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 효과 경로 분석 : 경기교육종단연구(GEPS)를 중심으로 = A Path Analysis Study on the School Effects of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 Based on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1642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교사 및 학생의 효과와 그 경로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의 학교효과 연구의 한계로 지적받는 학교교육의 투입-산출 모형을 ...

      이 연구는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교사 및 학생의 효과와 그 경로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의 학교효과 연구의 한계로 지적받는 학교교육의 투입-산출 모형을 넘어서 교육과정 내의 효과의 경로를 밝힘으로써 효과적인 학교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을 찾는데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서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4차년도 자료와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t/F 검증과 다층구조방정식(MSEM)을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4장의 1절은 교사 특징에 따른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경험과 효과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일반학교의 교사들보다 교사학습공동체에 경험과 효과 측면에서 긍정적이었다. 혁신학교 교사는 일반학교 교사에 비해 교사학습공동체의 도움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협력, 공동실천 그리고 성찰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일반교사는 교사학습공동체의 효과를 크게 체감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들은 부장교사나 기간제 교사에 비해 교사학습공동체의 도움도와 협력, 공동실천 그리고 성찰의 속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교사학습공동체는 기간제 교사에게 효과적이었다. 기간제 교사는 교사학습공동체의 도움의 정도를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했으며 공동실천과 성찰이 높았기 때문이다.
      이어 4장의 2절과 3절은 인지적 성취와 비인지적 성취에 영향력을 미치는 교사학습공동체의 효과를 확인하고 그 경로를 밝혔다. 분석 결과, 인지적 성취 일부와 비인지적 성취에서 긍정적인 영향력이 나타났다. 먼저 교사학습공동체의 인지적 성취 효과는 영어 과목에서만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비인지적 성취 효과는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차별 경험은 다소 완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학생의 인지적 성취에 대한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효과의 경로를 확인한 결과, 교사학습공동체가 발달할수록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촉진시키면서 수업 개선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의 효과 경로는 교사의 사회적 자본(교직만족도와 교사 열의)을 축적시키면서 학생과 교사의 관계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최종적으로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만족도를 높이고 차별 경험을 완화시키고 있었다.
      요컨대,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는 학교문화를 개선하면서 학생의 성취에 기여하는 효과적인 학교의 결정요인이었다. 여기서 나타난 학교문화의 개선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운영하고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성이 회복이라 할 수 있다. 효과와 그 경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지적 성취에서는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자 중심 수업이 촉진되었고 이러한 수업에 대해서 학생은 모든 과목에서 교사의 수업능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영어 과목의 경우는 성취로까지 이어졌다. 반면에 비인지적 성취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가 발달할수록 교사의 열의를 상승시키고 이는 교사와 관련한 학생의 학교적응력의 제고로 이어지면서 학생의 자아존중감은 높아지고, 차별 경험은 감소하였으며 학교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교사학습공동체는 개인주의와 고립주의로 점철되어 있던 교직 문화를 협력적인 문화로 바꾸면서 동료성이 깊어지고 학생과의 관계성이 좋아지는 등 교육공동체가 연대하는 긍정적인 학교문화 형성에 기여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학습공동체가 발달한 학교들은 공동체를 토대로 수업 개선이나 교육과정 재구성 등 교사의 전문성을 촉진하는 활동들을 적극적으로 개진해나가고 있었다. 특히, 이러한 활동들은 교사들의 교직만족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는 교사들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지면서 학생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교사학습공동체가 발달할수록 교사들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해 노력과 헌신을 쏟고, 이는 수업에서의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성을 회복시키면서 학교문화는 개선되고 학생은 이러한 학교에서 유의미한 성장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of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PLCs) on teachers and students including the path analysis.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PLCs as a factor in determining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of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PLCs) on teachers and students including the path analysis.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PLCs as a factor in determining effective schools by revealing the paths of effectiveness in the processes of schooling. Also, it was attempted to overcome the ‘input-output’ studies of school effectiveness, which is perceived as a limitation of the existing school effect research. To this end, t/F verific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f multi-layer structural equations (MSEM) were performed using data from the 4th and 6th years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Section 1 of Chapter 4 verified th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and effects of PLCs at the school unit leve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eachers in innovative schools had more positive experiences and effects on PLCs than teachers in general schools. Innovative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assistance of PLCs more positively than general school teachers, as the degree of cooperation, joint practice, and reflection were much higher. On the other hand, general teachers did not feel the effects of PLCs as much. This is because the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haracteristics of help, collaboration, de-privatization of Practice, and reflection of PLCs compared to headteachers or the temporary teachers. Lastly, PLCs have been effective for the temporary teachers. They perceived the degree of help from PLCs most positively because they had high levels of joint practice and reflection.
      Sections 2 and 3 of Chapter 4 confirmed the effect of PLCs influencing Student Academic Achievements and Non-cognitive Skills and established the pa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me of Student Academic Achievements and Non-cognitive Skill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First, the effect of PLCs' Student Academic Achievements was confirmed only in English subject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Non-cognitive Skills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satisfaction, and somewhat alleviated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
      Moreover,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ath of the effect of school-level PLCs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s, it was found that as PLCs develop, it promotes learner-centered classes and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classe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ive pathway of students' Non-cognitive Skills was found to improve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hile accumulating teachers' social capital (teaching profession satisfaction and teacher enthusiasm), which ultimately increased students' self-esteem and school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it was alleviating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summary, school-level PLCs were playing a role in determining effective schools that contributed to student achievement while improving school culture. The improvement of school culture shown here was found to be learner-centered classes and restoration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Looking at the effect and its path in detail on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the development level of school-level PLCs, the more learner-centered classes were promoted. And, with this kind of class, students positively perceived the teacher's teaching ability in all subjects, in the case of English subjects in particular, it led to academic achievement. Non-cognitive Skills on the other hand, as PLCs matured, teacher enthusiasm increased, which led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teacher-related) school adaptability. As a result, while the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have increased,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has decreased. In this way, PLCs changed the cultures of the teaching profession, which had been dotted with individualism and isolationism, into collaborative cultures. In other words, it wa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n affirmative school culture in which the educational community was united, such as deepening peer relationships and improving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etc. Further, schools with high maturity of PLCs were actively carrying out activities to promote teacher professionalism, such as class improvement or curriculum reorganization, based on the community. In particular, these activities not only increased teachers' professional satisfaction but were also accepted by students as a positive signal that teachers are working hard. In conclusion, as PLCs develop, teachers put more effort and dedication to create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As a result, the restoration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the classroom, and as the school cultures are matured, students can experience significant growth in these schoo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 문제 9
      • 제 2 장 선행 연구 검토 14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 문제 9
      • 제 2 장 선행 연구 검토 14
      • 제 1 절 학교효과에 대한 교사 영향 연구 14
      • 1. 효과적인 학교 연구 14
      • 2.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과 혁신학교 20
      • 제 2 절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연구 25
      • 1. 교사학습공동체 개념 25
      • 2.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정책 36
      • 제 3 절 교사학습공동체 효과 연구 38
      • 1. 국외의 교사학습공동체 효과 연구 39
      • 2. 국내의 교사학습공동체 효과 연구 45
      • 제 3 장 연구 방법 57
      • 제 1 절 분석 자료 57
      • 1. 경기교육종단연구 57
      • 2. 분석 대상 60
      • 3. 분석 자료의 제한점 61
      • 제 2 절 변인 구성 64
      • 1. 교사학습공동체 발달 수준 변인 65
      • 2. 학교 수준 변인 72
      • 3. 학생 수준 성취 변인 72
      • 4. 학생 수준 변인 75
      • 제 3 절 연구 방법 및 절차 81
      • 제 4 장 분석 결과 88
      • 제 1 절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교사 효과 88
      • 1.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현황 88
      • 2. 교사 특성에 따른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효과 91
      • 3. 소결 99
      • 제 2 절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인지적 성취 효과 104
      • 1. 관찰변인의 기초통계량 및 신뢰도 104
      • 2. 상관관계 및 정규성 검증 109
      • 3. 교사학습공동체 학생 효과에 대한 학교 간 차이 119
      • 4. 측정 모형 적합도 분석 120
      • 5. 인지적 성취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 효과 125
      • 가. 국어성장점수 126
      • 나. 영어성장점수 128
      • 다. 수학성장점수 130
      • 6. 소결 132
      • 제 3 절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비인지적 성취 효과 136
      • 1. 비인지적 성취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 효과 136
      • 가. 자아존중감 137
      • 나. 차별 경험 139
      • 다. 학교만족도 140
      • 2. 소결 143
      • 제 5 장 논의 및 결론 146
      • 제 1 절 논의 146
      • 제 2 절 요약 및 제언 161
      • 참고문헌 16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병욱, "교육사회학", 서울: 학지사, 2007

