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15 개정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역량의 중학교 사회과 교과용도서 반영 현황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76252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 2021.2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050 판사항(6)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기타서명

        (An) analysis of key competencies in the school textbooks developed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focusing on the social studies of middle school

      • 형태사항

        vi, 99 p. : 삽화, 표 ; 26 cm

      • 일반주기명

        영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재춘

      • UCI식별코드

        I804:47017-200000374302

      • 소장기관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역량이 중학교 사회과 교과용도서에 반영된 현황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2015 개정 국가 교육과정은 이전의 교육과정과는 다르게 ‘역량’이라는 단어를 교육과정에 명시함으로써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변화를 시도한 첫 번째 교육과정이다. 개정된 교육과정에 제시된 역량이 변화된 사회과 교과용도서에는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 형식과 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역량의 제시 형식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은 교과용도서에 어떤 부분에 역량이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기준으로써 ‘단원 도입부’, ‘차시별 내용’, ‘단원 마무리’의 세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반영된 역량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은 어떤 역량들이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기준으로써 ‘총론의 핵심역량’, ‘각론의 교과역량’, ‘교과용도서에 제시된 역량’의 세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이 작업을 수행한 후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사회과 교과용도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교과용도서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로 나누어지며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역량 반영 현황을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교과서의 역량 반영 현황을 역량의 형식과 내용으로 분석한 결과, 3종류의 사회과 교과서 중에서 한 가지 종류의 사회과 교과서만이 성취 가능한 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해당 교과서는 역량의 제시 형식 측면에서 ‘차시별 내용’ 영역에서 역량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반영된 역량의 내용은 ‘총론의 핵심역량’과 ‘각론의 교과역량’이 반영되어 있었다. 둘째,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역량 반영 현황을 역량 제시 형식과 반영 역량 내용으로 분석한 결과, 3종류의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전체가 성취 가능한 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3종류의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는 각 출판사별로 역량의 제시 형식과 반영된 역량의 내용이 다르게 나타났다. 역량의 제시 형식 측면에서 박영사와 천재교과서에서 출판된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는 ‘단원 도입부’와 ‘차시별 내용’ 영역에서 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지학사에서 출판된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는 ‘차시별 내용’ 영역에서만 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반영된 역량의 내용 측면에서 3종류의 교과서는 모두 ‘총론의 핵심역량’과 ‘각론의 교과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학사에서 출판된 교과서는 ‘총론의 핵심역량’과 ‘각론의 교과역량’ 이외에도 다양한 ‘교과용도서에 제시된 역량’을 반영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역량이 중학교 사회과 교과용도서에 반영된 현황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2015 개정 국가 교육과정은 이전의 교육과정과는 다르게 ‘역...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역량이 중학교 사회과 교과용도서에 반영된 현황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2015 개정 국가 교육과정은 이전의 교육과정과는 다르게 ‘역량’이라는 단어를 교육과정에 명시함으로써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변화를 시도한 첫 번째 교육과정이다. 개정된 교육과정에 제시된 역량이 변화된 사회과 교과용도서에는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 형식과 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역량의 제시 형식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은 교과용도서에 어떤 부분에 역량이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기준으로써 ‘단원 도입부’, ‘차시별 내용’, ‘단원 마무리’의 세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반영된 역량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은 어떤 역량들이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기준으로써 ‘총론의 핵심역량’, ‘각론의 교과역량’, ‘교과용도서에 제시된 역량’의 세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이 작업을 수행한 후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사회과 교과용도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교과용도서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로 나누어지며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역량 반영 현황을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교과서의 역량 반영 현황을 역량의 형식과 내용으로 분석한 결과, 3종류의 사회과 교과서 중에서 한 가지 종류의 사회과 교과서만이 성취 가능한 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해당 교과서는 역량의 제시 형식 측면에서 ‘차시별 내용’ 영역에서 역량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반영된 역량의 내용은 ‘총론의 핵심역량’과 ‘각론의 교과역량’이 반영되어 있었다. 둘째,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역량 반영 현황을 역량 제시 형식과 반영 역량 내용으로 분석한 결과, 3종류의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전체가 성취 가능한 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3종류의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는 각 출판사별로 역량의 제시 형식과 반영된 역량의 내용이 다르게 나타났다. 역량의 제시 형식 측면에서 박영사와 천재교과서에서 출판된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는 ‘단원 도입부’와 ‘차시별 내용’ 영역에서 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지학사에서 출판된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는 ‘차시별 내용’ 영역에서만 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반영된 역량의 내용 측면에서 3종류의 교과서는 모두 ‘총론의 핵심역량’과 ‘각론의 교과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학사에서 출판된 교과서는 ‘총론의 핵심역량’과 ‘각론의 교과역량’ 이외에도 다양한 ‘교과용도서에 제시된 역량’을 반영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encies reflected in social studies textbooks of middle school developed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the curriculum using the word 'competencies' in the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To analyze how th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revised curriculum were reflected in the new social studies textbooks, a framework was established for the format and contents.