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다문화 구성원들의 삶을 형상화한 소설들을 분석ㆍ해석하여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서사적 진단과 전망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이를 근거로 이주 정책의 개선안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154059
광주 : 전남대학교, 2022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 , 2022. 2
2022
한국어
411
광주
160 ; 26 cm
지도교수: 임환모
I804:24010-00000006680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다문화 구성원들의 삶을 형상화한 소설들을 분석ㆍ해석하여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서사적 진단과 전망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이를 근거로 이주 정책의 개선안을 ...
본고는 다문화 구성원들의 삶을 형상화한 소설들을 분석ㆍ해석하여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서사적 진단과 전망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이를 근거로 이주 정책의 개선안을 제안하고, 이주민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자립하여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단계적 정책의 필요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21세기의 시대적 명제로 여겨지는 다문화주의에 접근하기 위한 학계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다양한 학계의 다문화 연구 담론들은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다문화 사회가 가지고 있는 복합성의 자질을 고려했을 때, 원인과 대안에 대한 탐색은 접근 자체에 다양한 시각과 방법론이 요구될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는 다문화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한 원인을 국가 주도형 다문화주의에서 찾고자 한다. 국가 주도형 다문화주의 체제에서는 정책의 기획단계에서 구성원들의 입장과 목소리를 온전하게 반영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위에서부터 시작된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고 제도 개선에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한 고민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이 지점에서 사회의 문제와 이에 봉착한 개인의 문제를 함께 다루고 있는 소설에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 사회를 형상화한 소설은 한국 다문화 사회의 실상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고발하는 데에서 한 걸음 나아가, 사회의 정착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다문화 소설은 작가의 전망을 통해 사회의 개선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제도 보완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다문화 사회를 진단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려는 여러 학계의 노력에, ‘소설 역시 한 축을 담당할 수 있는가’를 탐색해보는 것이 본고의 주된 목적이다.
또한 이러한 작업들은 기존 다문화 소설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다문화 소설 연구는 한국형 다문화주의의 모순과 소설화 양상, 여기서 발견되는 이주민의 타자성에 집중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 역시 추상적인 책임감과 의무감, 개개인 윤리의 문제에 국한되어 다소 공허하게 느껴졌던 것이 사실이다.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서사적 진단과 전망을 통해 현행 제도의 쟁점을 발견하여 보완점을 제안하는 본고의 논의는, 다문화 소설연구의 지평을 확장하고 소설의 실천적 가능성을 제고하는 작업이 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전제로 본고는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서사적 진단과 전망, 이를 통한 제도적 개선안 제언을 세 가지 단계로 설명한다. 첫 번째, 한국의 다문화 사회의 출발점이자 공론장을 형성시킨 이주민의 유입 과정에 주목한다. 이는 곧 이주민의 유입과 관련된 서사적ㆍ제도적 진단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국인 근로자와 결혼이주여성의 고난의 근원에 접근하고 있는 소설들을 분석한다.
소설에서 발견한 외국인 근로자는 불안정한 체류문제에 직면하거나 욕망실현에 실패한 모습이었다. 결혼이주여성 역시 이주의 출발 지점부터 모순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소설이 발견한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 및 체류의 문제와 결혼중개업의 모순을 파악하기 위해, 현행 <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에 관한 법률>과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의 검토를 진행한다.
두 번째, 이주민을 맞이한 정주민의 감정 양상과 함께 다문화 사회의 정착에 대한 가능성을 논의한다. 명심해야 할 점은 다문화 사회란 이주민만을 위한 사회가 아니라는 것이다. 다문화 연구 담론에서 배제되고 있는 정주민의 감정에 대한 성찰 역시 중요하다. 이때 관건은 정주민이 갖고 있는 인식 및 태도의 소설적 형상화 파악에 그치지 않고 그 원인을 규명하는 데에까지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 원인에 접근하였을 때 현행 제도의 쟁점과 함께 개선의 가능성이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 구성원의 관계를 조망하는 다양한 소설들을 통해 이주민을 향한 정주민의 다채로운 감정에 대해 논의한다. 혐오와 포용, 연민과 공감 등의 감정이 작동하는 원리를 파악하는 작업을 통해 ‘정주민의 인식’과 ‘이주민의 타자성’ 간의 연관성을 도출할 수 있다. 통합된 사회를 지향하기 위해서는 이주민의 타자성 소거가 시급하다는 것을 논의하면서, 현재의 ‘사회 통합’ 정책이 정주민의 인식과 이주민의 타자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검토한다.
