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자철학에서 존재와 세계의 문제 - ‘무무’의 존재성과 그것의 ‘드러남 양상’을 중심으로 = The problems about 'the existence and the world' in Zang-Tzu’s philosophy -especially on the existence of 'no nothing-furthermore-then nothing'無無 and about the appearance to reveal of 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335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존재론은 장자철학의 핵심문제이다. 존재에 대한 구상 위에 장자의 모든 철학은 올라서 있는 것이다. 존재론이 장자철학의 토대이고, 이 존재론 속에서 구상화된 철학적 구조에 의하여 장자...

      존재론은 장자철학의 핵심문제이다. 존재에 대한 구상 위에 장자의 모든 철학은 올라서 있는 것이다. 존재론이 장자철학의 토대이고, 이 존재론 속에서 구상화된 철학적 구조에 의하여 장자의 모든 생각과 주장들은 장자철학 다운 특수한 의미를 부여받게 되는 것이다. 장자철학의 존재론적 구조는 아주 넓고 깊다. 그러므로 그것을 단숨에 총체적으로 조감하여 낸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런 점에서 나는 장자의 존재론 속에서 가장 특징적인 개념, ‘무무’와 관련된 이야기를 일단 여기서 진행시켜 보고자 한다. ‘무무’는 그 자체만으로 놓여진다면 존재철학의 빠져나올 수 없는 늪이다. 그러나 장자는 그것을 ‘광요’, 즉 ‘빛’과 하나로 연결시켜 놓고 있다. ‘빛’은 가장 분명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존재성, 하나의 존재성, ‘나’의 존재성 영역이다. ‘나’의 존재성과의 조우를 통하여 철학적 경험은 시작되게 마련이다. 이 조우로부터 오는 충격이 크면 클수록 존재론에 대한 사유는 반복적으로 계속되게 마련이고. 그 개념적 깊이와 넓이를 심화, 확장시켜 나가게 마련이다. 장자의 사유는 아주 깊고, 아주 넓게 펼쳐져 나간다. 그리하여 ‘빛’ 속에 ‘분명하게’ 드러나 있는 ‘나의 존재성’은 ‘무무의 존재성’에 가 닿는 데에까지 이르게 된다. ‘빛’은 밝히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것은 존재성의 현상적 구조를 떠오르게 한다. 나누어지고, 분명하여 지고, 특수화 되어서, 결국 그 ‘빛’ 속에 존재는 가두어져 버리게 된다. ‘빛’은 현상성을 얻은 존재, ‘자아’라는 이름을 부여받을 수 있는 하나의 개체이다. ‘자아’라고 하는 현상적 존재성의 그릇 속에 가두어져 버리면 존재는 그 세계와 근원적 단절을 겪게 된다. ‘무무’는 구체로 특수화 된 존재를 ‘무’로 환원시키는 개념이다. ‘무’는 ‘광요의 빛’ 속에 드러난 현상적 존재의 잠재된 존재성을 의미하고, ‘무무’는 그 현상적 존재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잠재적 존재성을 더 깊은 존재성의 바닥으로 끌고 들어가 세계 전체와 연관된 총체적 존재성의 바탕구조로 확장시켜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무’는 세계 전체의 총체적 존재성이고, 동시에 어떤 개별적 존재성의 가능근거이고 바탕구조이다. 모든 개별적 존재의 현상적 존재성은 세계 전체의 총체적 존재성 위에서, 그 총체적 존재성을 바탕적 근거로 공유하면서, 그 자신의 현상적 존재성이 놓여지는 좌표를 확정한다. 그러므로 그것은 현상적 존재성과 총체적 존재성을 복합적으로 내재하게 된다. 그것은 개체적 존재성의 모습으로 자신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세계내적존재로서의 자신의 비존재적존재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y concern is the organizing of Zang-Tzu’s philosophy in terms of ontology. I have presented fragmentary thoughts about Zang-Tzu’s ontological argument before; which is about the epistemological problems, a matter of self and others, a matter of T...

