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 러시아 영화의 정교성 재현 양상 = Aspects of Representation of Orthodoxness in Contemporary Russian Cine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494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러시아 영화계에서는 러시아 정교성을 구현하는 다양한 양상의 영화들이 관측된다. 그 중 한편은 정치제도권의 열렬한 후원을 받으며 메인스트림으로 편입한 일군의 영화들로, 현 러시아 정부가 내세우는 국가통치 이념의 근간으로 정교정신을 선전하고 설파하는 영화들이다. 이 영화들에서 제시하는 ‘이념적 정교성’은 러시아 통치 권력에 대한 정당성의 근거로 활용되며, 정교정신으로 무장한 지도자와 영웅들이 러시아 국가 공동체를 지켜온 주역임을 공공연히 암시한다. 그러한 영화의 사례로 본 연구에서는 <1612년. 동란의 연대기>와 <사제>의 경우를 고찰했다. 전자가 러시아 정교에 기반한 통치력과 권좌의 상실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과 경각심을 대중들에게 일깨워주고 있다면, 후자는 현재 유대관계가 약해지고 있는 러시아 ‘서쪽’의 발틱 국가들에 대해 과거 러시아 정교회와 러시아 정신이 치른 희생과 사랑을 부각시킴으로써 러시아적 국가이념을 확장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국가주의 영화들의 시각을 비판하며 러시아 대중들의 삶 속에 뿌리내린 진정한 정교정신을 구현하고 상기시키려는 영화들도 적지 않다. 그러한 영화들로 <러시아적인 것>, <살아남은 자>, <차르>를 꼽을 수 있다. 이 영화들에서는 국가통치 기반으로서의 정교성보다는 진실한 회복의 정신으로서의 러시아 정교정신에 대해 강조하거나, 정교정신이 권력의 수단으로 악용될 경우의 위험성과 재앙에 대해 경고하며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번역하기

      현대 러시아 영화계에서는 러시아 정교성을 구현하는 다양한 양상의 영화들이 관측된다. 그 중 한편은 정치제도권의 열렬한 후원을 받으며 메인스트림으로 편입한 일군의 영화들로, 현 러...

      현대 러시아 영화계에서는 러시아 정교성을 구현하는 다양한 양상의 영화들이 관측된다. 그 중 한편은 정치제도권의 열렬한 후원을 받으며 메인스트림으로 편입한 일군의 영화들로, 현 러시아 정부가 내세우는 국가통치 이념의 근간으로 정교정신을 선전하고 설파하는 영화들이다. 이 영화들에서 제시하는 ‘이념적 정교성’은 러시아 통치 권력에 대한 정당성의 근거로 활용되며, 정교정신으로 무장한 지도자와 영웅들이 러시아 국가 공동체를 지켜온 주역임을 공공연히 암시한다. 그러한 영화의 사례로 본 연구에서는 <1612년. 동란의 연대기>와 <사제>의 경우를 고찰했다. 전자가 러시아 정교에 기반한 통치력과 권좌의 상실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과 경각심을 대중들에게 일깨워주고 있다면, 후자는 현재 유대관계가 약해지고 있는 러시아 ‘서쪽’의 발틱 국가들에 대해 과거 러시아 정교회와 러시아 정신이 치른 희생과 사랑을 부각시킴으로써 러시아적 국가이념을 확장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국가주의 영화들의 시각을 비판하며 러시아 대중들의 삶 속에 뿌리내린 진정한 정교정신을 구현하고 상기시키려는 영화들도 적지 않다. 그러한 영화들로 <러시아적인 것>, <살아남은 자>, <차르>를 꼽을 수 있다. 이 영화들에서는 국가통치 기반으로서의 정교성보다는 진실한 회복의 정신으로서의 러시아 정교정신에 대해 강조하거나, 정교정신이 권력의 수단으로 악용될 경우의 위험성과 재앙에 대해 경고하며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contemporary Russian cinema we can observe various aspects of representation of Russian Orthodoxness. The cinema includes, above all,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historicity of the time when it is made, because the cinema is exposing the spirit of producing time. In this respect, analysis of the film should be considered in all aspects of not only the director's idea and message, but also social and cultural context. Moreover, to appreciate Russian cinema appropriately, in advance must be understood significant meaning which contains cultural context.
      Most intriguingly of all, in contemporary Russian cinema the mainstream movies propagate the Orthodox spirit as a basis of ideology of Russian government. In these movies the 'ideological Orthodoxness' is made the most out of political legitimacy of administration, overtly implying that the leaders and heroes who arms with the Orthodox spirit are the driving forces in the community of Russian nations. We explained in this article by giving such films for example, like 1612. Khroniki Smutnogo Vremeni (2007) and Pop(2010). While the former alerts peoples to the crisis of powerless of the state and Orthodoxness, the latter expands in the Baltic republics the ideology of Russian government by attempting to play up the past sacrifice and love of Russian Orthodox.
      But in contemporary Russian cinema exist not only movies of 'National order', but also resistance films in which represent real and faithful Russian Orthodoxness. Films like Russkoe(2004), Zhivoy(2006) and Tsar (2009) may be classed as such. In these films are worthy of notice those point of views that emphasizes how important it is to restore sincere faith and the Orthodox spirit and how dangerous when religion is abused.
      번역하기

      In contemporary Russian cinema we can observe various aspects of representation of Russian Orthodoxness. The cinema includes, above all,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historicity of the time when it is made, because the cinema is exposing the s...

