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기업의 주된 경쟁우위 창출방법은 기술적 자원이나 물적 자원 및 재무적 자원을 통해서였다. 하지만 이러한 자원의 모방이 상대적으로 용이해짐에 따라 기업은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60127
성남: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학위논문(박사) --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 관광경영학과 관광경영전공 , 2018.2
2018
한국어
647.94 판사항(23)
경기도
91 p.;: 표; 26 cm.
지도교수: 이인재
I804:41005-20000000906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과거 기업의 주된 경쟁우위 창출방법은 기술적 자원이나 물적 자원 및 재무적 자원을 통해서였다. 하지만 이러한 자원의 모방이 상대적으로 용이해짐에 따라 기업은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
과거 기업의 주된 경쟁우위 창출방법은 기술적 자원이나 물적 자원 및 재무적 자원을 통해서였다. 하지만 이러한 자원의 모방이 상대적으로 용이해짐에 따라 기업은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직원들의 모티베이션과 노력에 보다 많은 노력을 가하고 있다. 특히 인적 서비스를 많이 의존하는 호텔은 이직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이로 인한 여러 비용손실 등에 인적 자원 측면에서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그렇지만 서비스 산업 특성상에 종업원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종업원의 강점을 어떻게 개발하여 활용하는지는 매우 중요해 졌다.
긍정 심리적 자본은 전통적인 기업 경쟁방식과 달리 조직구성원의 강점과 자신감을 개발하고 이직예방 차원에서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이직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심리적 자본의 초점을 두었지만 실제적으로 개인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심리적 차원이외에 다른 동료들과 관계로 인한 이직행동이 중요한 변수로 파악되고 있다. 즉 직장에서 일과 사회적 관계로 인한 이직행동에 동시에 비교해서 연구하는 것에 설명은 부족하였다. 특히 동아시아 사람들은 집단속에서 조화와 협동을 비롯한 집단주의 성향으로 심리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과정 중에 개인의 사회적 자본이 더욱 중요하게 여겨진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심리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심리적 자본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하여 4성급 이상한 호텔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AMOS17.0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자본과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는 단독 회귀분석 모형에서 심리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의 연구결과와 일관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AMOS를 이용해서 사회적 자본을 매개역할로 같이 구조방정식을 분석할 때는 심리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이것은 본 논문에서 새로 발견점이며 바로 조사대상이 4성급 이상 호텔에서 일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 관계이라는 사회적 자본과 같이 비교하면 사회적 자본이 완전매개 역할로 나타났으며 호텔에서 사회적 자본이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자본이 이직의도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는 사회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 Adler & Kwon(2002)와 일관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으며 사회적 자본이 이직의도 간의 부정적 관계를 다시 확인하였다.
셋째, 심리적 자본이 사회적 자본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서 살펴 본 결과는 심리적 자본이 사회적 자본에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적 자본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도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처음으로 심리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에 대해서 입증하였다.
넷째, 심리적 자본과 이직의도 간의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는 사회적 자본이 완전매개로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호텔에서 일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의미 있는 결론을 제공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최재석, 개문사, 개문사, , 1976
2. 한국인의 사회적 자본, 이재열, 남은영,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2(7): 178-214, , 2008
3.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우종필, 한나래출판사, , 2012
4. 긍정심리학적 인간이해와 변화, 이희경, 이동귀,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인간연구, 13: 16-43, , 2007
5.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이재열, 지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 문집: 23-49, , 2006
6.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22』, 이학식, 임지훈, 집현재, , 2015
7. 사회자본으로서의 신뢰와 조직몰입, 이경용, 김왕배,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36(3): 1-23, , 2002
8. 조직 내 사회자본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박희봉,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6(1): 221-237, , 2002
9. 긍정심리자본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최용득, 이동섭, 한국경영학회, 경영 학연구, 39(1): 1-28, , 2010
10. 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지식활동에 미치는 영향, 유한구, 이영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 업능력개발연구, 11(1): 119-141, , 2008
1.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최재석, 개문사, 개문사, , 1976
