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농촌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실태 및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0967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e of in house welfare service on the subjects of the in house welfare service users and non users living in Dalseong gun, Daegu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in house service activation for elders in rural community. For the purpose, I examined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s in rural community in Dalseong gun, and I also investigated their health and illness status, their perception of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utilization, and needs for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of home care helper service, the users of day care service, and non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elders living alone was high with 47.2%, and 63.3% of the elders were no longer taking part in economic activity due to their physical disabilities or aging.
      Second, 52.8% of them had lived in rural areas for more than 51 years, they seemed to be left alone in places of a lifetime. With regard to livelihood assistance, 73.4% of the elders were not included in livelihood security, when compared this figure to the high percentage of living alone elders, the number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beneficiaries was too low.
      Third, the most urgent priority in rural areas seemed to be the expansion of welfare facilities (51.3%) and the most difficult obstacle for the elders was economic difficulty with low income and health problem caused by old age.
      Fourth, only a few elderly people appeared to be in healthy condition and most of them were having one or more diseases.
      Fifth, They showed low perception of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With regard to utilization, home care helper was shown as the most frequently used service (81.4%) and followed by day care service (18.6%). The reason for not using the service was because they didn’t have any information for the service.
      Sixth, with regard to the state and needs for in house welfare service in users of home care helper service, in house care servic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ervice by the elders and supporting service the most wanted. They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nd 85.7% of them responded to have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gain. The reason that they didn’t want the service any more was because they felt a burden from the institutes or helpers attitude.
      Seventh, in respect of the state and needs for the in house welfare service in users of day care service, nursing car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ervice and nursing and function recovery service was the most wanted service. Most of the users showed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gain. They responded to be helped in that they had useful time with the service.
      Eighth, In regard to non user’s state and needs, most elders responded to have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fter informed. They wanted to use supporting service among home care helper services and nursing care among day care services. Reasons that they didn’t want the service were because they were still in healthy state and because they didn’t want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not to cause any harm to their children). And most of those elders in rural community responded that they should have the right to have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Ninth, the most needed service among in house welfare services for rural elders were shown to expand livelihood assistance and pension for elderly people having a hard time maintaining a livelihood and followed by diversification of home care helper service for those who had difficulty with every day tasks and supporting service for elders living alone. Job creation service associated with teaching vocation skills was shown less needed.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activate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rural elders living in their home in Dalseong gun were made as follows.
      First, since enough basic livelihood assistance was not provided to rural elders living in their home and in house welfare service was not enough, governmental level support for the elders in rural community should be provided.
      Second, as the perception of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was low, the publication of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are required to be facilitated.
      Third, comprehensive services needed for each individual of elders in rural community were not appropriately provided. Therefore, diversification of the service needs developing.
      Fourth, since welfare facilities for elders living in their home was not enough and limited to certain subjects and short term care service was not at all provided as well, the expansion of welfare facilities and professional personnel is required.
      Lastly, effectiv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exchange of welfare information will be facilitated when connecting close institutes together in communities. Thus delivery network service system among communities should be expanded as well as appropriate finance distribu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e of in house welfare service on the subjects of the in house welfare service users and non users living in Dalseong gun, Daegu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in house service activati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e of in house welfare service on the subjects of the in house welfare service users and non users living in Dalseong gun, Daegu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in house service activation for elders in rural community. For the purpose, I examined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s in rural community in Dalseong gun, and I also investigated their health and illness status, their perception of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utilization, and needs for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of home care helper service, the users of day care service, and non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elders living alone was high with 47.2%, and 63.3% of the elders were no longer taking part in economic activity due to their physical disabilities or aging.
      Second, 52.8% of them had lived in rural areas for more than 51 years, they seemed to be left alone in places of a lifetime. With regard to livelihood assistance, 73.4% of the elders were not included in livelihood security, when compared this figure to the high percentage of living alone elders, the number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beneficiaries was too low.
      Third, the most urgent priority in rural areas seemed to be the expansion of welfare facilities (51.3%) and the most difficult obstacle for the elders was economic difficulty with low income and health problem caused by old age.
      Fourth, only a few elderly people appeared to be in healthy condition and most of them were having one or more diseases.
      Fifth, They showed low perception of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With regard to utilization, home care helper was shown as the most frequently used service (81.4%) and followed by day care service (18.6%). The reason for not using the service was because they didn’t have any information for the service.
      Sixth, with regard to the state and needs for in house welfare service in users of home care helper service, in house care servic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ervice by the elders and supporting service the most wanted. They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nd 85.7% of them responded to have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gain. The reason that they didn’t want the service any more was because they felt a burden from the institutes or helpers attitude.