      2 정진화, "교사, 학교를 바꾸다", 서울: 살림터, 2016

      3 Purkey , S. C. & Smith , M. S., "Effective Schools : A review", 83 , 427-452 ., 1983

      4 서근원, "학교혁신의 패러독스", 서울: 강현출판사, 2012

      5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1

      6 Fullan , M., "Leading professional learning", 63 ( 10 ) , 10-14 ., 2006

      7 주삼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서울: 학지사, 2001

      8 Summers , A . A . & Wolfe , B. L., "Do School Makes a Difference ?", 67 ( 4 ) , 639-652, 1977

      9 곽수란, "효과적인 학교 결정요인",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10 Edmonds , R. R., "Effective Schools for The Urban poor", 37 , 15-27, 1979

      1 김병욱, "교육사회학", 서울: 학지사, 2007

      2 정진화, "교사, 학교를 바꾸다", 서울: 살림터, 2016

      3 Purkey , S. C. & Smith , M. S., "Effective Schools : A review", 83 , 427-452 ., 1983

      4 서근원, "학교혁신의 패러독스", 서울: 강현출판사, 2012

      5 김성천, "혁신학교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1

      6 Fullan , M., "Leading professional learning", 63 ( 10 ) , 10-14 ., 2006

      7 주삼환,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서울: 학지사, 2001

      8 Summers , A . A . & Wolfe , B. L., "Do School Makes a Difference ?", 67 ( 4 ) , 639-652, 1977

      9 곽수란, "효과적인 학교 결정요인",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10 Edmonds , R. R., "Effective Schools for The Urban poor", 37 , 15-27, 1979

