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버넌스를 통한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협력적 관계 모색 : 경기도 혁신교육지구사업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협력적 관계 방안으로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교육개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391933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학위논문(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 리더십 , 2017. 2
2017
한국어
371 판사항(22)
서울
Seeking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utonomy and local autonomy through governance
ix, 139 p. ; 26 cm.
한국외대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사훈
참고문헌 : p. 130-13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거버넌스를 통한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협력적 관계 모색 : 경기도 혁신교육지구사업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협력적 관계 방안으로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교육개혁...
거버넌스를 통한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협력적 관계 모색 : 경기도 혁신교육지구사업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협력적 관계 방안으로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교육개혁을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에서 비롯되었다. 최근 우리나라 교육은 그 동안 시장경제체제에서 비롯된 입시 문제를 포함하여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였고, 공교육 붕괴라는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게 되었다. 일각에서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개혁 방안들을 추진하였고, 경기도에서 시작된 혁신학교는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협력적 관계 구축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개혁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우리나라 교육에 새로운 장을 열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거버넌스를 통한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협력적 관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첫째, 우리나라 교육개혁의 흐름에 대해 분석하고 둘째,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개념적 이해와 관계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여 셋째, 이를 종합적으로 거버넌스 체제 구축을 통한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연계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최근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추진된 학교혁신 정책들은 기존 학교들에 획기적인 체질 개선을 통해 창의인재양성과 배움중심의 교육, 관료조직이 아닌 공동체적인 조직운영에 중점을 두고 학교 혁신이 추진되었고, 그 중 가장 큰 성과를 이룩한 모델이 경기도에서 추진한 혁신교육지구사업이다. 혁신교육지구사업은 도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의 MOU 협약을 통해 행정적인 지원을 통하여 상호협력적 관계가 구축되었다.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하의 협력적 관계는 우리나라 교육에 새로운 개혁방향을 가져왔고 현재도 계속해서 발전시키며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혁신교육지구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거버넌스 차원의 접근을 통해, 지방자치기관과 교육자치기관의 동등한 관점에서의 연계협력과 교사, 학부모, 학생 그리고 시민단체들 간의 상호협력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함께 교육문제를 해결해 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거버넌스 체제 구축을 통한 연계 협력 방안을 분석하여,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육개혁 방안 모델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 교육개혁, 거버넌스, 경기도혁신교육지구사업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eking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utonomy and local autonomy through governance The purpose and aim of this present study is to look and find for find ways of promoting educational refor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governance as a...
Seeking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utonomy and local autonomy through governance
The purpose and aim of this present study is to look and find for find ways of promoting educational refor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governance as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and local autonomy. In recent year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re are and there have been various educational problems in South Korea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entrance examination thought to have originated due to the market economy system and, the fear of the collapse of public education being a reality has. Some of specific subject matter that have pursued various educational reform measures to stabilize normalize public education, and the innovative schools that started in Gyeonggi Province have attempted to reform the school through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self-government and local autonomy in Gyeonggi Province. It is through the innovative school, that as a result, we are opening a new gener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South Korean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utonomy and local autonomy through governance, the following is discussed: 1) to analyze the flow of educational reform in South Korea, 2) to diagnose the problem by analyzing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relation of education autonomy and local autonomy, and 3) to search for cooperation between education autonomy and local autonomy through a comprehensive governance system. innovative education project was established through mutual cooperation on the behalf of administrative support through the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agreement betwee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under the new paradigm between education autonomy has brought a new direction of reform in the field of South Korean education, and this new paradigm is continuing to develop and thus spreading nationwide. innovative education project can be analyzed through a governance-level approach, cooperating with local autonomous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self-governing institutions on an equal footing whilst addressing educational issues together with teachers, parents, students, and civic groups.
Recently, the new school innovation policies conducted and promoted for the normalization of the public education have been improved by establishing creative talents and learning- oriented education. School innovation has been promoted with an emphasis on communal organization rather than bureaucracy. Among these new school innovation policies, the model that achieved the greatest achievement was the innovation education project.
The present work has an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the analysis of cooperative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ance system provides a model for the stabilization of public educ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esents the model of education reform plan for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by analyzing the cooperation pla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ance system of education autonomy and local autonom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