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과 한국의 주택 조명환경 실태 비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875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거환경의 조성에 있어서 조명은 필수적인 요소이자 그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제 조명은 단순히 밝기만을 위한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심신의 편안함과 안정...

      주거환경의 조성에 있어서 조명은 필수적인 요소이자 그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제 조명은 단순히 밝기만을 위한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심신의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는 심리적인 측면, 과학과 공간의 미적 요소 또는 예술적 기능을 포함하는 환경 미학적 측면까지 그 역할이 날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한국 양국간의 생활문화 및 환경에 따른 조명환경의 현황을 파악하여 중․한 양국의 조명환경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한국의 대구와 경북지역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79가구이며, 중국의 경우 심양시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68가구이다. 주택유형에 따라 조명환경이 달라지므로, 어느 정도 조명환경이 비슷한 아파트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 시기는 한국은 2008년 5월부터 6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중국은 2009년 1월부터 2월에 걸쳐 조사하였다. 연구내용은 설문조사와 실측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조사결과는 SPSS 17.0 프로그램으로 빈도, 교차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한 거실공간의 특성을 살펴보면, 전체주택의 크기는 중국보다 한국이 좀 더 크게 나타났지만, 거실공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조색은 바닥의 경우 한국은 갈색과 황색을, 중국은 아이보리와 갈색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천장과 벽의 경우에는 중․한 모두 흰색 계열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전반조명으로는 한국과 중국 모두 형광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중국의 경우 할로겐의 사용이 많았으며, 국부조명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도 측정 결과, 중국보다 한국이 2배 이상 조명밝기가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균제도에서는 한국보다 중국이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국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조도가 매우 낮게 나타나 좋은 조명환경이라고는 할 수 없다. 거실공간의 밝기정도와 만족도는 한국과 중국 모두 보통정도로 나타났으며, 주택조명에서의 중요한 점으로는 한국의 경우 ‘조명의 밝기’가, 중국의 경우에는 ‘조작의 편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명의 문제점으로는 한국과 중국 모두 ‘조명의 관리’와 ‘조명의 밝기’를 들고 있었다. 한국과 중국의 거실공간의 조명실태를 비교해 본 결과, 양국 모두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거실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경우, 국부조명의 사용이나 조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조광기 설비 등 질적인 개선이 필요하였으며, 중국의 경우는 여러 생활행위에 필요한 충분한 조도의 확보가 시급히 필요한 상태로 나타났다.
      둘째, 중․한 침실공간은 중국(12.6㎡)보다 한국(14.4㎡)이 좀 더 큰 공간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주조색의 경우 양국 모두 바닥은 갈색과 황색계열을, 천장과 벽은 흰색계열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실의 밝기와 만족도의 경우 중국은 조금 어둡게, 한국은 보통정도로 느끼고 있었으며, 광원의 종류와 개수는 대부분 형광등을 1개 이상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중국의 경우 할로겐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명사용방법은 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을 같이 사용하는 형태가 중국 48.6%, 한국 32.3%로 중국보다 한국의 조명사용방법이 좋지 않게 나타났으나, 평균조도의 경우는 중국 84.9lx, 한국 183.4lx로 나타나 국부조명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중국보다 한국의 조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균제도도의 경우 중국은 42.98%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조도가 매우 낮으므로 좋은 환경이라고 는 볼 수 있다.
      셋째, 중․한 부엌공간의 비교에서는 크기에서는 중국보다 한국이 좀 더 큰 공간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부엌공간의 싱크대 높이와 식탁 높이는 차이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엌 공간의 전반조명으로는 형광등을, 국부조명을 백열등으로는 주로 사용하였으나, 중국의 경우 국부조명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조명도 대체적으로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싱크대의 KS평균조도인 200lx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한국 40.2%,중국 65.6%로 나타났으며, 식탁의 경우 KS평균조도인 400lx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한국 중국 모두 20% 미만으로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나 시급한 개선이 요구된다. 부엌 공간 조명의 밝기정도와 만족도는 한국과 중국 모두 보통정도의 밝기와 보통정도의 만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내환경의 문제점으로는 한국의 경우 열환경, 음환경, 조명환경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은 조명환경, 공기환경, 일조량 순으로 나타났다. 조명환경 측면의 문제점으로 중․한 모두 밝기, 관리, 효율성이 가장 많이 나타나 주택에서 이런 점에 주안점을 두어 조명환경 계획을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중․한 화장실 평균크기는 중국과 한국 모두 3㎡ 정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주조색은 바닥, 천장, 벽의 모두 흰색 계열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면대와 변기의 평균높이는 각각 중국보다 한국이 2㎝ 정도 높게 나타났다. 세면대 평균높이는 76.2㎝로서 중국 74.3㎝보다 2㎝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변기높이는 한국의 41.1㎝로서 중국 38.7㎝보다 2㎝ 정도 높게 나타났다. 중․한 광원종류 및 개수는 한국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백열등이나 형광등 또는 할로겐을 1개 이상 사용 하여 전반조명으로 이용하고 있었으나 중국의 경우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 등 모두 사용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국부조명을 사용하는 형태가 41.7%로 나타났지만 중국은 국부조명을 사용하는 경우가 14.3%에 지나지 않았다. 세면대 밝기의 평균조도를 살펴보면 중국이 123.9lx, 한국이 120.5lx로, 화장실 평균조도 100lx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두 나라 모두 밝기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실 변기 위의 평균 조도를 측정한 결과 100lx 미만이 한국은 92.9lx, 중국은 99.7lx로서 평균조도 100lx보다 한국은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국은 한국보다 거실, 침실, 부엌의 조도가 낮고, 화장실만 약간 더 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원의 사용은 한국의 경우, 화장실 제외하고는 거실, 침실, 부엌 모두 형광등의 사용이 많은 것에 비해 중국은 거실, 침실은 할로겐의 사용이 많고 부엌은 형광등, 화장실은 백열등의 사용이 많아 다양성을 보였다.
      따라서 중국 주택의 조명계획에서는 중국조도기준에 맞는 조도 확보를 우선적으로 하고, 공간별로 다양한 광원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최근에 에너지 절양형 광원으로 자리 잡고 있는 LED광원을 선택함으로써 조도확보와 에너지 절약을 동시에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비교적 균일한 조명환경인 아파트를 다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한국 양국의 조도 및 광원에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은 거대한 국토를 가진 중국내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n artificial lighting as one of important factors in home interior decoration is not only attach importance to its performance and safety but psychological effects also need being paid attention. With the development of lighting technolo...