      11 김진원, "교사 리더십 실행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21

      12 Jencks , C. S. & Brown , M. D., "Effects of High Schools on Their Students", 45 ( 3 ) , 273-324 ., 1975

      13 Jansen , J. D., "Effects of High Schools on their Students", 45 , 273-324, 1995

      14 Brophy , J. E., "Teacher Influences on Student Achievement", 41 ( 10 ) , 1069-1077 ., 1986

      15 남미자, 이경아, 송승훈, 백병부, "경기도 혁신고등학교 성과 분석", 경기도교육연구원, 2013

      16 김수영,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서울: 학지사, 2021

      17 성기선, "학교효과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 서울: 원미사, 1997

      18 서우철, "혁신학교와 전문적 학습 공동체", 교육비평, 34, 223-242, 2014

      19 강상진, 김성식, 김기석, "고교 평준화 정책 효과 실증 검토", 교육과 학사, 2010

      20 이성주, "초 중 고 학생의 학교만족도 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 구, 15(2), 569-588, 2015

      21 이용애, "교사의 사기저하 요인과 개선방안", 초등교육학연구, 5(1), 275-288, 1997

      22 김가윤, 최연철, "유치원 교사학습공동체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육 연구, 20(10), 1231-1247, 2020

      23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20 교육통계연보", 교육부 한국교육개발 원, 2020

      24 박철희, "혁신학교 교사문화의 특징과 과제", 교육비평, 33, 55-73, 2014

      25 배은주, "혁신학교 운영의 특징과 갈등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24(2), 145-180, 2014

      26 Coleman ,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94 , 95-120 ., 1988

      27 Coleman , J. S. , Thomas , H. & Sally , K., "Cognitive Outcomes in Public and Private Schools", 55 ( 2 ) , 65-76 ., 1982

      28 황연우,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종합연구, 14(1), 195-224, 2016

      29 Murnane , R. J, "Interpreting the evidence on school effectiveness", 83 , 19-35 ., 1981

      30 정진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3

      31 박지애, "국내 교사연구 동향에 관한 메타분석",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2

      32 Louis , K. S. & Marks , H., "Does Professional Community Affect the Classroom ?", 106 ( 4 ) , 532-575, 1998

      33 강호수, 정바울, 양수진, 안성신,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실태 조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8

      34 Shulman , L. S., "Those who understand :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 2 ) , 4-14 ., 1986

      35 Dufour , R., "What is a “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 61 ( 8 ) , 6-11, 2004

      36 김민조, "혁신학교 교육거버넌스의 특징과 과제", 교육비평, 33, 74-97, 2014

      37 Bidwell , C. E. & Kasarda , J. D., "School District Organization and Student Achievement", 40 ( 1 ) , 55-70 ., 1980

      38 백병부, 하봉운, 성열관, "경기도 혁신학교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39 박주경, 오영열, "초등학교 수학 학습부진 발생 경향 분석", 한국 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2), 265-283, 2013

      40 김민조, "학교 교육력 제고를 위한 학교문화 개선", 한국교육개발 원, 2016

      41 Leithwood , K. , Leonard , L. , & Sharratt , L., "Conditions fosteringorganizational learning in schools", 34 ( 2 ) , 243-276, 1998

      42 Jensen , B ., "Finding from TALIS and its Implication for South Korea", 6 ( 2 ) , 151-182, 2009

      43 김경근, 황여정,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결정요인", 교육사회 학연구, 16(3), 181-203, 2006

      44 강흥수, 임현정, 이정연, 김혁동, 김병준, "경기교육종단연구 4차년도 기초분석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45 김남균, 이현명, 심영택, 김민조,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7), 233-254, 2014

      46 배정현, 엄수정, 백병부, "연구학교로 본 고교학점제의 성과와 과제", 경기도교육연구원, 2021

      47 김송자, 박수정, 맹재숙,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교육연구논총, 34(1), 227-247, 2013

      48 백병부, "코로나19와 교육: 온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경기도교육 연구원, 2020

      49 서경혜,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 연구, 25(2), 53-80, 2008

      50 강정삼, "학교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학연구, 33(3), 281-308, 1995

      51 김성천, "혁신학교 정책의 여섯 가지 차원의 딜레마", 교육문화연구, 24(2), 33-56, 2018

      52 Barcikowski , R. S., "Statistical power with group mean as the unit of analysis", 6 , 267 ? 285, 1981

      53 성열관, 이순철, "혁신학교: 경쟁과 차별에서 배움과 돌봄으로", 서 울: 살림터, 2011

      54 Louis , K. S. , Marks , H. M. & Kruse , S., "Teachers ’ Professional Community in Restructuring Schools", 33 ( 4 ) , p.757-798 ., 1998

      55 김병준, 조형대, 임현정, 이정연, 오재길, "경기교육종단연구 1∼3차년 도 기초분석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56 서경혜, "학교 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 교육연구, 36(2), 105-130, 2019

      57 김주후, 배종현,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 비교분석", 교육 연구논총, 37(1), 27-56, 2016

      58 Hanushek , E. A ., "The Impact of Differential Expenditures on School Performance", 18 ( 4 ) , 45-61 ., 1989

      59 서경혜,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 운동의 의의와 과제", 교육과학 연구, 50(2), 1-28, 2019

      60 김준엽 , 성기선 , 박소영 , 민병철, "경기교육종단연구 연구설계 및 문 항개발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2

      61 김성식, 류방란, "교육격차: 가정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한 국교육개발원, 2006

      62 민윤, 최유리, 전종호, 이혜정, "혁신교육생태계 확장을 위한 교장리 더십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20

      63 박세준, 허소윤, 한은정, 하송이 , 이지혜, 이승호, "교사학습공동체의 속 성에 관한 질적 메타 분석", 교육학연구, 53(4), 77-101, 2015