세 번째, 앞 장에서 논의한 다문화 사회의 서사적ㆍ제도적 진단 및 작가의 지향ㆍ전망을 종합하여 제반 정책의 개선을 제안한다. 소설을 통한 다문화 정책 제안은 두 가지 층위에서 가능하다. 첫 번째는 소설 속에서 진단한 다문화 사회의 모습과 구성원 간 모순 및 갈등을 야기한 사건들, 그 자체로부터 제도적 개선안을 발견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치밀한 서사분석을 통해 작가 개개인이 나름대로 설정해놓은 ‘전망’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정책 개선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이주 정책의 불합리성 제거를 위한 단서를 제공한다. 특히 ‘국가’와 ‘이주민’ 사이에서 발생하는 딜레마 속에서 각자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한 합의점을 도출하게 한다. 이를 토대로 외국인 근로자의 욕망 실현을 위한 고용법과 비자제도의 개선안을 제안할 수 있으며, 국제결혼중개업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사회 통합과 정주민 인식 개선을 위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과제였던 이주민의 타자성 소거를 위한 제도적 모색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단기간에 해결할 수 없는 문제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기획이 필요하다. ‘전제(생활역량, 언어능력 강화) - 촉진(공동체 활동을 통한 정주민의 인식개선과 이주민의 사회참여 기회 확대) - 최종(경제활동을 통한 자립)’이라는 점진적ㆍ단계적 정책은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이와 같은 논의들을 통해 진정한 다문화 사회 구축을 위해 우리는 앞으로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고민의 여지를 남기고자 한다. 또한 다문화 사회 속 소설의 지평과 함께 실천적이고 수행적인 면모가 감지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make a narrative diagnosis and reveal the prospects for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alyzing the novels that embodied the lives of multicultural members.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propose a plan for improving the policy based...
This study aims to make a narrative diagnosis and reveal the prospects for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alyzing the novels that embodied the lives of multicultural members.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propose a plan for improving the policy based on this and seek the need for a phased policy that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immigrants, being independent as social members.
To approach the multicultural society considered the proposition of the 21st century, academic circles move busily. The discourses of multicultural research in various academic circles are heading of the direction in seeking problem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an alternative plan.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understanding social problems and presenting alternative plans when the properties of a multicultural society are introspected. This study would find problem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state-driven multiculturalism. In the state-driven multicultural system, it is difficult to fully reflect the positions and opinions of the planning members in the stage of planning the policy and system. On the premise of this critical mind, concerns continue to cope with multicultural society started from the above and reflect the members’ opinions in system improvement.
At this point, it is possible to pay attention to the novels with which social problems and the problems of the individuals who encounter them together. In that the novels that embodied multicultural society call attention to social problems, disclosing the institutional blind spots by surveying various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can aim at changes through the novelists’ prospects, they provide the possibility of system improvement. These works can als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existing studies of multicultural novels. Studies of multicultural novels have until now focused on the contradictions of Korean-style multiculturalism, the aspects of novelization, and the otherness of immigrants found here. The alternative plan for this, too, was limited to an abstract sense of responsibility and duty, and individual ethical problems, so it felt somewhat empty in fact.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that discovers issues of the present system and proposes points of supplementation through narrative diagnoses and prospects for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a work that expands the horizon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novels and reconsiders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novels.