      Seventh, in respect of the state and needs for the in house welfare service in users of day care service, nursing car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ervice and nursing and function recovery service was the most wanted service. Most of the users showed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gain. They responded to be helped in that they had useful time with the service.
      Eighth, In regard to non user’s state and needs, most elders responded to have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fter informed. They wanted to use supporting service among home care helper services and nursing care among day care services. Reasons that they didn’t want the service were because they were still in healthy state and because they didn’t want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not to cause any harm to their children). And most of those elders in rural community responded that they should have the right to have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Ninth, the most needed service among in house welfare services for rural elders were shown to expand livelihood assistance and pension for elderly people having a hard time maintaining a livelihood and followed by diversification of home care helper service for those who had difficulty with every day tasks and supporting service for elders living alone. Job creation service associated with teaching vocation skills was shown less needed.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activate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rural elders living in their home in Dalseong gun were made as follows.
      First, since enough basic livelihood assistance was not provided to rural elders living in their home and in house welfare service was not enough, governmental level support for the elders in rural community should be provided.
      Second, as the perception of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was low, the publication of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are required to be facilitated.
      Third, comprehensive services needed for each individual of elders in rural community were not appropriately provided. Therefore, diversification of the service needs developing.
      Fourth, since welfare facilities for elders living in their home was not enough and limited to certain subjects and short term care service was not at all provided as well, the expansion of welfare facilities and professional personnel is required.
      Lastly, effectiv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exchange of welfare information will be facilitated when connecting close institutes together in communities. Thus delivery network service system among communities should be expanded as well as appropriate finance distribu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농촌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거주하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를 대상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달성군 농촌재가노인의 인구학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 및 질병상태를 알아보고,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인지도, 이용실태, 욕구 등을 가정봉사원서비스 이용자,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자, 재가노인복지서비스 비이용자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실태 및 욕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혼자 거주하고 있는 노인 단독가구의 비율이 47.2%로 높았고. 노인의 직업은 63.3%가 신체적 불편, 고령화 등으로 더 이상 경제적인 활동을 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에 거주한 기간은 52.8%가 51년 이상으로, 평생 살아온 농촌에 홀로 남아 지속적으로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보조비 수급여부는 비수급자가 73.4%로 독거노인 비율이 높은 것에 비해 공적부조를 받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대상자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문제는 복지시설 확충이 51.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이나 문제는 낮은 수입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고령에 따른 건강상의 문제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상태는 대부분이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다수의 노인이 한 두개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실태는 가정봉사원서비스가 81.4%로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주간보호서비스는 18.6%로 나타났다. 서비스 이용경험이 없는 이유는 대부분이 있는지 몰라서 이용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정봉사원서비스 이용자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실태 및 욕구를 살펴보면, 가사지원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가장 받고 싶은 서비스는 후원서비스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대부분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재이용 여부는 85.7%가 다시 이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 재이용 의향이 없는 이유는 기관/봉사원의 태도가 부담스럽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자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실태 및 욕구를 살펴보면, 간호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가장 받고 싶은 서비스는 간호, 기능회복서비스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대부분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재이용 의사는 대부분이 재이용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 후 도움이 된 것은 낮시간을 유용하게 보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 비용자의 실태 및 욕구를 살펴보면, 인지 후 이용의향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노인들이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하고 싶은 서비스로 가정봉사원서비스는 후원서비스, 주간보호서비스는 간호서비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 이용할 의사가 없는 이유는 아직 건강하기 때문에와 타인의 이목(자식들에게 피해가 갈 것 같아서)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재가노인이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혜택을 받을 권리가 있다로 나타났다.
      아홉째, 농촌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중 가장 필요하고,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서비스는 생활이 곤란한 노인에게 생활비 지급 및 경로연금 확대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고,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위한 가정봉사원서비스의 다양화, 독거노인을 위한 결연사업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관련 기술을 가르쳐 주는 일자리 창출 서비스에 대해서는 낮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달성군 농촌 재가노인을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 제언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재가노인에 대한 국민기초생활보조비 수급여부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농촌노인에 대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혜택이 미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농촌재가노인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인지도가 낮게 나옴에 따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홍보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재가노인 개개인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 제공이 포괄적으로 적절하게 제공되지 못하고 있어, 농촌재가노인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재가노인복지시설이 부족하여 대상인원이 한정되어 있고, 단기보호서비스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재가노인복지시설의 확충과 전문인력이 보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일원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가까운 인접지역에 있는 기관과 상호연계하면 효과적인 서비스 전달체계와 복지정보교류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지역 간 네트워크 서비스의 전달체계 및 올바른 재정이 확충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농촌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거주하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를 대상으로 재가노인복지서...