      64 김아미, 홍제남, 조윤정, 정제영, 박주형, "미래학교 체제 연구: 학습자 주도성을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65 이경오,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교사리더십 개발 방안 탐색", 교육정치 학연구, 26(1), 111-132, 2019

      66 김양분, 황지희, 박병영, 남궁지영 , "학교 교육의 실태 및 수준 분석: 중학교 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2007

      67 박상완, "혁신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 육, 45(4), 109-138, 2018

      68 Krull , J. L. , & MacKinnon , D. P., "Multilevel mediation modeling in group-based intervention studies", 23 ( 4 ) , 418-444 ., 1999

      69 Phillips , J, "Powerful Learning : Creating Learning Communities in Urban Reform", 18 ( 3 ) , 240-258, 2003

      70 김이경, 박병선, "교사 사기 구성요인 탐색 및 수준 차이 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1(4), 321-343, 2014

      71 김경식, "교사기대 형성과 변화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 육연구, 54(2), 95-121, 2006

      72 추지윤,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화 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7

      73 Krull , J. L. & MacKinnon , D. P., "Multilevel modeling of individual and group level mediated effects", 36 ( 2 ) , 249-277 ., 2001

      74 Darling-Hammond , L. & McLaughlin , M. W., "Policies That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n Era of Reform", 76 ( 8 ) , 597-604 ., 1995

      75 안우환, "교사-학생 관계 사회적 자본과 학업성취화의 관계", 아시아 교육연구, 8(3), 269-289, 2007

      76 김은경, 임소현, 이윤희, 윤수경, "교사의 수업개선활동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20(3), 647-670, 2019

      77 도종훈, "수학 내적 연결성의 관점에서 중학교 수학 재조명", 교육발 전, 27(1), 15-27, 2017

      78 서경혜, "집단전문성 개발을 위한 한 접근: 교사학습공동체", 서울: 학지사, 2015

      79 이춘자, "C 유치원 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분석", 교육 과학연구, 51(3), 83-104, 2020

      80 이종재, "참된 학업성취를 위한 전문적 공동체의 형성 조건.", 교육 개발, 147(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4

      81 김복순, "학습자 중심 수업이 상 하위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언어 연구, 24(2), 1-18, 2007

      82 Midgley , C. & Wood , S., "Beyond site-based management : Empowering teachers to reform schools", 75 ( 3 ) , 245-252 ., 1993

      83 오찬숙, "교사학습공동체 특성에 따른 공유와 정착과정 연구", 한국 교원교육연구, 33(1), 297-328, 2016

      84 박수정, 방효비, "교사학습공동체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 623-639, 2019

      85 김삼진, "덕양중학교 교사 일동 덕양중학교 혁신학교 도전기", 맘에 드림, 2012

      86 정바울, 황영동, "자생적 학교 혁신의 확산 경로와 과정에 대한 연 구", 교육행정학연구, 29(2), 313-338, 2011

      87 Preacher , K. J. , Zyphur , M. J . & Zhang , Z, "A general multilevel SEM framework for assessing multilevel mediation", 15 ( 3 ) , 209-233 ., 2010

      88 이지영, "경기도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정책의 효과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89 김성아, 송경오, "교사공동체 기반 교사 리더십 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6(3), 153-181, 2019

      90 이정훈, "학습공동체로서의 작은 학교 운동에 관한 연구 분석", 초등 교육연구, 16(1), 23-43, 2003

      91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 국심리학회, 19(1), 161-177, 2000

      92 박시영, 홍석희, 주주자, 조윤정, 임현화, "전문적 학습공동체 사례 연 구를 통한 성공요인 분석",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93 나혜원, 장은지, "혁신학교와 일반 학교의 교사효능감 영향 요인 탐 색", 교육혁신연구, 28(3), 351-374, 2018

      94 김지혜, "교사의 사회적 자본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95 김혜영, 홍창남, "학교 내 교사 협력이 학교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분 석", 교육혁신연구, 25(2), 193-220, 2015

      96 김태수, "기간제 교사의 학교에서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학 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6), 607-627, 2018

      97 박철웅, 허병기, "기간제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 구", 교육행정학연구, 31(3), 51-72, 2013

      98 류광모, 이한진, 손성호, "지속가능한 혁신교육 확산을 위한 학교장의 역량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4). 87-107, 2019

      99 송경오, 최진영, "초 중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측정모형 및 수준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170-201, 2010

      100 정주영, 주영효, "중등교사의 교직만족도 영향 요인 및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6(2), 309-333, 2020

      101 박미희, 백병부, "경기도 혁신학교 성과 분석: 교육격차 감소를 중 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102 조형대, "교육학 분야에서 구조방정식 활용의 문제점과 대안제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03 박병기, 박선미, "다층자료의 매개효과 분석: 통계방법, 분석절차 및 실례", 감성과학, 19(4), 95-110, 2016

      104 Fullan, M., Hargreaves, A., "학교를 개선하는 교사. (최의창 역). 서울: 레인보우북스", (원서출판 1996), 2013

      105 Featherman , D. L. & Hauser , R. M., "Prestige or Socioeconomic Scales in the Study of Occupational Achievement ?", 4 ( 4 ) , 403-422 ., 1976

      106 고정화,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기초학력 미도달 학생의 특징 분 석", 수학교육학연구, 18(3), 283-308, 2008