      Abstract

      An artificial lighting as one of important factors in home interior decoration is not only attach importance to its performance and safety but psychological effects also need being paid attention. With the development of lighting technology, it’s not only a night light to provide us light, but also offer more lighting methods for high-quality home life.
      This thesis aim to make a clear idea of lighting environment actual condition and provide valuable and helpful information for South Korean companies to communicate with Chinese markets through understanding China and South Korea’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life culture and environment. On the two surveys, analysis and comparison, for China and South Korea’s lighting environment’s progress, provide a useful basis material.
      The thesis tells the following conclusions through the lighting environment investigation from 68 families living in Shenyang China and 79 families living in Daegu, Korea.
      Thus, the results in this thesis were gotten as follows:
      First, compare the results of the living room lighting, both failed to meet the needs of diverse life of the lighting standards. South Korea’s local lighting device needed to be improved. China is in urgent need of upgrading to ensure sufficient illumination for a variety of live acts.
      Second, I compare the results of bedroom lighting, bedroom area of Korea is larger than China's of 2 square meters also type and number are using more than one fluorescent lamp 1. Overall lighting and local lighting ratio, Chinese about 15% higher than South Korea which shows South Korea's bedroom lighting need to be improved.
      Third, the kitchen result, most of kitchen space overall use is fluorescent lighting, most of the local use is incandescent lighting, the Chinese respondents do not use a high proportion of local lighting. Table lighting situation for both China and South Korea are all up to 20% illumination standard values.
      In bathroom most of incandescent or fluorescent is used in South Korea or halogen lighting methods. Chinese incandescent, fluorescent and halogen lamps are not used together. For vanity, China and South Korea’s brightness of the standard values are relatively high.
      In this study we compare and research mainly in building apartments residents. We could see that the two countries are very different in using illumination and the lighting. In addition, China has a large land area which results in some regional differences. Therefore I think for improving the accuracy results of this study we should also investigate other parts of Chin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흐름도 3
      • 제 2 장 조명환경에 관한 이론적 고찰 5
      • 2-1. 중국과 한국의 주거환경 및 조명환경의 현황 5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흐름도 3
      • 제 2 장 조명환경에 관한 이론적 고찰 5
      • 2-1. 중국과 한국의 주거환경 및 조명환경의 현황 5
      • 2-1-1. 중국과 한국의 주거환경 5
      • 2-1-2. 중국과 한국의 조명환경 6
      • 2-2. 조명환경의 기초적 이론 8
      • 2-1-1. 조도 8
      • 2-1-2. 균제도 10
      • 2-1-3. 조명환경의 측정방법 11
      • 2-1-4. 광원의 종류 13
      • 2-3. 중 한 양국의 조도기준 19
      • 2-3-1. 중국의 조도기준 19
      • 2-3-2. 한국의 조도기준 21
      • 2-3-3. 중국과 한국의 조도기준 비교 25
      • 제 3 장 연구방법 27
      • 3-1. 연구의 대상 27
      • 3-2. 연구의 방법 28
      • 제 4 장 조사결과 및 분석 29
      • 4-1. 일반적 사항 30
      • 4-1-1. 조사대상의 일반적 사항 30
      • 4-1-2. 조사대상 주택 크기 31
      • 4-1-3. 주조색과 일반적 의식 32
      • 4-1-4. 조명환경에 대한 거주자의 만족도 37
      • 4-2. 거실의 조명환경 실태 39
      • 4-2-1. 거실의 광원의 종류 및 개수 39
      • 4-2-2. 거실의 조명사용 방법 42
      • 4-2-3. 거실의 평균조도 및 균제도 42
      • 4-3. 침실의 조명환경 실태 44
      • 4-3-1. 침실의 광원의 종류 및 개수 44
      • 4-3-2. 침실의 조명사용 방법 46
      • 4-3-3. 침실의 평균조도 및 균제도 47
      • 4-4. 부엌의 조명환경 실태 48
      • 4-4-1. 부엌의 광원의 종류 및 개수 48
      • 4-4-2. 부엌의 조명사용 방법 49
      • 4-4-3. 부엌의 작업면과 식탁 높이 및 조도 50
      • 4-5. 화장실의 조명환경 실태 52
      • 4-5-1. 화장실의 광원의 종류 및 개수 52
      • 4-5-2. 화장실의 조명사용 방법 53
      • 4-5-3. 화장실 세면대와 변기 높이 및 조도 53
      • 제 5 장 결론 55
      • 참고문헌 59
      • 부록 61
      • Abstract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