      My concern is the organizing of Zang-Tzu’s philosophy in terms of ontology. I have presented fragmentary thoughts about Zang-Tzu’s ontological argument before; which is about the epistemological problems, a matter of self and others, a matter of Time, and the conception of Space. This article is an extension of those papers, and a systematization of those ideas in a more synthesizable way. The ontology is the most important area of Zang-Tzu’s philosophy. In this essay I want to talk about the concept of 'no nothing-furthermore-then nothing'無無, the most characteristic concept in Zang-Tzu’s ontological philosophy. Zang-Tzu’s philosophical thinking system is deep and wide. Through the course of his thinking, one existence is phenomenal in the light to clarify the depth of its existence, and expands into the area of existence, and then, finally led to the place, that is, in the area of 'no nothing-furthermore-then nothing'. Light has a function to reveal the existence of something in the way of the phenomenal. Any one thing which exists in the world will be divided, be specialized, and eventually locked away in the light. If anyone be boxed up in that phenomenal existence of being, that one being has a fundamental disconnect with the world itself which allows one to make his own being. The 'no nothing-furthermore-then nothing' is one of the concepts which revivifies specific specializations in existence to natural ways of being, that is, 'nonexistence'無. The 'nonexistence' shall mean the dormant existence which is revealed in the light of the 'light of the light'光曜'. In other words, in phenomenal presence revealed, and the 'no nothing-furthermore-then nothing' shall mean the inner being and the most fundamental being of any one existence, or the outer being and the most spread out in a wide range being of any one existence. Thus, 'no nothing-furthermore-then nothing' is a collective way of being in the whole world and the basis of any individual ways of being at once. All the phenomenal presence of the existence of a case-by-case basis on the entire collective ways of being in the whole world, and the overall presence on the basis of sharing, confirm the coordinates placed of one's own phenomenal presence. It is therefore inherent in the existing presence with a complex phenomenon of the whole world. It is to expose oneself with one’s independent existence and to reveal the not-being of one's existence as a world at the same time, inner be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광희, "허원선생 이경선생 회갑기념논문집" 1987

      2 한스 그라스만, "쿼크로 이루어진 세상" 생각의 나무 2002

      3 하이데거, "존재와시간" 까치글방 2001

      4 강학순, "존재와 공간" 한길사 1976

      5 윤천근, "장차철학에서 변화와 시간의 문제" 한국동서철학회 (76) : 85-108, 2015

      6 윤천근, "장자철학에서 자아와 타자의 문제" 한국동서철학회 (73) : 5-32, 2014

      7 윤천근, "장자철학에서 공간과 경계의 문제" 한국동서철학회 (84) : 65-96, 2017

      8 권상우, "유학의 ‘사이(際)’윤리학: 惻隱과 恕" 한국동서철학회 (79) : 95-116, 2016

      9 스티븐 호킹, "시간과 화살" 두레 1991

      10 하이데거, "시간개념" 길 2013

      1 소광희, "허원선생 이경선생 회갑기념논문집" 1987

      2 한스 그라스만, "쿼크로 이루어진 세상" 생각의 나무 2002

      3 하이데거, "존재와시간" 까치글방 2001

      4 강학순, "존재와 공간" 한길사 1976

      5 윤천근, "장차철학에서 변화와 시간의 문제" 한국동서철학회 (76) : 85-108, 2015

      6 윤천근, "장자철학에서 자아와 타자의 문제" 한국동서철학회 (73) : 5-32, 2014

      7 윤천근, "장자철학에서 공간과 경계의 문제" 한국동서철학회 (84) : 65-96, 2017

      8 권상우, "유학의 ‘사이(際)’윤리학: 惻隱과 恕" 한국동서철학회 (79) : 95-116, 2016

      9 스티븐 호킹, "시간과 화살" 두레 1991

      10 하이데거, "시간개념" 길 2013

      11 董光璧, "도가를 찾아가는 과학자들" 예문서원 1994

      12 윤천근, "노장철학의 현대적 조명" 외계출판사 1980

      13 李玲莉, "道敎十三經" 1995

      14 "道德經"

      15 張立文, "道" 중국인민대학출판사 1989

      16 王夫之, "莊子解" 中華書局 1976

      17 焦竑, "莊子翼"

      18 李勉, "莊子總論及分篇評注" 臺灣商務印書館 1973

      19 張恒壽, "莊子新探" 湖北人民出版社 1983

      20 任繼愈, "莊子哲學討論集" 1961

      21 林希逸, "莊子口義"

      22 "莊子"

      23 陳鼓應, "老莊論集" 齊魯書社出版 1987

      24 陳鼓應, "老莊新論" 上海古籍出版社 1992

      25 焦竑, "老子翼"

      26 任繼愈, "老子新譯" 上海古籍出版社 1985

      27 王弼, "老子" 新興書局 1929

      28 陳鼓應, "白話先秦諸子" 黃山書社 1993

      29 塚本哲三, "淮南子" 有朋堂書店 1922

      30 박세당, "南華經註解"

      31 張成秋, "先秦道家思想硏究" 臺灣中華書局 1972

      32 嵇哲, "先秦諸子學" 洪氏出版社 197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3 0.73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