      107 양정호, 한희진, "교사공동체가 중학생의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 향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4), 117-140, 2011

      108 김병찬, 조민지, 윤정, 유경훈, "하늘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에 관한 질 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4(2), 27-56, 2017

      109 Harris , A, "Teacher leadership as distributed leadership : Heresy , fantasy or possibility ?", 23 ( 3 ) , 313-324 ., 2003

      110 조현국, "학교 유형별 기간제 교사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 석", 경제학연구, 61(2), 5-29, 2012

      111 Braun , V., "Molecular organization of the rigid layer and the cell wall of Escherichia coli .", Volume 128 , Issue Supplement_1 , July 1973 , Pages S9 ? S16 ., 1973

      112 Bowels , S. & M. Levin, "The determinants of scholastic achievement : An appraisal of some recent evidence", 3 . 3-24, 1968

      113 천세영, 황현주, "학생, 교사,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7(2), 251-272, 1999

      114 Huffman , J, "The Role of Shared Values and Vision in Crea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87 ( 637 ) , 21-34, 2003

      115 김영주, "동학년 교사연구공동체의 운영 모습: 한 혁신초등학교의 사례", 교육연구논총, 39(1), 203-230, 2018

      116 김위정, 남궁지영 , "수학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급별 특 성 비교 분석", 교육평가연구, 27(1), 231-254, 2014

      117 김명식, 이규미, "중학생 학교적응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1), 27-40, 2008

      118 York-Barr , J . & Duke , K., "What do we know about teacher leadership ? Findings from two decades of scholarship", 74 ( 3 ) , 255-316, 2004

      119 서경혜, "온라인 교사공동체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 인디스쿨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133-161, 2011

      120 남미자, 조윤정, 정진화, 이규대, "경기도 혁신고등학교 교육과정 구 성 및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121 김일주, 한대동, 성병창,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효과와 과 외효과의 비교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1(2), 33-54, 2001

      122 Mondale, S., Patton, S. B., "스쿨 미국 공교육의 역사 1770∼ 2000 (유성상 역). 서울: 학이시습", (원DVD제작 2001), 2014

      123 김종훈,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들이 인식하는 수업 나눔의 의미와 그 특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3), 101-122, 2019

      124 강호수, 송승원, 김한나, 김지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학습공동 체의 특성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연구, 16(4), 769-791, 2016

      125 Hanushek , E. A, "Teacher Characteristics and Gains in Student Achievement : Estimation Using Micro Data", 61 , 280-288, 1971

      126 Zhang , Z. , Zyphur , M. J . & Preacher , K. J ., "Testing Multilevel Mediation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s : Problems and Solutions", 12 ( 4 ) , 695-719 ., 2009

      127 박주호, 송인발, "교사의 전문성 개발활동이 교과 및 교수 전문성향상에 미친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6(1), 63-83, 2015

      128 손준종, "기간제 교사의 신분 부정의와 도덕적 배제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사회학연구, 29(4), 89-123, 2019

      129 김민조, 김효정, "학교 내 교사 협력이 교사의 학교 개혁 실천에 미 치는 영향 참색", 교육행정학연구, 29(3), 77-99, 2011

      130 김순남, 허주 , 허은정, 전제상, 이동엽, 서경혜 , 박영숙, "학교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 원, 2016

      131 오욱환,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 . 교육과학사", (원서출판 2005), 2013

      132 이현명, "다양한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전문학습공동체(PLC) 사례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9), 457-485, 2015

      133 손준종,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의 불안정 경험과 그 대응에 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 1511-1538, 2021

      134 김유정, 최인철, 박리리, "영어학업성취도, 자기효능감, 지각된 교사수 업능력간의 종단관계", 글로벌영어교육학회, 22(1), 91-115, 2017

      135 박채원, "전문적학습공동체 실천 연구: 농촌지역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6(3), 75-95, 2017

      136 Long , J. F. & Hoy , A. W., "Interested Instructors : A Composite Portrait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Effectiveness", 22 ( 3 ) , 303-314 ., 2006

      137 주 현, "SNS기반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사례연구: 교사 전문성을 중 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2(4), 127-150, 2016

      138 고연주, 임규연, 이현주, 김영주,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주 제분석법을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429-457, 2017

      139 김하늬, 손은령,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 학교적응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361-381, 2019

      140 김성식,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 향상과 격차 변화에 대한 학 교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41 오욱환, "사회자본의 교육적 해석과 활용 -콜먼으로부터 그리고 그를 넘어서-", 서울: 교육과학사, 2017

      142 Little , J. W., "The Persistence of Privacy : Autonomy and Initiative in Teachers ’ Professional Relations", 91 ( 4 ) , pp . 509-536, 1990

      143 박철희, 최화숙, 장인실, "경기도교육청의 교원연수체제 및 교원연수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 475-495, 2012

      144 강호수, "중학교 교사의 전문성개발 활동과 학습자중심수업의 관계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685-705, 2019

      145 김유리, 안도희, "청소년들의 자기주도학습, 관계성, 자아개념 및 학 업성취 간의 관계", 교육학연구, 52(1), 1-25, 2014

      146 김병찬, 황선필, "초등학교 업무 부장교사 리더십 현상과 의미에 관 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9(1), 217-250, 2021

      147 교육부, "2025년, 포용과 성장의 고교 교육 구현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 발표", 교육부 고교교육혁신과, 2021

