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眞番의 변천과 百濟 건국집단의 出自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33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眞番 주민은 위씨조선에게 복속될 무렵 지금의 황해도와 경기 북부지역에 분포했고, ‘진번군의 설치와 폐지 - 낙랑군 이관 - 남부도위의 설치와 폐지 – 대방군의 지배’라는 수차례의 영...

      眞番 주민은 위씨조선에게 복속될 무렵 지금의 황해도와 경기 북부지역에 분포했고, ‘진번군의 설치와 폐지 - 낙랑군 이관 - 남부도위의 설치와 폐지 – 대방군의 지배’라는 수차례의 영속관계 변동을 겪었다. BC 75년 낙랑군 남부도위가 설치될 때 진번군의 영역 중 남부에 해당하는 예성강~임진강~한강 하류역이 방기되었다. 경기 북부 지역은 중국 군현, 마한, 영서예의 틈에 낀 정치적 공백지대이자 완충지대였지만 한편으로 舊진번 주민의 정치체가 형성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고 보인다. AD 30년의 남부도위 폐지와 2세기 후반 낙랑군의 지배체제 동요가 이에 일조했다.
      3세기 초 帶方郡이 설치되기까지 이어진 영속관계의 변동과 혼란 속에서 구진번 주민가운데 유력한 집단이 파상적으로 남하하여 伯濟國으로 유입되었다고 생각된다. 2세기 후반~3세기 초가 백제 건국집단이 이주해 온 시기로서 가장 유력하다. 이들은 BC 4세기경 성립된 眞番이라는 정치체의 후예이지만 BC 108년에 진번군의 지배를 받기 시작한 이래로 漢문화, 그중에서도 樂浪郡 문화의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 과정에서 획득한 製鐵, 建築, 製陶 기술은 물론 사회적 기술(Social Technology)을 활용하여 伯濟國의 선주민을 포섭해갔고 백제국을 마한의 맹주로 성장시켰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 the time the residents of Jinbeon 眞番 were subjugated to the Weiman 衛滿 Choseon, they were distributed in the present-day Hwanghae-doh Province and northern Gyeonggi-doh Province. Since then, there have been several permanent changes in relat...

      By the time the residents of Jinbeon 眞番 were subjugated to the Weiman 衛滿 Choseon, they were distributed in the present-day Hwanghae-doh Province and northern Gyeonggi-doh Province. Since then, there have been several permanent changes in relations: the establishment and abolition of Zhenfan Commandery 眞番郡 - the transfer of Lelang Commandery 樂浪郡 – the establishment and abolition of the Southern provincial government 南部都尉 – the domination of Daifang Commandery 帶方郡.
      In 75 BC, when the Southern provincial government of Lelang Commandery was established, the southern part of Zhenfan Commandery area was discharged.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doh Province was a political vacuum and buffer zone between the Chinese prefectures, Mahan 馬韓 and Yeongseo-Ye 嶺西濊 polities. On the other hand, conditions seem to have been created for the formation of a polity for the former residents. The abolition of the Southern provincial government in 30 AD and the agitation of the ruling system of Lelang Commandery in the latter part of the 2nd. century contributed to this.
      Until the establishment of Daifang Commandery in the early 3rd. century, there was a series of changes and confusion in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During this process, it is believed that a powerful group of residents of old-Jinbeon 眞番 moved southwards and flowed into Beakjejuk polity 伯濟國. The second and third centuries are the most likely period when Baekje’s founding groups moved in. They are descendants of a polity called Jinbeon, which was established around the 4th century BC, but have been deeply influenced by Han 漢 culture since it began to be ruled by Zhenfan Commande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眞番의 형성과 위치
      • III. 眞番郡의 변천과 주변 정치체
      • IV. 원삼국시기 예성강~한강 유역의 정세
      • 국문초록
      • I. 머리말
      • II. 眞番의 형성과 위치
      • III. 眞番郡의 변천과 주변 정치체
      • IV. 원삼국시기 예성강~한강 유역의 정세
      • 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태돈,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2 강종훈, "한국 고대사 연구의 현단계" 주류성 출판사 2009

      3 마크 바잉턴,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 사계절 2014

      4 권도희, "중부지역 낙랑계 토기 및 철기에 대하여 – 북한강유역 춘천지역을 중심으로-" 중부고고학회 16 (16): 137-171, 2017

      5 손영종, "조선단대사 (고구려사 1)"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6

      6 권도희, "접점, 중부지역 원삼국시대의 여명"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2018