      In contemporary Russian cinema we can observe various aspects of representation of Russian Orthodoxness. The cinema includes, above all,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historicity of the time when it is made, because the cinema is exposing the spirit of producing time. In this respect, analysis of the film should be considered in all aspects of not only the director's idea and message, but also social and cultural context. Moreover, to appreciate Russian cinema appropriately, in advance must be understood significant meaning which contains cultural context.
      Most intriguingly of all, in contemporary Russian cinema the mainstream movies propagate the Orthodox spirit as a basis of ideology of Russian government. In these movies the 'ideological Orthodoxness' is made the most out of political legitimacy of administration, overtly implying that the leaders and heroes who arms with the Orthodox spirit are the driving forces in the community of Russian nations. We explained in this article by giving such films for example, like 1612. Khroniki Smutnogo Vremeni (2007) and Pop(2010). While the former alerts peoples to the crisis of powerless of the state and Orthodoxness, the latter expands in the Baltic republics the ideology of Russian government by attempting to play up the past sacrifice and love of Russian Orthodox.
      But in contemporary Russian cinema exist not only movies of 'National order', but also resistance films in which represent real and faithful Russian Orthodoxness. Films like Russkoe(2004), Zhivoy(2006) and Tsar (2009) may be classed as such. In these films are worthy of notice those point of views that emphasizes how important it is to restore sincere faith and the Orthodox spirit and how dangerous when religion is abu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개요>
      • Ⅰ. 들어가는 말
      • Ⅱ. ‘이념적 정교’의 국가주의 홍보
      • Ⅲ. 러시아 정신의 내재적 정교성 구현
      • Ⅳ. 맺는말
      • <국문개요>
      • Ⅰ. 들어가는 말
      • Ⅱ. ‘이념적 정교’의 국가주의 홍보
      • Ⅲ. 러시아 정신의 내재적 정교성 구현
      • Ⅳ.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죠지 휴아코, "영화예술의 사회학"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9

      2 김학이, "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33 : 227-258, 2005

      3 김현택,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8

      4 김용덕, "발틱 삼국의 민족 구성 고찰 - 인구 통계학적 관점에서" 동유럽발칸연구소 11 (11): 189-209, 2002

      5 이희원, "러시아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에 나타난 역사의 전복: 블라지미르 소로낀의 <친위병의 하루>와 『설탕 크레믈린』을 중심으로" 한국노어노문학회 21 (21): 345-376, 2009

      6 팀 에덴서, "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 정체성" 이후 2008

      7 이주헌, "눈과 피의 나라 러시아 미술" 도서출판 학고재 2006

      8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In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9 Нечаев, Александр, "Фильм «Царь» – на костер!"

      10 Лимонов, Эдуар, "Такой президент нам не нужен!"

      1 죠지 휴아코, "영화예술의 사회학"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9

      2 김학이, "얀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33 : 227-258, 2005

      3 김현택,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8

      4 김용덕, "발틱 삼국의 민족 구성 고찰 - 인구 통계학적 관점에서" 동유럽발칸연구소 11 (11): 189-209, 2002

      5 이희원, "러시아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에 나타난 역사의 전복: 블라지미르 소로낀의 <친위병의 하루>와 『설탕 크레믈린』을 중심으로" 한국노어노문학회 21 (21): 345-376, 2009

      6 팀 에덴서, "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 정체성" 이후 2008

      7 이주헌, "눈과 피의 나라 러시아 미술" 도서출판 학고재 2006

      8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In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9 Нечаев, Александр, "Фильм «Царь» – на костер!"

      10 Лимонов, Эдуар, "Такой президент нам не нужен!"

      11 "Православные почитатели Ивана Грозного выступили против фильма «Царь»"

      12 Гусятинский, Евгений, "Ни свой, ни чужой: «Живой»" (8) : 2006

      13 Власова, Евгения, "Историк Вячеслав Манягин требует остановить прокат фильма «Царь»"

      14 Скрынников, Р. Г, "Иван Грозный. Москва: АСТ"

      15 "За первые 2 дня проката «Царь» Лунгина собрал около 1 млн долларов"

      16 "Живые и мертые, Рецензии в официальном сайте фильма «Живой»"

      17 Straw, Will, "The Myth of Total Cinema History, In Explorations in Film Theory: Selected Essays from Cine-Tracts" Indiana University Press 1991

      18 Ellis, John, "Stars as a Cinematic Phenomenon, In Star Texts: Images and Performance in Film and Television"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991

      19 Ramet, Pedro, "Religion and Nationalism in Soviet and East European Politics" Duke Press Policy Studies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