      148 Hargreaves , A, "Teacher Collaboration : 30 Years of Research on its Nature , Forms , Limitations and Effects", 25 ( 5 ) , 603-621, 2019

      149 Pituch , K. A . & Stapleton , L. M., "The performance of methods to test upper-level mediation in the presence of nonnormal data .", 43 ( 2 ) , 237-267 ., 2008

      150 이경호, 이준희, "전문가 학습공동체 구현양상에 관한 질적 연구: 혁 신학교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8(2), 231-259, 2015

      151 류방란, 송혜정, "초 중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에 미치는 가정과 학교 경험의 영향력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0(3), 1-25, 2009

      152 Rist , R. C., "Student social class and teacher expectation : The self-fulfilling prophecy in ghetto education", 40 ( 3 ) , 411-451 ., 1970

      153 오춘식,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 및 학교 수준 변인과 학교 효과 성의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54 윤석주,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사공동체를 통한 수업혁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217-241, 2016

      155 유재경, 이주영, "교사학습공동체 풍토와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 교 사소진의 구조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7(1), 109-134, 2020

      156 민병철, 박소영, "참된 교수방법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교육, 35(4), 131-151, 2008

      157 Preacher , K. J. , Zyphur , M. J . & Zhang , Z, "Alternative methods for assessing mediation in multilevel data : The advantages of multilevel SEM", 18 ( 2 ) , 161-182, 2011

      158 Kline, R. B., "구조방정식모형 원리와 적용. (이현숙 김수진 전수 현 공역) 서울: 학지사", (원서출판 2005), 2010

      159 김경희, 이현숙, 신진아 ,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교육 맥락 변인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분석", 교육평가연구, 26(2), 477-506, 2013

      160 민희자, "학교장 지도성과 학생의 학교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교사사 기의 매개효과", 교육행정학연구, 29(3), 101-117, 2011

      161 홍지인, 구하라, "교사협력과 공식적 교사학습이 학습자 중심 교수활동 실천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7(4), 563-576, 2018

      162 Sergiovanni, T. J., "학교공동체 만들기: 배움과 돌봄을 위한 도 전(주철안 역). 에듀케어: 서울", (원서출판 1994), 2004

      163 박미희, 배정현, "교사학습공동체 효과 분석: 경기도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7(1), 309-338, 2020

      164 김지선, 김지영, "중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교사사기, 건강 및 진 로의식 간의 관계 분석", 홀리스틱연구, 19(4), 33-60, 2015

      165 이지은, 임효진,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수업능력,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의 종단적 변화", 청소년학연구, 23(6), 71-95, 2016

      166 장윤숙, 한유경, "초등학교 학습조직 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사기 열의에 대한 차이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5(4), 117-141, 2018

      167 박대권, 허소윤, 한송이, 이승호, 양민석, 박세준,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 체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4(2), 85-113, 2016

      168 정바울, "Lortie의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재조명: 학교 변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8(4), 167-188, 2011

      169 Strahan , D., "Promoting a Collaborative Professional Culture in Three Elementary Schools That Have Beaten the Odds", 104 ( 2 ) , 127-146, 2003

      170 김남균, 심영택, 김종원, 김민조, "교사들의 반(半) 자발성에서 출발한 하굑내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3(4), 223-248, 2016

      171 손윤희,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매개효과 분석 -모의실 험 연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72 김은주, "중학생의 일상생활에서의 차별경험, 스트레스, 학교부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인격교육, 10(1), 79-97, 2016

      173 김예진,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사학습공동체, 지식공유, 직무 수행간의 구조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74 김경식, 이현철, "사회적 자본으로서 부모, 교사, 교우 관계와 학업성 취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중등교육연구, 58(1), 203-225, 2010

      175 권오남, 윤정은, 김도연,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탐색 –국내 수학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 45-68, 2016

      176 이혜정, 박진아, 강민서, 조민지, "혁신고등학교의 교육과정 혁신을 통한 학생 의 변화와 성장에 관한 사례 연구", 교육연구논총, 41(2), 239-266, 2020

      177 Fullan, M., Hargreaves, A., "교직과 교사의 전문적 자본: 학교 를 바꾸는 힘. (진동섭 역). 파주: 교육과학사", (원서출판 2012), 2014

      178 Lea , S. U. , Stephenson , D. , & Troy , J ., "Higher education students ’ attitudes to student centered learning : Beyond ‘ educational bulimia ’", 28 ( 3 ) , 321-334 ., 2003

      179 서경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 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2009

      180 김성천, 양정호, "전문성을 지닌 교사리더로 성장하기: 협동학습연구 회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7(4), 1-33, 2007

      181 Bryk , A. , Camburn , E. , & Louis , K. S., "Professional community in Chicago elementary schools : Facilitating factors and organizational consequences", 35 ( Suppl . ) , 751-781 ., 1999

      182 김한솔, 윤혜원, "혁신학교가 학습자 중심 수업방법을 매개로 고등학 생의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 33(1), 91-117, 2020

      183 구하라 , 함승환 , 차윤경 , 양예슬, "교사협력 학교풍토와 학습자 자율성 촉진 교수: 아시아 태평양 세 국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4(3), 355-376, 2014

      184 강호수 , 최인희 , 최보미 , 이영주 , 송승원, 박경호 , 남궁지영 , 김양분, 김미숙 , "2016한국교육종단연구 한국교육종단연구2013(Ⅳ): 중학생 의 교육경험과 교육성취(Ⅰ)", 한국교육개발원, 2016