On the premise of the above, this study made narrative diagnoses and prospects for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d explained a plan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in three steps. First,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the inflow of immigrants who formed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field of public opinions. This can be said to be the work of narrative and institutional diagnosis related to the inflow of immigrants. For this, this study discusses the novels that approach the source of suffering by foreign workers and foreign women married to Koreans. Foreign workers discovered in novels faced the problem of unstable stay or failed the fulfillment of desire. It is found through the novels that foreign women married to Koreans also experienced contradiction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migration. To understand the problem of foreign workers’ employment and stay and the contradiction of marriage brokers business, this study examined “Act on the Employment Improvement of Construction Workers” and “Marriage Brokers Business Management Act.”
Second, this study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settlement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along with the settlers who welcome immigrants. What should be kept in mind is that the multicultural society is not a society only for immigrants. The introspection of the settlers is also important, who are excluded in the discourses of multicultural studies. Here, the key is that it is necessary to proceed to the revelation of the cause, more than just the understanding of the fictional embodiment of the settl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draw the issues of the present system and the possibility of its improvement. To achieve this, this study would select various novels that surve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ulticultural members as research subjects and discuss the settlers’ various emotions for immigrants. Through the work of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the operation of emotions such as hate and tolerance, and compassion and empath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ttlers’ awareness’ and ‘the immigrants’ otherness’ was drawn. Discussing the fact that it is urgently necessary to eliminate the immigrants’ otherness to aim at an integrated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the present ‘social integration’ policy on the settlers’ awareness and the immigrants’ otherness.
Third, this study proposes the improvement of all sorts of policies, putting together the narrative and institutional diagnosi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writers’ orientation and prospect. The proposal of multicultural policy through novels can be made in two layers. First, to discover a plan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from the images of multicultural society diagnosed in novels, and incidents that caused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between members, and themselves, and second, to draw a ‘prospect’ set by individual novelists themselves and propose a plan for policy improvement. The former provides a clue for removing the irrationality of the migration policy. In other words, it allows the development of an agreement that fully considers each person’s position in the dilemma occurring between ‘the state’ and ‘immigrants,’.