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DHD로 진단된 학생의 장점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점 =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Strengths of Students with ADH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250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trengths of students with ADHD are recognized and applied in educational environments, through the experiences of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instruct ADHD students in an inclusive class in H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These were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the interview transcriptions were analyzed inductively using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they yielded five main themes, based on teachers’ descriptions of the strengths of ADHD students. These are as follows.
      First, ADHD students are aware of their strengths and their weaknesses, and they try to improve. Second, they show outstanding performance in learning at least one area. Third, they like their friends and teachers and want to hang around with them. Fourth, they are free from formality.
      In general,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need for teachers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ADHD children and explore their strengths. To achieve an educ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strengths of ADHD children requires improving teachers' recognition, and this suggests a need for teacher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trengths of students with ADHD are recognized and applied in educational environments, through the experiences of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instruct ADHD students in an inclusive class in H City. The data were co...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trengths of students with ADHD are recognized and applied in educational environments, through the experiences of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instruct ADHD students in an inclusive class in H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These were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the interview transcriptions were analyzed inductively using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they yielded five main themes, based on teachers’ descriptions of the strengths of ADHD students. These are as follows.
      First, ADHD students are aware of their strengths and their weaknesses, and they try to improve. Second, they show outstanding performance in learning at least one area. Third, they like their friends and teachers and want to hang around with them. Fourth, they are free from formality.
      In general,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need for teachers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ADHD children and explore their strengths. To achieve an educ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strengths of ADHD children requires improving teachers' recognition, and this suggests a need for teacher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일, "한국 ADHD 연구 경향의 분석: 1999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학습장애학회 6 (6): 101-127, 2009

      2 서지영, "학령기 ADHD아동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의 경향과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정신간호학회 19 (19): 117-132, 2010

      3 김동일, "학령기 ADHD 아동 비약물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1-23, 2016

      4 송연주, "초등학생의 ADHD 성향 유병률과 ADHD 성향, 환경적 변인들 및 또래관계 간의 관계" 교육연구소 15 (15): 189-217, 2014

      5 황순영,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ADHD학생 교육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77-100, 2009

      6 김준홍,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99-119, 2015

      7 박미화,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ADHD 학생에 대한 인식 및 대처방식 간의 관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37-156, 2008

      8 정종성, "초등교사의 ADHD에 대한 지식수준, ADHD아동 통합에 대한 태도 및 생활지도방법 활용에 대한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371-393, 2010

      9 최연숙, "초등교사의 ADHD 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 수준 및 통합교육의지에 대한 인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63-372, 2017

      10 서동미, "참여관찰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 및 장애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아동권리학회 15 (15): 563-598, 2011

      1 김동일, "한국 ADHD 연구 경향의 분석: 1999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학습장애학회 6 (6): 101-127, 2009

      2 서지영, "학령기 ADHD아동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의 경향과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정신간호학회 19 (19): 117-132, 2010

      3 김동일, "학령기 ADHD 아동 비약물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1-23, 2016

      4 송연주, "초등학생의 ADHD 성향 유병률과 ADHD 성향, 환경적 변인들 및 또래관계 간의 관계" 교육연구소 15 (15): 189-217, 2014

      5 황순영,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ADHD학생 교육에 대한 스트레스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77-100, 2009

      6 김준홍,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99-119, 2015

      7 박미화,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ADHD 학생에 대한 인식 및 대처방식 간의 관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37-156, 2008

      8 정종성, "초등교사의 ADHD에 대한 지식수준, ADHD아동 통합에 대한 태도 및 생활지도방법 활용에 대한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371-393, 2010

      9 최연숙, "초등교사의 ADHD 관련 지식, 태도, 스트레스 수준 및 통합교육의지에 대한 인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63-372, 2017

      10 서동미, "참여관찰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 및 장애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아동권리학회 15 (15): 563-598, 2011

      11 Miles, M. B, "질적자료분석론" 학지사 2009

      12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주)박영사 2012

      13 Seidman, I,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14 Yin, R. K, "질적연구: 시작부터 완성까지" 학지사 2013

      15 Glesne, C, "질적 연구자 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08

      16 김윤옥, "질적 연구실천방법" 교육과학사 2009

      17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05

      18 Flick, U, "질적 연구방법" 한울아카데미 2009

      19 최은주, "지적장애학생의 장점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71-191, 2012

      20 조지훈, "중학생의 ADHD 경향성과 우울 경향성간의 관계: 학업 및 대인관계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및 비교" 3 (3): 47-65, 2017

      21 유희정,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 (III)"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18 (18): 16-25, 2007

      22 양광희,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치료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적용"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4 (34): 195-206, 2010

      2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제" 학지사 2015

      24 맹현숙, "저학년 영재아동과 ADHD아동의 교실 내 상호작용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207-229, 2014

      25 이미애, "장점중심중재가 장애유아의 활동참여 발생률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377-398, 2010

      26 김태용, "장점강화활동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2 (12): 107-132, 2013

      27 한성희, "장점 중심 특수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5 (25): 239-267, 2009

      28 강종구, "일반교사와 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와 교육적 시사점"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4 (24): 125-138, 2008

      29 고희선, "은유분석을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의 ADHD에 대한 인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333-347, 2016

      30 김건희, "유아특수교사 관점에서의 장애유아들의 장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107-125, 2016

      31 이희경, "부정에서 긍정으로: 심리학의 새로운 접근" 2006 (2006): 40-41, 2006

      32 윤택림,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한 질적연구 방법론" 아르케 2005

      33 고은영,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 국내 ADHD아동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연구" 교육연구소 14 (14): 1-27, 2013

      34 이선아,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강점지능 활용 국어학습이 ADHD 학생의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15 (15): 73-95, 2013

      35 박정하, "긍정적 탐색(Appreciative Inquiry)을 활용한 교사교육 사례연구: 부적응 유아 지도를 중심으로" 한국코칭학회 10 (10): 29-52, 2017

      36 이희경, "긍정심리학적 인간이해와 변화" 인간학연구소 1 (1): 16-43, 2007

      37 김성화, "그룹요리활동이 ADHD아동의 주의집중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269-290, 2015

      38 박완주, "교사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 대한 지식정도와 공감수준이 교육적 중재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 22 (22): 45-55, 2013

      39 송성자, "강점관점과 해결중심치료 접근법을 통합한 가족치료 접근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1 (11): 1-27, 2003

      40 Mulholland, S. M, "Teacher attitudes towards students who exhibit ADHD-type behaviors" 39 (39): 15-36, 2015

      41 Campbell, P. H, "Strengths-Based child portfolios:A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y to alter perspective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21 (21): 152-161, 2001

      42 Seligman, M. E. P, "Positive psychology" 55 (55): 5-14, 2000

      43 양지윤, "ADHD 하위유형 연구 동향: 국내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2000-2017)" 한국발달지원학회 6 (6): 39-53, 2017

      44 이정은, "ADHD 아동의 학교기반 중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예비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343-364, 2009

      45 정영숙, "ADHD 아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긍정심리학 관점의 대안적 고찰"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25-48, 2012

      46 박현숙, "ADHD 성향 아동을 위한 강점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9 (29): 247-270, 2013

      47 박현숙, "ADHD 성향 아동에 대한 실무자의 강점지향적 대처방식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4 (4): 27-4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