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지구 자전과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학습하기 위한 역할놀이 활동의 학습 효과 및 어려움 을 알아보기 위해서 역할 놀이 활동을 통한 개념 이해 정도, 면담으로 수집한 활동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구 자전과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학습하기 위한 역할놀이 활동의 학습 효과 및 어려움 을 알아보기 위해서 역할 놀이 활동을 통한 개념 이해 정도, 면담으로 수집한 활동에...
본 연구에서는 지구 자전과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학습하기 위한 역할놀이 활동의 학습 효과 및 어려움 을 알아보기 위해서 역할 놀이 활동을 통한 개념 이해 정도, 면담으로 수집한 활동에서 나타나는 어려움, 활 동 중 시선이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 교 5학년 학생 22명이며, 역할 놀이 중 실험 행동과 사 후 면담, 시선이동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역할 놀이 활동을 통해 지구의 자전과 자전방향은 설명할 수 있지만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설명하는 것은 어려워했다. 학생들은 역할 놀이 활동을 통해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지각하기 어려워하기 때문 에, 자전에 의해 나타나는 태양의 겉보기 운동 개념을 학습하기 위한 역할 놀이 활동은 학습 효과가 낮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learning effects and difficulties of role play activities to learn the earth's rotation and the sun's apparent motion, the degree of concept understanding through role play activities, difficulties arising from activitie...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learning effects and difficulties of role play activities to learn the earth's rotation and the sun's apparent motion, the degree of concept understanding through role play activities, difficulties arising from activities collected by interview, and eye movement during activities are analyzed. 22 fifth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llected and analyzed experimental behaviors, post-interviews, and eye movement data during the role play of the students.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could explain the rotation and direction of the Earth through role play activities, but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apparent motion of the sun. Since it is difficult to perceive the sun's apparent motion through role play activities, the learning effect of the earth rotation role play activity is low.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우, "흥미와 학습양식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지구의 자전 관련 개념" 한국지구과학회 25 (25): 532-544, 2004
2 한제준,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모양’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1 (11): 107-115, 2018
3 김수정, "초등학생의 공간능력 수준차이에 따른 지구자전에 관한 개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5 (5): 20-30, 2012
4 이용섭, "초등과학의‘지구와 우주’영역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지식수준과 공간지각 능력과의 관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6 (6): 252-260, 2013
5 하옥선, "지구 자전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유형에 관한 연구" 16 (16): 103-122, 1997
6 양일호,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42-355, 2006
7 Goldstein, E. B., "감각 및 지각심리학" 박학사 2016
8 Richards, T., "Using kinesthetic activities to teach Ptolemaic and Copernican retrograde motion" 21 (21): 899-910, 2012
9 Hobson, S. M., "Using a planetarium software program to promote conceptual change with young children" 19 (19): 165-176, 2010
10 Yu, K. C., "Using a digital planetarium for teaching seasons to undergraduates" 2 (2): 33-50, 2015
1 정진우, "흥미와 학습양식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지구의 자전 관련 개념" 한국지구과학회 25 (25): 532-544, 2004
2 한제준,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모양’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1 (11): 107-115, 2018
3 김수정, "초등학생의 공간능력 수준차이에 따른 지구자전에 관한 개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5 (5): 20-30, 2012
4 이용섭, "초등과학의‘지구와 우주’영역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지식수준과 공간지각 능력과의 관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6 (6): 252-260, 2013
5 하옥선, "지구 자전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유형에 관한 연구" 16 (16): 103-122, 1997
6 양일호,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42-355, 2006
7 Goldstein, E. B., "감각 및 지각심리학" 박학사 2016
8 Richards, T., "Using kinesthetic activities to teach Ptolemaic and Copernican retrograde motion" 21 (21): 899-910, 2012
9 Hobson, S. M., "Using a planetarium software program to promote conceptual change with young children" 19 (19): 165-176, 2010
10 Yu, K. C., "Using a digital planetarium for teaching seasons to undergraduates" 2 (2): 33-50, 2015
11 Reid, N., "The role of laboratory work in university chemistry" 8 (8): 172-185, 2007
12 Liversedge, S., "The oxford handbook of eye mov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3 Gibson, J. J.,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Houghton-Mifflin 2014
14 Chinnici, J. P., "Students as human chromosomes in role-playing mitosis & meiosis" 66 (66): 35-39, 2004
15 Cole, M., "Spatial thinking in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14 (14): 010139-, 2018
16 Plummer, J. D.,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 of progress in an astronomy learning progression" 50 (50): 1-45, 2014
17 Black, A. A., "Spatial ability and Earth science conceptual understanding" 53 (53): 402-414, 2005
18 McSharry, G., "Role-play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82 (82): 73-82, 2000
19 Jee, B. D., "Relational scaffolding enhances children’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models" 30 (30): 1287-1302, 2019
20 Vosniadou, S., "Mental models of the day/night cycle" 18 (18): 123-183, 1994
21 Plummer, J. D., "Learning to explain astronomy across moving frames of reference : Exploring the role of classroom and planetarium-based instructional contexts" 36 (36): 1083-1106, 2014
22 Begel, A., "Kinesthetic learning in the classroom" ACM Press 183-184, 2004
23 Morrow, C. A., "Kinesthetic astronomy : The sky time lesson" 38 (38): 252-253, 2000
24 Ross, P. M., "Increasing conceptual understanding of glycolysis & the Krebs cycle using role-play" 70 (70): 163-168, 2008
25 Rodrigues, P., "Eye Tracking Technology Applications in Educational Research" 1-26, 2017
26 Plummer, J. D., "Early elementary students’ development of astronomy concepts in the planetarium" 46 (46): 192-209, 2009
27 Padalkar, S., "Designed and spontaneous gestures in elementary astronomy education" 33 (33): 1703-1739, 2011
28 Chiras, A., "Day/night cycle : Mental models of primary school children" 19 (19): 65-83, 2008
29 Flavell, J. H., "Cognitive development" Prentice Hall 1993
30 Plummer, J. D., "Children learning to explain daily celestial motion : Understanding astronomy across moving frames of reference" 33 (33): 1963-1992, 2011
31 Valanides, N., "Changing pre-school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day/night" 8 (8): 27-39, 2000
32 Sharp, J. G., "Anecdote, opinion and whim : Lessons in curriculum development from primary science education in England and Wales" 19 (19): 293-321, 2004
33 Slater, T. F., "Addressing students’misconceptions about eclipses" 55 (55): 314-315, 2017
34 Trout, K. P., "Active-learning physics experiments using the Tarzan swing" 39 (39): 160-163, 2001
35 이경훈, "9학년 학생의 공간 능력 차이에 따른 지구자전 개념의 획득" 한국지구과학회 31 (31): 267-275, 2010
극지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극지연구소 체험형 견학 프로그램 개발
비유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중학교 ‘태양계’ 단원을 중심으로
2015 개정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의 2차 년도 적용 현황 추이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0-02-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4 | 1.04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85 | 1.567 | 0.26 |
KS2 MFL: Role-play Games
Teachers TV Teachers TVReading, Writing and Role-Play
Teachers TV Teachers TVKS3 English and Black History: Role-playing 'Roll of Thunder'
Teachers TV Teachers TVRole Play: Managing and Changing
Teachers TV Teachers TVRole Play: Setting Up and Planning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