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opose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act on the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for fulfilling desires and the visa system and se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resolving the contradiction of marriage brokers business. The latter allows institutional seeking for eliminating immigrants’ otherness. Since this is a problem that cannot be resolved in the short term, long-term, systematic policy planning is needed. The gradual and phased policy, which consists of ‘premise (reinforcement of living capacity, language ability) - promotion (awareness improvement of settlers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and expanding opportunities for immigrants to participate in society) - final (self-reliance through economic activities), would be an effective alternative plan.
Through the discussions like these, this study would leave room for concerns about what we should prepare in the future for the establishment of an authentic multicultural society.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hopefully, practical and performative aspects will be detected along with the horizon of novel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목차 (Table of Contents)
1 장일구, "소설 FAQ", 전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2 이혜경, "물 한모금", 문학과사회 16(1),문학과지성사, 2003
3 김애령, "듣기의 윤리", 봄날의 박씨, 2020
4 최유찬, "문예사조의 이해", 이룸, 2006
5 김윤영, "타잔, 실천문학79", 실천문학사, 2005
6 장일구, "이면에 길을 묻다", 시와사람, 2005
7 장일구, "서사+문화@+혼불_α", 전남대출판부, 2017
8 한수영, "새의 말, 실천문학106", 실천문학사, 2012
9 김경욱, "천년 여왕, 문학동네47", 문학동네, 2006
10 구경미, "별 오는 날, 실천문학91", 실천문학사, 2008
1 장일구, "소설 FAQ", 전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2 이혜경, "물 한모금", 문학과사회 16(1),문학과지성사, 2003
3 김애령, "듣기의 윤리", 봄날의 박씨, 2020
4 최유찬, "문예사조의 이해", 이룸, 2006
5 김윤영, "타잔, 실천문학79", 실천문학사, 2005
6 장일구, "이면에 길을 묻다", 시와사람, 2005
7 장일구, "서사+문화@+혼불_α", 전남대출판부, 2017
8 한수영, "새의 말, 실천문학106", 실천문학사, 2012
9 김경욱, "천년 여왕, 문학동네47", 문학동네, 2006
10 구경미, "별 오는 날, 실천문학91", 실천문학사, 2008
11 김재영, "꽃가마배, 작가세계19(2)", 작가세계, 2007
12 이반장, "납작쿵, 창작과비평38(4)", 창비, 2010
13 김재영, "코끼리, 창작과비평32(3)", 창비, 2004
14 권정현, "베트남 여자, 실천문학128", 실천문학사, 2018
15 전성태, "로동신문, 창작과비평37(2)", 창비, 2009
16 백수린, "중국인 할머니, 참담한 빛", 창비, 2016
17 김애란, "가리는 손, 창작과비평45(1)", 창비, 2017
18 손홍규, "이무기 사냥꾼, 문학동네43", 문학동네, 2008
19 전성태, "이미테이션, 문학과사회21(4)", 문학과지성사, 2008
20 방현석, "존재의 형식, 창작과비평30(4)", 창비, 2002
21 유재현, "패스터 패스터, 창작과비평36(3)", 창비, 2008
22 강영숙, "갈색 눈물 방울, 문학과사회17(4)", 문학과지성사, 2004
23 조용호, "별이 빛나는 밤에, 문학동네14(1)", 문학동네, 2007
24 김영삼, "1960년대 소설의 정치철학적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015
25 공선옥, "명랑한 밤길, 창작과비평 33(3)", 창비, 2005
26 은희경, "장미의 이름은 장미, 문학동네104", 문학동네, 2020
27 백가흠, "쁘이거나 쯔이거나, 백가흠 소설집", 문학과지성사, 2011
28 오경석,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 2009
29 김금희, "센티멘탈도 하루 이틀, 창작과비평40(2)", 창비, 2012
30 김애란, "그곳에 밤 여기의 노래, 문학과사회22(1)", 문학과지성사, 2009
31 김지혜, "다문화 소설을 통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2 최종렬, "다문화주의의 사용 : 문화사회학의 관점", 한국문화사, 2017
33 최민석, "시티투어버스를 탈취하라, 창작과비평38(4)", 창비, 2010