      본 논문은 농촌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거주하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를 대상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달성군 농촌재가노인의 인구학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 및 질병상태를 알아보고,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인지도, 이용실태, 욕구 등을 가정봉사원서비스 이용자,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자, 재가노인복지서비스 비이용자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실태 및 욕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혼자 거주하고 있는 노인 단독가구의 비율이 47.2%로 높았고. 노인의 직업은 63.3%가 신체적 불편, 고령화 등으로 더 이상 경제적인 활동을 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에 거주한 기간은 52.8%가 51년 이상으로, 평생 살아온 농촌에 홀로 남아 지속적으로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보조비 수급여부는 비수급자가 73.4%로 독거노인 비율이 높은 것에 비해 공적부조를 받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대상자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문제는 복지시설 확충이 51.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이나 문제는 낮은 수입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고령에 따른 건강상의 문제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상태는 대부분이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다수의 노인이 한 두개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실태는 가정봉사원서비스가 81.4%로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주간보호서비스는 18.6%로 나타났다. 서비스 이용경험이 없는 이유는 대부분이 있는지 몰라서 이용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정봉사원서비스 이용자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실태 및 욕구를 살펴보면, 가사지원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가장 받고 싶은 서비스는 후원서비스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대부분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재이용 여부는 85.7%가 다시 이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 재이용 의향이 없는 이유는 기관/봉사원의 태도가 부담스럽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자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실태 및 욕구를 살펴보면, 간호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가장 받고 싶은 서비스는 간호, 기능회복서비스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대부분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재이용 의사는 대부분이 재이용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 후 도움이 된 것은 낮시간을 유용하게 보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 비용자의 실태 및 욕구를 살펴보면, 인지 후 이용의향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노인들이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하고 싶은 서비스로 가정봉사원서비스는 후원서비스, 주간보호서비스는 간호서비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 이용할 의사가 없는 이유는 아직 건강하기 때문에와 타인의 이목(자식들에게 피해가 갈 것 같아서)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재가노인이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혜택을 받을 권리가 있다로 나타났다.
      아홉째, 농촌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중 가장 필요하고,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서비스는 생활이 곤란한 노인에게 생활비 지급 및 경로연금 확대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고,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위한 가정봉사원서비스의 다양화, 독거노인을 위한 결연사업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관련 기술을 가르쳐 주는 일자리 창출 서비스에 대해서는 낮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달성군 농촌 재가노인을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 제언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재가노인에 대한 국민기초생활보조비 수급여부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농촌노인에 대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혜택이 미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농촌재가노인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인지도가 낮게 나옴에 따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홍보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재가노인 개개인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 제공이 포괄적으로 적절하게 제공되지 못하고 있어, 농촌재가노인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재가노인복지시설이 부족하여 대상인원이 한정되어 있고, 단기보호서비스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재가노인복지시설의 확충과 전문인력이 보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일원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가까운 인접지역에 있는 기관과 상호연계하면 효과적인 서비스 전달체계와 복지정보교류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지역 간 네트워크 서비스의 전달체계 및 올바른 재정이 확충되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서론 = 1
      • 1. 문제제기 = 1
      •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 Ⅱ. 이론적 배경 = 5
      • 목차
      • Ⅰ. 서론 = 1
      • 1. 문제제기 = 1
      •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 Ⅱ. 이론적 배경 = 5
      • 1. 재가노인복지서비스 = 5
      • 1)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개념 = 5
      • 2)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 = 6
      • 3) 우리나라의 재가노인복지 발전과정 = 8
      • 4)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 서비스의 문제점 = 11
      • 2.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유형 = 14
      • 1) 가정봉사원 파견사업(home help service) = 14
      • 2) 주간보호사업(day care service) = 16
      • 3) 단기보호사업(short stay service) = 19
      • 3. 농촌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현황 = 21
      • 1) 농촌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관한 선행연구 = 21
      • 2) 농촌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 = 25
      • 3) 달성군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현황 = 26
      • Ⅲ. 연구방법 = 30
      •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30
      • 2. 조사도구 = 31
      • 3. 자료분석 = 32
      • 4. 연구의 한계점 = 33
      • Ⅳ. 연구결과 = 34
      •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4
      • 1)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 34
      • 2)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 37
      • 3) 조사대상자의 건강 및 질병상태 = 40
      • 2. 농촌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실태 및 욕구 = 42
      • 1)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인지도 = 42
      • 2)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실태 = 46
      • 3)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욕구 = 48
      • Ⅴ. 결론 및 제언 = 76
      • 1. 결론 = 76
      • 2. 제언 = 82
      • 참고문헌 = 86
      • 부록 : 설문지 = 89
      • Abstract = 101
      • 초록 = 1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