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교육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기대 가치 = User Expectation Values for Smart Device based Education Service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0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교육서비스에 대하여 학습자들이 추구하는 기대 가치가 무엇인지 사용자 경험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밝혀내고, 그결과를 통해 향후 새로운 서비스를 디...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교육서비스에 대하여 학습자들이 추구하는 기대 가치가 무엇인지 사용자 경험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밝혀내고, 그결과를 통해 향후 새로운 서비스를 디자인 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과 집단 대면 인터뷰를 통하여 71개의 기대 항목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한 설문을 진행하여 총 13개의 기대 가치를 도출하였다. 최종 도출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교육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기대 가치는 ‘자신만의 맞춤화된 학습’, ‘언제 어디서나 학습’, ‘진로와 연계될 수 있는 학습’,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다양한 학습 자원을 활용한 학습’, ‘협력을 통한 학습’, ‘교류를 통한 학습’, ‘나에 의한 학습’, ‘실제적인 맥락 하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피드백이 제공되는 학습’,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는 학습’, ‘동기와 보상을 제공받는 학습’, 그리고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이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 기대가치는 여성 집단, 고등학생 집단 그리고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교육서비스에 대해 ‘잘 알고 있음’으로 응답한 집단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what values users pursue from a smart device based education servic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user interv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what values users pursue from a smart device based education servic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user interviews. Thirteen user expectation values were developed from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vidually customized learning, anytime anywhere learning, learning for career,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learning from diverse resources, learning through cooperation, learning through interchange,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within actual context,learning with feedback, learning in spare time, learning with motivation & compensation, and step-by-step learning.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lso showed that the user expectation values of women, high school students and people who responded that they knew the smart device based education service very well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us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성훈, "컨텐츠 사용자 경험요인을 중심으로 한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연구 -박물관 웹 사이트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 (4) : 56 ~ 66 , 2008

      2 윤세균, "온·오프라인 환경에 따른 경험의 활용과 경험디자인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8 (3) : 5 ~ 14 , 2005

      3 전우천,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유러닝 지원시스템의기능 정의 및 활용 방안 연구"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273 ~ 281 , 2011

      4 강정화,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SNS활용 방안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9 (5) : 265 ~ 274 , 2011

      5 이향아, "스마트 러닝에서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앱 디자인 전략" 한국과학예술포럼 13 : 309 ~ 320 , 2013

      6 윤주희, "스마트 가전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주부의 추구 가치 연구 - 전업주부와 취업주부를 대상으로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13 (1) : 149 ~ 163 , 2014

      7 김효진,류한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기반 도시농부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디자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한국디자인포럼 (42) : 173 ~ 182 , 2014

      8 윤주희, "사용자경험디자인의 디자인 분류학적 포지션 및 차별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37) : 223 ~ 232 , 2012

      9 정경수, "모바일 러닝의 특성이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분석" 정보시스템연구 19 (3) : 75 ~ 103 , 2010

      10 김영미, "디지털 미디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경험 차원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0 (4) : 565 ~ 574 , 2010

      1 김성훈, "컨텐츠 사용자 경험요인을 중심으로 한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연구 -박물관 웹 사이트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 (4) : 56 ~ 66 , 2008

      2 윤세균, "온·오프라인 환경에 따른 경험의 활용과 경험디자인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8 (3) : 5 ~ 14 , 2005

      3 전우천,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유러닝 지원시스템의기능 정의 및 활용 방안 연구"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273 ~ 281 , 2011

      4 강정화, "스마트러닝 활성화를 위한 SNS활용 방안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9 (5) : 265 ~ 274 , 2011

      5 이향아, "스마트 러닝에서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앱 디자인 전략" 한국과학예술포럼 13 : 309 ~ 320 , 2013

      6 윤주희, "스마트 가전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주부의 추구 가치 연구 - 전업주부와 취업주부를 대상으로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13 (1) : 149 ~ 163 , 2014

      7 김효진,류한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기반 도시농부 커뮤니티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디자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한국디자인포럼 (42) : 173 ~ 182 , 2014

      8 윤주희, "사용자경험디자인의 디자인 분류학적 포지션 및 차별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37) : 223 ~ 232 , 2012

      9 정경수, "모바일 러닝의 특성이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분석" 정보시스템연구 19 (3) : 75 ~ 103 , 2010

      10 김영미, "디지털 미디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경험 차원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0 (4) : 565 ~ 574 , 2010

      11 박주현, "디자인 중심의 혁신을 위한 혁신성 요인 도출 -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포럼 (34) : 539 ~ 548 , 2012

      12 박기훈, "e-learning에서 스마트폰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14 (2) : 25 ~ 45 , 2013

      13 김규현, "UX 디자인 시나리오 구조설계에 대한 연구 -U-healthcare service 구조를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15) : 11 ~ 20 , 2010

      14 Paramythis, A, "Adaptive learning environments and e-learning standards"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2 (1) : 181 ~ 194 , 2004

      15 최호정, "3D지도 서비스의 조작기능에 대한 터치제스처 적합성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 (4) : 417 ~ 425 ,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