      185 김범주, "교사 간 협력 정도가 학교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37(1), 163-182, 2020

      186 배정현, 조윤정, "교사학습공동체 기반 연수에 관한 질적연구: 교과연 수년 직무연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2(2), 33-65, 2015

      187 박나실, 장연우, 소경희, "내부로부터의 학교 변화: 학교 안 교사학습 공동체의 형성 및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교육과정연구, 33(4), 91-114, 2015

      188 장연우,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천적 의미 탐색 -들풀중 독서토론모임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89 Vescio , V. , Ross , D. & Adams , A, "A Review of Research on the Impact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n Teaching Practice and Student Learning", 24 , 80 ? 91, 2008

      190 김나영, 이다경 , 변상민, 김지혜, "다층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동료교사 와의 협력정도가 교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8(4), 661-682, 2017

      191 김용석, 한선영, "학습자의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이 수학 학업성취도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학교수학, 22(3), 537-566, 2020

      192 Lee , S. J, "The Relations Between The Student-Teacher Trust Relationship and School Success in the Case of Korean Middle Schools", 33 ( 2 ) , 209-216, 2007

      193 김혜영, 홍창남, 김혜진, "교사 협력이 교사 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2(2), 123-148, 2015

      194 김종훈, "교사들이 형성한 공동체의 의미: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연계와 협력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과정연구, 36(3), 29-47, 2018

      195 조한익, "교사열정, 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아동교육, 24(1), 337-351, 2015

      196 김선희, 최윤정, 이혜은, "중학생의 사회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학교 차원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교육문화연구, 26(6), 307-335, 2020

      197 곽영순, 최성연, 최미숙, 채선희, 이미경, 민경석, 나귀수, "PISA 2003 결과 심층 분석 연구: 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198 오찬숙, "융 복합시대를 대비하는 학교차원의 융합교육 실행 방안 탐구-고등학교 사 례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7(1), 331-365, 2019

      199 이자형, 임혜정, "특성화고 학생의 차별 경험과 학교만족도 관계에서 교사관계와 정신건강의 이중매개효과", 직업교육연구, 40(2), 123-143, 2021

      200 이현명, "C 교육대학교와 부설초등학교 간의 영어교과 전문교사학 습공동체(PLC) 활동의 실제와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3), 585-623, 2012

      201 박도영, "다층구조방정식모형에 의한 학교교육효과의 경향 분석 - 고등학교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 교육평가연구, 24(2), 345-376, 2011

      202 김은경, 정혜린, 이강이, "혁신학교 중학생이 인식한 학습자 중심 수 업방법, 학교만족도의 궤적 및 학교적응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 육연구, 18(3), 275-299, 2018

      203 배병렬, "Amos 19 구조방정식모델링 : 원리와 실제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 principles and practice", 서울: 청람, 2013

      204 김갑성 , 허주 , 최원석 , 이희현 , 이슬아, 이상은 , 이동엽 , 김소아 , 김민규 , "교직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 정책 혁신 과제(Ⅱ): 교사전문성 개발 지원 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8

      205 김여경, 최진영, 오지연, "초등학교 내 교사 주도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장 주도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비교 연구", 교원교육, 32(2), 213-241, 2016

      206 김성천, "교사자율연구모임을 통한 교사 전문성 성장 과정: 협동 학습연구회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07 이금호, 정혜원, "베이지안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학생 및 학교수준 변인과 수학성취도의 관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7(2), 177-205, 2016

      208 소연희, "학습자가 지각한 교사의 수업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분석", 아동교육, 20(2), 19-32, 2011

      209 권순정, 유성상,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한 혁신학교 언론보도 비교 연구: 조선일보와 한겨레 신문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47(3), 67-97, 2016

      210 김종원, "자기연구를 통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리더 역할 성찰 -학교 안 과학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5), 811-836, 2016

      211 이승연, "혁신학교 정책이 민주적 학교문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교 사가 인지하는 학교문화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9(1), 93-116, 2021

      212 Lee , Daphnee & Lee , Wing O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the New Teacher Professionalism : The Case of a State-Led Initiative in Singapore Schools", 61 ( 4 ) , 435-451, 2013

      213 남창우, 전훈, "교사와 학생의 ICT 활용과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 저성취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9(1), 77-97, 2012

      214 곽영순, 황필아, 정성식, 서용선 , 백종민, 김종윤, "교사의 학교수준 교 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 강화 방안(Ⅲ) -교사 학습공동체 모델 개 발 및 실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15 David, T., Larry, C., "학교 없는 교육개혁: 유토피아를 꿈꾼 미국 교육개혁 100년사.(권창욱 박대권 공역). 서울: 박영사", (원서 출판 1995), 2017

      216 박상욱, 박제준,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교사의 교직만족도에 영 향을 미치는 정의적 영역의 구조적 관계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6), 3187-3202, 2017

      217 김수지, 정제영, 이희숙,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위계적 분석-TIMSS 2011의 교사와 학생 변인을 중심으로", 한 국교원교육연구, 31(2), 53-75, 2014

      218 김난옥, 유신복, "중학생이 지각한 학습자 중심 수업과 피드백 경험, 정의적 성취 및 수학교과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평가연구, 33(4), 791-814, 2020