2. 한국인의 사회적 자본, 이재열, 남은영,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2(7): 178-214, , 2008
3.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우종필, 한나래출판사, , 2012
4. 긍정심리학적 인간이해와 변화, 이희경, 이동귀,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인간연구, 13: 16-43, , 2007
5.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이재열, 지역사회학회,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 문집: 23-49, , 2006
6.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22』, 이학식, 임지훈, 집현재, , 2015
7. 사회자본으로서의 신뢰와 조직몰입, 이경용, 김왕배,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36(3): 1-23, , 2002
8. 조직 내 사회자본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박희봉,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6(1): 221-237, , 2002
9. 긍정심리자본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최용득, 이동섭, 한국경영학회, 경영 학연구, 39(1): 1-28, , 2010
10. 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지식활동에 미치는 영향, 유한구, 이영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 업능력개발연구, 11(1): 119-141, , 2008
11. 소명의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소천, 하유진, 이지현, 손영우,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 20(4): 61-86, , 2013
13. “호텔의 사회자본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진수, 김상진,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호텔경영학연구, 15(2): 41-63, , 2006
14. 심리적 자본이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손은일, 송정수,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25(6): 3953-3975, , 2012
15.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새로운 지적자본 창출에 미치는 영향, 박순미,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인적자원개발연구, 2(1): 171-203, , 2001
17. 희망과 사회적지지, 대처방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 향, 김남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06
18.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병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사회연구, 33(3): 476-515, , 2013
19.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 의 구조적 관계, 문상정, 김기성, 관광경영연구, 20(6): 1-27, , 2016
20. 공무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대처유형이 직무만족 에 미치는 영향, 신명숙, 홍혜영, 한국통합치료학회, 통합치료연구, 2(1): 63-84, , 2010
21. “정치적 스킬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네트워킹행동 의 매개효과”, 문계완, 문재승,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인적자원개발연구, 17(2): 29-60, , 2014
22. 감성지능과 조직구성원 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 연구, 박인, 송계충,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경영경제연구, 37(3): 167-194, , 2015
24. 감정노동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유머와 유머선호도의 조절 효과. 인사, 임창희, 조직연구, 17(1): 1-36, , 2009
26. 변헉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 간 관계에 미치는 자기효능감 의 매개효과, 한광현,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인적자원개발연구, 5(2): 9-34, , 2003
27. “호텔의 서비스 혁신성 및 경영성과 선행요인으로서 사회자본과 지식공유”, 김태구, 이계희, 한국관광학회, 관광학연구, 34(7): 13-36, , 2010
28. 사회 네트워크가 개인의 직무성과 및 경력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전수진, 박경규, 한국인사관리학회, 인사관리연구, 31(1): 147-171, , 2007
29. 호텔종사원의 심리적 자본이 근로의욕, 자기효능감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 남기범, 이호길, 동북아관광학회, 동북아관광연구, 11(2): 65-83, , 2015
31. 호텔종사원의 사회적 자본이 신뢰 및 조직냉소주의와 이 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우성근, 한기장, 한국관광·레저학회, 관광 레저연구, 24(1): 347-369, , 2012
32.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과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양필석, 최석봉, 인적자원관리연구, 18(4): 149-172, , 2011
34. 여성의 인적자본 사회자본 심리적자본에 관한 실증연구(대전 광역시를 중심으로), 유현숙, 박사학위 논문. 대전대학교, , 2004
36. 조직사회화 전략이 신입사원의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백지연, 박지희,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지, 29(1): 47-63, , 2016
37. 심리적 자본이 성과변수에 미치는 영향: 인적 자본 및 사회적 자본 개발노력의매개효과, 심덕섭, 김형진,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 13-26, , 2011
38.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심리적 자본과 태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이채익, 박사학위 논문. 울산대학교, , 2009
39. 인격문화와 한국사회. 석현호 유석춘 공편 "현대한국사회 성격논쟁: 식민지, 계급, 인격윤리", 장윤식, 전통과 현대, , 2001
41. 호텔현장종사원의 심리적 자본이 서비스회 복, 서비스 품질 및 고객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 박대환, 오창호, 최요한, 레저연구, 23(8): 61-80, , 2011
43. 동료 및 상사의 직장 내 일탈행동이 조직구성의 직 무열의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한동희, 전병주, 한국경영학회: 1226-1259,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