34 최경도, "법과 문학: 정의의 문제, 새한영어영문학48-1", 새한영어영문학회, 2006
35 전영주, "다문화시대의 문학담론과 형상화, 동악어문학75", 동악어문학회, 2018
36 조미숙, "다문화시대의 문학적 대응, 한국문예비평연구30", 한국문예비평학회, 2009
37 이미림, "다문화 서사구조와 문학적 특징, 현대소설연구61", 한국현대소설학 회, 2016
38 김병록, "이민정책의 법제와 헌법적 과제, 미국헌법연구31-2", 미국헌법학회, 2020
39 김경민, "한국 문학이 아시아와 마주하는 법, 국어국문학192", 국어국문학회, 2020
40 강지혜, "다문화 담론에서 통역의 역할 연구, 번역학연구14-5", 한국번역학회, 2013
41 천정환, "문화론적 연구의 현실 인식과 전망, 상허학보 19", 상허학회, 2007
42 이경희, "국제결혼중개업에 관한 법적 규제, 한남법학연구1-1", 한남대 과학기 술법연구원, 2013
43 이진경, "역사의 공간: 소수성, 타자성, 외부성의 사건적 사유", 휴머니스트, 2010
44 김현주, 류지현, "한국의 다문화연구의 경향 고찰, 인문과학연구 42", 대구가톨 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45 민가영,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본 다문화 교육, 문학과사회9", 한국문화사회 학회, 2010
46 장일구, "서사의 문화적 역학에 관한 시론, 현대문학이론연구27", 현대문학이 론학회, 2006
47 표명환, "외국인근로자 고용제도에 관한 법적 고찰, 법학연구41", 한국법학회, 2011
48 허정, "전성태 소설에 나타난 단독성과 소통, 한국민족문화49", 부산대 한국민 족문화연구소, 2013
49 박숙자, "1970년대 타자의 윤리학과 공감의 서사, 대중서사연구25", 대중서사 학회, 2011, null
50 엄숙희, "다문화 소설에 나타난 폭력 양상 연구, 우리문학연구65", 우리문학 회, 2020
51 장임숙, "이주민소수자 정책의 정향과 정체성, 한국행정논집23-1", 한국정부 학회, 2011
52 김태원, "게오르그 짐멜의 이방인 이론과 상호문화, 인문사회21 8", 아시아문 화학술원, 2017
53 안광진, "다문화 모티프 소설의 인물 연구: 첨부작품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54 손영화,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법정책의 연구, 법과 정책연구18-1", 한국법정 책학회, 2018
55 최병우,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이주의 인간학, 현대소설연구51", 한국현대소 설학회, 2012
56 민기연, 이영선,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해체 경험, 다문화 사회연구 13-2", 숙명 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57 김교봉, "다문화가정 소설의 서사적 특징과 전망, 한국어문연구19", 한국어문 연구학회, 2010
58 이도흠, "국문학 연구에서 문화연구의 적용과 한계, 국어국문학158", 국어국문 학회, 2011
59 류동규, "상호문화 형성을 위한 다문화 소설 교육, 국어교육연구65", 국어교육 학회, 2017
60 우한용, "21세기 한국사회의 다양성과 소설적 전망, 현대소설연구40", 한국현 대소설학회, 2009
61 한태희, "불법체류자의 권리인정과 사법소극주의, 다문화와 평화9-1", 성결대 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62 천정환, "새로운 문학연구와 글쓰기를 위한 시론, 민족문학사연구26", 민족문 학사학회, 2004
63 박종대, "한국 다문화정책의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문화정책논총28", 한구문 화정책개발원, 2014
64 윤여탁, "다문화 사회 : 한국문학과 대중문화의 대응, 국어교육연구26", 서울 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0
65 김효정, 서동훈, "이주노동자 소설에 나타난 타자 윤리 연구, 인문학논총 45", 경성대인문과학연구소, 2017
66 조명기, "로컬 주도적 다문화주의의 의미와 가능성, 로컬리티 인문학12", 부산 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67 김광기, "이방인의 현상학-이방인과 자연적 태도-, 현상학과 현대철학 33", 한 국현상학회, 2007
68 한건수, "타자 만들기 : 한국사회와 이주노동자의 재현, 비교문화연구9-2", 서울대 비교문화연구소, 2003
69 최경도, "헤라클레스의 활 , : 법과 문학의 서사전략, 새한영어영문학51-3", 새한 영어영문학회, 2009
70 송해련, "OECD 주요국의 이주정책과 이주민 특성분석, 노동정책연구 19-2", 한국노동연구원, 2019
71 김지혜, "다문화 소설에 나타난 이중적 환대와 교육의 문제, 문학교육학44",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72 김지혜, "다문화 소설에 대한 비판적 이해 교육 내용 연구, 국어교육연구43", 서울대학교국어교육연구소, 2019
73 홍경자, "세계화시대의 문화다양성에 대한 해석학적 문제들, 해석학연구29", 한국해석학회, 2012
74 조홍석, "국제결혼중개업법과 결혼이주여성의 인권보호, 법과 정책연구20-4", 한국법정책학회, 2020
75 허상문,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비평이론과 문화유물론, 한국영미어문학회79", 영미어문학, 2006
76 김경제, 전영순, "이민자를 위한 사회 통합프로그램 운영의 개선방안, 인문사 회21",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77 송현호, "다문화 사회의 서사 유형과 서사 전략에 관한 연구, 현대소설연구 44",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78 오윤호, "국인 이주자의 형상화와 , 우리 안의 타자담론, 현대문학이론연구 40",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79 김경민, "대상화된 존재로서의 베트남 여성과 한국 문학의 윤리, 어문학 150", 한국어문학회, 2020