      219 박세진, 이현숙,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학생수준 및 학 교수준 변인에 대한 다층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교육평가연구, 28(2), 499-522, 2015

      220 김용우, 정바울, "학교 혁신의 미시동원으로서 하늘별초의 전문적 학 습 공동체: 교사 인문학 연구 동아리 사례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25(2), 27-53, 2018

      221 Lortie, C., "Dan. 미국과 한국의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진동섭 정수현 박상완 김병찬 역 저). 서울: 양서원", (원서출판 1975), 2017

      222 박상욱, 홍창남, 주철안, 이쌍철, "학교조직 특성이 학생의 학업성취와 정의적 성장에 미치는 효과분석: 학교조직 진단 영역 중심으로", 아시 아교육연구, 13(2), 57-80, 2012

      223 정바울, "제도변화와 전문적학습공동체: 제도변화 관점을 활용한 교 육청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정책 사례 분석",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10(1), 175-192, 2020

      224 김나영, 이다경 , 변상민, "교사의 교수 학습방법 연수 참여가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 원교육연구, 35(1), 389-414, 2018

      225 장재홍, 박인우, 김주영,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여부에 따른 교사협력정도, 수업개선활동,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 비교 분석", 교사교 육연구, 57(1), 1-15, 2018

      226 이승연, 진다정, "놀이중심 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 과정과 의미 -하늘초병설유치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 연구, 23(2), 26-57, 2021

      227 이주연, "학교의 학습조직화 저해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대학입학 사정관제 도입에 따른 적응적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9(4), 269-294, 2012

      228 김효정, 정가윤, 이현주, "과학교사들의 교사모임에의 참여 경험과 교 사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 과학교육학회지, 33(2), 390-404, 2013

      229 강에스더, 조영하, 윤정,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과정에 대 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 분석: 미래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4(3), 155-185, 2016

      230 Hairon , S. & Dimmock , C., "Singapore School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chool Leadership in an Asian Hierarchical System", 64 ( 4 ) , 405-424 ., 2012

      231 홍제남, "혁신학교 수업연구회를 통한 교사 수업전문성 사례 연구- 다양한 교과 교사들이 함께 하는 수업연구회 탐색-", 한국교원교육연 구, 34(1), 175-204, 2017

      232 Senge, P., "Cambron-McCabe, N., Lucas, T., Smith, B., Dutton, J. & Kleiner, A. 학습하는 학교 (한국복잡성교육연구회 역). 서울: 씨아이알", (원서출판 2012), 2019

      233 김남희, 김종백, "교사와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의 변화가 학 생의 학교행복과 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청소 년학연구, 21(12), 285-315, 2014

      234 이승호, 정바울, "한국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실행에 관한 탐색적 연 구: 효과적 실천의 저해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 교원교육연구, 34(4), 183-212, 2017

      235 이지혜, 하정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수자 중심 수업과 학습자 중심 수업 비교",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5), 259-278, 2016

      236 류지은, 정지용, 서예린, "직업계고 교원의 교사학습공동체가 학습자 중심수업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정 이해도와 교육과정 재구성의 매 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38(1), 223-244, 2021

      237 John Chi-kin Lee , Zhonghua Zhang & Hongbiao Yin,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Impact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Faculty Trust in Colleagues and Collective Efficacy on Teacher Commitment to Students", 27 , 820-830, 2011

      238 서길원, 허승대, "경기도 교육청의 교사 학습공동체와 학교교육 혁 신. 교사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교육 및 교육과정 혁신 정책포럼, 15-3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39 봉초운, 홍세희, 이현정, 윤미리, "다층구조방정식을 적용한 수학흥미 와 수학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 환경의 관계 분석 - 한국과 싱가포르 청소년의 결과 비교", 교육평가연구, 31(1), 353-386, 2018

      240 손태권, 황성환,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의 질, 수학 교수효능감, 학생의 수 학흥미가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다층구조방정식의 적 용", 초등수학교육, 23(4), 175-189, 2020

      241 박매란, 송지은 , "중학생의 영어 자기효능감과 수업참여도, 그리고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5), 351-371, 2020

      242 김나영, 홍미영, "다층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교사의 의사결정 자본 유형: 교사 및 학교 수준 영향요인 및 교사 사기 열의와 교직만 족도 분석", 한국교육, 47(1), 33-62, 2020

      243 정바울,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의 비판적 재조명 : 교사교육의 신자유주의적 재구성 및 한국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3(2), 77-96, 2016

      244 김종백, 김준엽, "교사와 학생의 교사-학생 관계 지각이 학생의 수업 이해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직무만족과 학생의 또래 및 부모신뢰 를 배경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1(3), 245-267, 2014

      245 김현주, 정은혜, 손은령, "부모양육태도, 교사애착, 학업열의, 학업 무 기력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학생의 학년 변화에 따 른 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8). 67-85, 2021

      246 안영은, 양성관, "학교유형이 교사사기 및 열의, 교사지지, 학생수업 참여를 매개로 학생의 삶의 질과 미래역량에 미치는 영향: 일반고와 특목고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3(2), 183-212, 2015

      247 Summers, A., "(서평) School social systems and student achievement: Schools can make a difference: Wilbur Brookover, Charles Beady, Patricia Flood, John Schweitzer, and Joe Wisenbaker. New York: Praeger, 1979. pp. 237. No price listed (cloth)",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vol. 1, issue 3, 397-400 , 1981, vol. 1, issue 3, 397-400, 19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