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format of competencies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 ‘Unit Introduction’, ‘Period Contents’ and ‘Unit Completion’ as the basis for analyzing which part of the unit competencies is presented in the school textbook. The analysis framework for contents of competencies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 ‘Key competencies of the general frameworks', ‘Competencies of the subject curriculum’ and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school textbook' as the basis for analyzing which contents of the competencies are presented in the school textbook. After this work,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School textbooks tend to include textbooks for the student and guidebooks for the teacher, and in this study textbooks and guidebook are analyzed respectively. Three different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competencies reflection in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student in the format of competencies and contents of competencies, only one type of social studies textbook for the student among the three type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student presented achievable competencies. In terms of the format of competencies, the textbook for the student was presenting its competencies in the field of ‘Period contents’, and in terms of the contents of competencies, the textbook for the student was reflecting ‘Key competencies of the general frameworks’ and ‘Competencies of the subject curriculum’.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etencies reflection in social studies guidebook for teacher, the entire three types of social studies guidebook of teacher presented achievable competencies. The three types of social studies guidebook of teacher showed that each publisher had a different format of competencies and the contents of competencies. In terms of the format of competencies, the social studies guidebook of teacher published by the Parkyoung-sa and Chun-jae textbook was presenting competencies in the categories of ‘Unit Introduction’ and ‘Period Contents’. The social studies guidebook of teacher published by Jihak-sa presented competencies only in the 'Period Contents' category. In terms of the contents of competencies, all three types of guidebook of teacher presented ‘Key competencies of the general frameworks’ and ‘Competencies of the subject curriculum’. However, the guidebook of teacher published by Jihak-sa reflected various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school textbook’ in addition to ‘Key competencies of the general frameworks’ and ‘Competencies of the subject curriculu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encies reflected in social studies textbooks of middle school developed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the curriculum using the word 'competencies'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encies reflected in social studies textbooks of middle school developed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the curriculum using the word 'competencies' in the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To analyze how th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revised curriculum were reflected in the new social studies textbooks, a framework was established for the format and contents.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format of competencies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 ‘Unit Introduction’, ‘Period Contents’ and ‘Unit Completion’ as the basis for analyzing which part of the unit competencies is presented in the school textbook. The analysis framework for contents of competencies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 ‘Key competencies of the general frameworks', ‘Competencies of the subject curriculum’ and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school textbook' as the basis for analyzing which contents of the competencies are presented in the school textbook. After this work,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School textbooks tend to include textbooks for the student and guidebooks for the teacher, and in this study textbooks and guidebook are analyzed respectively. Three different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competencies reflection in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student in the format of competencies and contents of competencies, only one type of social studies textbook for the student among the three type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student presented achievable competencies. In terms of the format of competencies, the textbook for the student was presenting its competencies in the field of ‘Period contents’, and in terms of the contents of competencies, the textbook for the student was reflecting ‘Key competencies of the general frameworks’ and ‘Competencies of the subject curriculum’.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etencies reflection in social studies guidebook for teacher, the entire three types of social studies guidebook of teacher presented achievable competencies. The three types of social studies guidebook of teacher showed that each publisher had a different format of competencies and the contents of competencies. In terms of the format of competencies, the social studies guidebook of teacher published by the Parkyoung-sa and Chun-jae textbook was presenting competencies in the categories of ‘Unit Introduction’ and ‘Period Contents’. The social studies guidebook of teacher published by Jihak-sa presented competencies only in the 'Period Contents' category. In terms of the contents of competencies, all three types of guidebook of teacher presented ‘Key competencies of the general frameworks’ and ‘Competencies of the subject curriculum’. However, the guidebook of teacher published by Jihak-sa reflected various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school textbook’ in addition to ‘Key competencies of the general frameworks’ and ‘Competencies of the subject curricul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연구내용 6
      • Ⅱ. 이론적 배경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연구내용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역량과 교육 7
      • 2. 2015 개정 국가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역량 10
      • 3. 전통적 교육과정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비교·분석 21
      • 4. 국내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선행연구 분석 26
      • Ⅲ. 연구방법 38
      • 1. 연구대상 38
      • 2. 분석틀 39
      • 3. 연구절차 41
      • Ⅳ. 사회과 교과용도서의 역량 반영 현황 분석 43
      • 1. 사회과 교과서의 역량 반영 현황 분석 43
      • 2.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의 역량 반영 현황 분석 47
      • Ⅴ. 논의 77
      • Ⅵ. 요약 및 결론 83
      • 1. 요약 83
      • 2. 결론 및 제언 85
      • 참고문헌 88
      • 영문초록 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