80 강진구, "한국소설에 나타난 결혼 이주여성의 재현 양상, 다문화콘텐츠연구 11", 중앙대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81 박새미, "국인 이주자의 헌법적 보호 , : 노동이주자와 혼인이주자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82 이미림, "년대 다문화 소설에 나타난 이주노동자의 재현 양상, 우리문학 연구35", 우리문학회, 2012, 2000
83 김태환, "포용국가와 국민이 공감하는 이민정책, 한국이민정책학회 학술대회 7", 한국이민정책학회, 2019
84 홍석준, "현대 한국에서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다문화와 인간 7-12",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원, 2018
85 김애령, "다른 목소리 듣기: 말하는 주체와 들리지 않는 이방성, 한국여성철학 17", 한국여성철학회, 2012
86 김세령, 남세현, "한국 소설에 재현된 다문화 사회 장애 남성상, 디지털융복합 연구 14",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87 박효정, "EBS다문화 고부열전에 나타나는 이데올로기 담화분석, 아시아문화연 구52",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88 강영훈, "전성태 소설에 나타난 다문화담론의 변주 양상, 현대문학이론연구 65",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89 문정애, "짐멜의 현대성, 게오르그 짐멜,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오늘의 문예비 평", 오늘의문예비평, 2005
90 연남경,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접경지대와 구성되는 정체성, 현대소설연구 52집",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91 심규범, "건설현장의 외국인 근로자 고용 현황 및 개선 과제, 한국건설산업연 구원", 건설이슈포커스, 2015
92 김민선, 김재훈, "다문화 가정 자녀 관련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 현대사회와 다문화 11-1",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1
93 소라미, "결혼이주여성의 인권 실태와 한국 법제도 현황에 대한 검토, 법학논 총16-2",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94 손혜숙, "다문화 소설에 재현된 다문화가정2세의 정체성 양상, 다문화콘텐츠연 구34", 중앙대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0
95 한주희, "한국 사회에서 타자의 문제: 정치적 연대를 위하여, 인문사회과학연 구21-3",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96 전영평, "다문화시대의 소수자운동과 , 소수자행정 : 담론과 과제, 한국행정학보 42-3", 한국행정학회, 2008
97 이소영, "법문학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해체주의 문학방법의 법적 수용을 중심 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98 송형주, "이주여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 유형화와 정부대응을 중심으로, 행정 논총52-4",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4
99 강창동, "단일민족사관의 사회사적 형성과 다문화교육의 방향탐색, 교육사회학 연구20", 한국교육사회학회, 2010
100 이덕남, 조공민, "한국 다문화 소설에 나타난 이주남성노동자 유형연구, 동북 아문화연구 33",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101 허병식, "2000년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와 정체성 정치 비판, 다문 화와 평화6-1", 성결대다문화평화연구소, 2012, 2012
102 박현호, "문화연구의 정치성과 역사성 – 근대문학 연구의 현황과 반성, 민족문 화연구5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103 박진우, "쟁점과 대안: 이주노동자 탄압과 무권리로 얼룩진 고용허가제 10년, 노동사회178",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4
104 이경재, "다문화 소설에 나타난 결혼이주여성의 이중언어 정체성 연구, 한국문 학과예술28", 숭실대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105 박덕규, 유용억, "결혼이주여성의 소설적 형상화 양상-년대 작품을 중심으 로, 한국문예창작 15-2", 한국문예창작학회, 2016, 2000
106 윤영옥, "다문화 교육을 위한 소설텍스트 개발과 교육적 적용 시론, 현대문학 이론연구52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107 최남건, "2000년대 한국 다문화 소설 연구 – 이주민 재현 양상과 문학적 지향성 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014
108 김대중, 정은정, "유럽축구에서의 인종차별에 관한 연구: 다문화시회 시사점, 세계지역연구논총38-3", 한국세계지역학회, 2020
109 권철우, "외국인 고용자 고용이 비정규직 청년 노동자 고용에 미치는 영향, 미 래성장연구3-1", 고려대 미래성장연구소, 2017
