천 도구로 기능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ESCO’s “Charter on the Preservation of Digital Heritage” and Korea’s “National Heritage Act” both recognize the cultural influence of digital technology and seek to apply it to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national-level digital cultural heritage projects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national cultural initiatives, theoretical models and practical approaches for developing digital cultural heritage based on national heritage have not been sufficiently explored.
      In response, this study proposes a “Five-Stage Model for Digital Cultural Heritage Development,” specifying detailed components under each stage to clarify and structure the development process. To examine the model’s practical applicability, an empirical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National Heritage Media Art Festival held in 2023 at the Gangneung Daedohobu Government Gwana.
      Th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Five-Stage Model can serve as a valid and systematic framework throughout the entire development process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Therefore, th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function as a practical and strategic too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in future similar projects.
      번역하기

      UNESCO’s “Charter on the Preservation of Digital Heritage” and Korea’s “National Heritage Act” both recognize the cultural influence of digital technology and seek to apply it to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Despi...

      UNESCO’s “Charter on the Preservation of Digital Heritage” and Korea’s “National Heritage Act” both recognize the cultural influence of digital technology and seek to apply it to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national-level digital cultural heritage projects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national cultural initiatives, theoretical models and practical approaches for developing digital cultural heritage based on national heritage have not been sufficiently explored.
      In response, this study proposes a “Five-Stage Model for Digital Cultural Heritage Development,” specifying detailed components under each stage to clarify and structure the development process. To examine the model’s practical applicability, an empirical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National Heritage Media Art Festival held in 2023 at the Gangneung Daedohobu Government Gwana.
      Th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Five-Stage Model can serve as a valid and systematic framework throughout the entire development process of digital cultural heritage. Therefore, th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function as a practical and strategic too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in future similar projec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