      7 권오영, "원삼국기 한강유역 정치체의 존재양태와 백제국가의 통합양상" 중부고고학회 8 (8): 31-49, 2009

      8 전주농, "신천에서 대방군 장잠장 왕경의 무덤 발견"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1962

      9 김영심, "백제, 누가 언제 세웠나 : 백제의 건국시기와 주체세력" 한성백제박물관 2013

      10 양기석, "백제 정치사의 전개과정" 서경문화사 2013

      1 노태돈,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2 강종훈, "한국 고대사 연구의 현단계" 주류성 출판사 2009

      3 마크 바잉턴,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 사계절 2014

      4 권도희, "중부지역 낙랑계 토기 및 철기에 대하여 – 북한강유역 춘천지역을 중심으로-" 중부고고학회 16 (16): 137-171, 2017

      5 손영종, "조선단대사 (고구려사 1)"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6

      6 권도희, "접점, 중부지역 원삼국시대의 여명"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2018

      7 권오영, "원삼국기 한강유역 정치체의 존재양태와 백제국가의 통합양상" 중부고고학회 8 (8): 31-49, 2009

      8 전주농, "신천에서 대방군 장잠장 왕경의 무덤 발견"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1962

      9 김영심, "백제, 누가 언제 세웠나 : 백제의 건국시기와 주체세력" 한성백제박물관 2013

      10 양기석, "백제 정치사의 전개과정" 서경문화사 2013

      11 노중국, "백제 정치사" 일조각 2018

      12 손영종, "락랑군 남부지역(후의 대방군지역)의 위치 - 《락랑군 초원4년 현별 호구 다소 □□》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2006

      13 송호정, "다시 쓰는 고조선사" 서경문화사 2020

      14 송호정, "다시 쓰는 고조선사" 서경문화사 2020

      15 이청규, "다뉴경과 고조선"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015

      16 윤용구, "낙랑군 호구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0

      17 권오영, "고대 성토구조물의 성토방식과 재료에 대한 시론" 5 : 2017

      18 오영찬, "강좌 한국고대사 10" (재)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3

      19 崔鍾澤, "黃州出土百濟土器例" 4 : 1990

      20 武田幸男, "高句麗史と東アジア" 岩波書店 1989

      21 尹善泰, "馬韓의 辰王과 臣濆沽國 - 領西濊 지역의 歷史的 推移와 관련하여" 34 : 2001

      22 윤용구, "馬韓諸國의 位置再論 - 漢簡으로 본 朝貢使行과 관련하여 -" 부경역사연구소 (45) : 5-34, 2019

      23 李賢惠, "馬韓 伯濟國의 形成과 支配集團의 出自" 22 : 1991

      24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87

      25 末松保和, "靑丘史草 1" 1965

      26 林起煥,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Ⅰ" (財)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27 金武重, "華城 旗安里製鐵遺蹟 出土 樂浪系土器에 대하여" 백제연구소 (40) : 73-97, 2004

      28 "舊唐書"

      29 "續日本紀"

      30 "漢書"

      31 稻葉岩吉, "滿洲歷史地理 第壹卷" 丸善株式會社 1913

      32 白鳥庫吉, "滿洲歷史地理 第壹卷" 丸善株式會社 1913

      33 關野 貞, "朝鮮美術史" 朝鮮史學會 1932

      34 藤田亮策, "朝鮮古文化綜鑑 第一卷" 養德社 1946

      35 "晉書"

      36 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37 "後漢書"

      38 金基興, "夫租薉君에 대한 고찰 - 漢의 對土着勢力 施策의 一例" 서울大學校 國史學科 12 : 1985

      39 那珂通世, "外交繹史" 岩波書店 1958

      40 "史記"

      41 千寬宇, "古朝鮮史·三韓史硏究" 一潮閣 1989

      42 박경신, "原三國時代 中島類型 聚落의 編年과 展開" 숭실대학교 2018

      43 神田信夫, "中國史籍解題辭典" 燎原書店 1989

      44 權五榮, "三韓의 「國」에 대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45 李賢惠, "三韓社會形成過程硏究" 一潮閣 1984

      46 "三國志"

      47 "三國史記"

      48 金昌錫, "6~7세기 영산강유역과 백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0

      49 김창석, "4세기 이전 한반도 중부지역의 정치체와 정세 변동 -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 중부고고학회 13 (13): 31-58,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