110 김서영, "지역사회 차원에서 본 이주노동자와의 통합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 사회복지학69-3",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111 고진호, 오은주,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경험연구 , 인문사회21 12-2",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112 이미림, "다문화 성장소설 연구 -코끼리, 완득이, 이슬람 정육점을 중심 으로, 현대소설연구51", 한국현대소설학회, 2012
113 백지연, "타자의 인식과 공공성의 성찰: 전성태와 공선옥의 소설을 중심으로, 창작과비평37-4", 창비, 2009
114 이경재, "년대 다문화 소설 연구: 한국인과 이주민의 관계양상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40", 한국현대문학회, 2013, 2000
115 김지혜, "다문화 문식성 함양을 위한 소설교육 연구-공간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69", 국어교육학회, 2019
116 연남경, "다문화 소설의 탈경계적 주체 연구-이방인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현 대문학이론연구49",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117 임영언, "외국인 노동자의 광주시민에 대한 인식태도와 지원수요에 관한 고찰 , 재외한인연구47", 재외한인학회, 2019
118 고준기, 노재철, "hate-speech 등 인종주의적 혐오표현에 대한 법적 규제의 동 향과 시사점, 법학논총 40-3",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119 이소현, 임업, "외국인 고용과 고령자 고용의 관계: 공간회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29-1", 한국지역개발학회, 2017
120 윤영옥, "21세기 다문화 소설에 나타난 국민 개념의 재구성과 탈식민성, 한국 문학이론과 비평56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2
121 박선욱, "다문화 사회와 사회 통합을 위한 법정책 비교 – 주요 EU국가와 한국의 사례, 법학논총42-2",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122 홍순애, "다문화 사회의 문학적 상상력과 교육방안 연구: 다문화 소설을 중심으 로, 한중미래연구6", 동덕여자대학 한중미래연구소, 2016
123 정혜숙, "한국의 이주노동자를 돕는 실천현장의 이해와 사회복지교육의 과제, 한국사회복지교육11",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0
124 김현미, "결혼이주 여성의 가정(Home) 만들기: 문화 접경지대 번역자로서의 이 주여성, 비교한국학18-3", 국제비교한국학회, 2010
125 문영만, "외국인노동자의 종사상 지위별 임금격차 및 임금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산업노동연구22-2", 한국산업노동학회, 2016
126 문재원, "이주의 서사와 로컬리티-나마스테와 잘 가라, 서커스에 재현된 이 주공간, 한국문학 논총54", 한국문학회, 2010
127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학 42", 한국사회학회, 2008
128 최병두,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사회에 관한 학제적ㆍ통합적 연구를 위하여, 현 대사회와 다문화 1",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1
129 오윤호, "디아스포라의 플롯 – 년대 소설에 형상화된 다문화 사회의 외국인 이주자, 시학과 언어학17", 시학과언어학회, 2009, 2000
130 엄미옥, "상상의 공감, 소통의 시학-나마스테에 나타난 법과 인권의 문제를 중 심으로, 대중서사연구24", 대중서사학회, 2010
131 이용일, "다문화시대 고전으로서 짐멜의 이방인 새로 읽기: 새로운 역사적 이민 연구의 단초, 독일연구18", 한국독일사학회, 2009
132 김경희, 허영숙, "결혼이주여성 통번역사를 중심으로 본 한국의 에스닉 노동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53-2",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4
133 이일정, 이채원, "중국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0-1",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134 김상무, "독일의 이주민통합을 위한 교육정책의 통합 담론에 관한 연구, 한국 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1",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135 류보선, "다언어공동체와 연인들의 공동체 – 한국계 미국 작가 소설 속의 한국인 의 정체성, 현대소설연구40", 한국현대소설학회, 2009
136 김영재, "한국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주노동자 정책 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21-4", 한국평화연구학회, 2020
137 백종인, 설재영, "외국인근로자 정책 및 법제개선에 관한 연구-독일의 외국인근 로자 법제를 중심으로, 고려법학 49",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7
138 김상교, "다문화가정 다국어 서비스 지원 현황 연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를 중 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 34",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0
