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악 교육과정 특성화 중·고등학교의 운영실태 비교 및 개선 방안 = The Current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of Music Curriculum Specialized Middle and High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38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curriculum operation in specialized middle and high schools of music subject curriculum and discuss ways of improvement. For this study, six specialized middle and high schools of music curriculum are analyzed based on student selection, operation of curriculum,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utilization of material resources, and regional status.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n regarding student selec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chool district units which students can apply based on the student selection standards of music curriculum specialized schools, and change the admission process for student selection. Second, in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activate elective courses in music curriculum specialized schools and calculate grade in the same way as art high schools. Third, in regarding human resources, the recruitment of regular teachers, administrative support, and support from dedicated organizations are required for professional, continuous and stable operation. Fourth, in regarding physical resources, both music curriculum specialized middle and high schools need equal budget support every year for efficient and collective budget execution. Fifth,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region, both music curriculum specialized middle and high schools need support on the operation of various programs linked to the regions for promotion, student recruitment, and regular performanc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curriculum operation in specialized middle and high schools of music subject curriculum and discuss ways of improvement. For this study, six specialized middle and high schools of music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curriculum operation in specialized middle and high schools of music subject curriculum and discuss ways of improvement. For this study, six specialized middle and high schools of music curriculum are analyzed based on student selection, operation of curriculum,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utilization of material resources, and regional status.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n regarding student selec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chool district units which students can apply based on the student selection standards of music curriculum specialized schools, and change the admission process for student selection. Second, in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activate elective courses in music curriculum specialized schools and calculate grade in the same way as art high schools. Third, in regarding human resources, the recruitment of regular teachers, administrative support, and support from dedicated organizations are required for professional, continuous and stable operation. Fourth, in regarding physical resources, both music curriculum specialized middle and high schools need equal budget support every year for efficient and collective budget execution. Fifth,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region, both music curriculum specialized middle and high schools need support on the operation of various programs linked to the regions for promotion, student recruitment, and regular performa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은, "해외사례분석을 통한 지역연계 학교예술교육에의 시사점 도출: 음악을 중심으로" 미래음악교육학회 5 (5): 159-180, 2020

      2 교육과학기술부, "학교 체육‧예술 교육 내실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1

      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4 이영미, "자유학년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음악과 교육과정 연계성 강화를 위한 교육정책 시사점 고찰" 미래음악교육학회 5 (5): 133-157, 2020

      5 최은식, "음악중점학교의 운영 실태와 발전방향" 한국음악교육학회 40 (40): 27-51, 2011

      6 유성창, "음악중점학교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연구소 18 (18): 751-773, 2014

      7 권덕원, "예술중점학교 성과 평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45-69, 2013

      8 권덕원, "예술중점학교 발전을 위한 모형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8 (8): 127-151, 2013

      9 문정수, "대전광역시교육청 예술 교육 활성화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대전광역시교육청 2016

      10 백미현, "교수 논문집 18" 그리스도신학대학교 2018

      1 정재은, "해외사례분석을 통한 지역연계 학교예술교육에의 시사점 도출: 음악을 중심으로" 미래음악교육학회 5 (5): 159-180, 2020

      2 교육과학기술부, "학교 체육‧예술 교육 내실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1

      3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4 이영미, "자유학년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음악과 교육과정 연계성 강화를 위한 교육정책 시사점 고찰" 미래음악교육학회 5 (5): 133-157, 2020

      5 최은식, "음악중점학교의 운영 실태와 발전방향" 한국음악교육학회 40 (40): 27-51, 2011

      6 유성창, "음악중점학교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연구소 18 (18): 751-773, 2014

      7 권덕원, "예술중점학교 성과 평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45-69, 2013

      8 권덕원, "예술중점학교 발전을 위한 모형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8 (8): 127-151, 2013

      9 문정수, "대전광역시교육청 예술 교육 활성화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대전광역시교육청 2016

      10 백미현, "교수 논문집 18" 그리스도신학대학교 2018

      11 박지혜, "교과중점학교 운영 사례 분석 연구: 부천시 교육과정 특성화 시범지구 사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85-1108, 2020

      12 한혜정, "교과 중점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현황 및 내실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30 (30): 99-124, 2012

      13 교육부, "고교 서열화 해소 및 일반고 교육 역량 강화 방안" 교육부 2019

      14 교육부, "고교 교육력 제고 사업 지원계획 발표(보도자료)"

      15 교육부, "‘20년 교과특성화학교 세부 운영 계획(안)" 교육부 2020

      16 교육부, "18년 고교 교육력 제고 사업 지원 계획 발표(보도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10-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Future Music Education -> The Journal of Future Mus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