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책입안자에게 추가적으로 건설되어야 하는 주택의 수를 제공함으로써 정책입안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수정된 Mankiw and Weill 모형을 이용하여 제주도의 주택수요를 추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67475
2016
-
320
KCI등재
학술저널
95-131(37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책입안자에게 추가적으로 건설되어야 하는 주택의 수를 제공함으로써 정책입안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수정된 Mankiw and Weill 모형을 이용하여 제주도의 주택수요를 추정...
본 연구는 정책입안자에게 추가적으로 건설되어야 하는 주택의 수를 제공함으로써 정책입안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수정된 Mankiw and Weill 모형을 이용하여 제주도의 주택수요를 추정하였는다. 분석자료는 2014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의 제주도 자료 450개 중 402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수정된 Mankiw and Weill 모형을 구성함에 있어 필요한 항상소득 자료는 성별과 연령 등의 개인적 특성자료를 사용하여 추정한 뒤 모형에 투입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회귀분석을 사용한 것에 비하여 본 연구는 정규성검정을 실시한 뒤 회귀분석 적용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이를 감안할 수 있는 오차절대값 최소화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매년의 주택수요는 2016년 5181호에서 2020년 6326호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감안할 때 2016년의 경우에는 최저 5006호~5446호, 최고 8051호~8491호를 공급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uses the Revised Mankiw and Weil model to estimate housing demand in Jeju Island. The study uses 402 datapoints extracted from the Korean government s 2015 residential survey database. In order to generate estimates from the Revised Manki...
This paper uses the Revised Mankiw and Weil model to estimate housing demand in Jeju Island. The study uses 402 datapoints extracted from the Korean government s 2015 residential survey database. In order to generate estimates from the Revised Mankiw and Weil model while taking housing costs and permanent income into account, permanent income was estimated and used as an explanatory variable for housing demand.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2015 housing demand of ther revised Mankiw and Weill model in Jeju Island was 190,876 units. However, as of 2015, only 189,553 housing units exist in Jeju. 1,323 more housing units would be required to satisfy the estimated demand of 190,876. This objective result is reflected in the excess demand for housing.
It is hoped that this analysis will help policy makers by offering a concrete target for the number of additional housing units which should be constructed. This study is needed for policy measures to address the continued spike in Jeju Island housing pric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2 김정아, "청년가구 주택수요 특성에 관한 연구" KREUS 1-22, 2011
3 국토교통부, "중장기주택종합계획" 2013
4 김준형, "주택수요의 규모별 분포 예측: 맨큐-와일 모형에서 추계가구자료의 활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263-279, 2013
5 김경환, "주택수요구조 변화전망에 관한 연구" 토개발연구원 1997
6 "주거누리"
7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특별자치도 주택종합계획" 2011
8 민인식, "인구사회구조변화에 따른 주택수요 및 임대주택시장 변화 예측" 한국감정원 (94) : 14-20, 2015
9 정의철,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주택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37-46, 2005
10 정수연, "오차절대값최소화추정방법을 이용한 제주지역 IT, BT산업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 29 (29): 101-115, 2013
1 "통계청"
2 김정아, "청년가구 주택수요 특성에 관한 연구" KREUS 1-22, 2011
3 국토교통부, "중장기주택종합계획" 2013
4 김준형, "주택수요의 규모별 분포 예측: 맨큐-와일 모형에서 추계가구자료의 활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263-279, 2013
5 김경환, "주택수요구조 변화전망에 관한 연구" 토개발연구원 1997
6 "주거누리"
7 제주발전연구원, "제주특별자치도 주택종합계획" 2011
8 민인식, "인구사회구조변화에 따른 주택수요 및 임대주택시장 변화 예측" 한국감정원 (94) : 14-20, 2015
9 정의철,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주택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37-46, 2005
10 정수연, "오차절대값최소화추정방법을 이용한 제주지역 IT, BT산업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학회 29 (29): 101-115, 2013
11 이영은, "수도권 권역별 주택수요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61-74, 2003
12 변창흠, "서울시 주택수요 및 공급능력 추정에 관한 기초연구" 국토개발연구원 2002
13 신미림, "서울시 1인가구의 주택수요 예측"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31-145, 2011
14 김원년, "노동패널조사의 가구자료를 이용한 주택수요추정" 266-295, 2009
15 이창무, "가구특성을 고려한 장기주택수요 예측모형 - 보완된 Mankiw & Weil 모형을 적용하여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149-161, 2009
16 Mankiw, Gregory. G., "The Baby Boom, the Baby Bust, and the Housing Markets" 19 : 235-258, 1989
17 Gould, W., "Stata Technical Bulletin" STATA Press 19-21, 1992
18 Hill, R. Carter, "Principles of Econometrics" John Wiley and Sons 2010
19 Judge, G.G., "Introduction to thetheory and practice of econometrics" John Wiley and Sons 1988
20 Dimelis, S., "Foreign Ownership and Production Efficiency : a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54 (54): 449-469, 2002
21 Swan, C., "Demography and the demand for housing A reinterpretation of the Mankiw-Weill demand variable" 25 (25): 41-58, 1995
소득변화에 따른 청년가구의 임대료부담능력 전망과 지불 가능한 임대주택 규모 추정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특성 및 지역적 차이에 관한 연구
비례율 분석을 통한 결합개발사업의 이전용적률 결정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4-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For Housing Policy Studies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5 | 1.15 | 1.3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15 | 2.122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