139 김지혜, "미적 성찰을 통한 다문화 소설의 윤리적 반성 검토 : 전성태의 이미테 이션을 대상으로, 인문사회218-6",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140 이선옥, "한국 이주노동자운동의 형성과 성격변화 – 고용허가제 도입 시기 명동 성당 농성단 사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41 강영훈, "보호와 억압, 다문화주의의 두 얼굴 – 다문화 소설에 나타난 민족공동 체의 역설, 현대문학이론연구62",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142 정선주, "EBS 다문화고부열전에 출연한 결혼이주여성의 특징: 인구사회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59-2", 숙명여대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143 안진, "결혼이주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일고찰-결혼이주여성의 인권의 관점에서, 법학논총30-1",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144 박은정, 주우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통합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 수도권 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디아스포라연구14-2", 전남대학교글로벌디아스포라연 구소, 2020
145 문대일, 이가영, "한국의 이주자들과 해외의 한국인 이주자들- 다문화 소설의 다중적 서사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37", 대구가톨릭대 인문과학연구소, 2019
146 김형민, 이재호, "사회 통합을 위한 패러다임 모색-유럽의 상호문화주의와 상호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통합유럽연구 12-1", 서강대학교 국제지역문화원, 2021
147 조승연,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시사점, 한국농촌경제연구원기타연구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148 박진, "박범신의 장편소설 나마스테에 나타난 이주노동자의 재현 이미지와 국 민국가의 문제, 현대문학이론연구40",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149 강현주, 정세리, "사회 통합프로그램 만족 및 활용도 조사: 사회 통합프로그램 중심으로, 인문사회기술융합콘텐츠연구 2-2",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19
150 이민경, "이주정착귀환의 행위자 네트워크: 베트남 미등록 노동이주여성들의 사 례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22",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6
151 윤영옥, "한국 다문화 소설에 나타난 문화취향과 사회 통합의 문학적 재현-박찬 순 소설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167집", 국어국문학회, 2014
152 설동훈, "외국인 노동자와 인권-국가의 주권과 국민의 기본권 및 인간의 기본 권의 상충요소 검토, 민주주의와 인권5-2", 전남대 5ㆍ18연구소, 2005
153 조성혜,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보장법상 지위-외국인고용법이 사회보장법에 미 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究40", 한국사회법학회, 2020
154 이정미, "외국인근로자의 불법체류 감소 및 방지를 위한 요인 분석: 정책불응이 론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9-1",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155 손동기, "이주민 여성에 대한 프랑스의 정책과 , 시사점: 한국의 이주민 여성에 대 한 복지체계 연구에 주는 시사점, EU연구51",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9
156 정수남, "모호한 경계, 전가된 희생- 제주지역 네팔지부 노동자의 건강행동과 사회문화적 역학관계, 지방사와 지방문화 22-2", 역사문화학회, 2019
157 김민정, "전성태 소설에 나타난 주체성과 타자인식 연구 – 디아스포라를 모티프 로 한 소설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51", 한민족문화연구회, 2015
158 설동훈, "국제노동력이동과 외국인노동자의 시민권에 대한 연구: 한국ㆍ독일ㆍ일 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와인권7-2, 전남대학교 5", 18연구소, 2007
159 정현주, "한국 이주정책에서 이주민의 사회적 계층화와 공간분화 : 민족과 젠더 에 따른 외국인노동자 체류자격 차등화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9-3", 한국지리학회, 2020
외국인근로자 사업담당자가 알아야 할 보건의료지원의 이해
K-MOOC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김미선, 주영수, 고기복, 장덕규, 장주영, 이은하외국인근로자 사업담당자가 알아야 할 보건의료지원의 이해
K-MOOC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김미선, 주영수, 고기복, 장덕규, 장주영, 이은하외국인근로자 사업담당자가 알아야 할 보건의료지원의 이해
K-MOOC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김미선, 주영수, 고기복, 장덕규, 장주영, 이은하외국인근로자 사업담당자가 알아야 할 보건의료지원의 이해
K-MOOC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김미선, 주영수, 고기복, 장덕규, 장주영, 이은하외국인근로자 사업담당자가 알아야 할 보건의료지원의 이해
K-MOOC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김미선, 주영수, 고기복, 장덕규, 장주영, 이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