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제고 및 저출산 대책이라는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미래의 인적자본 형성과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사회전체적인 합의가 필요하다. 참여정부의 보육정책(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73211
2006
-
보육정책 ; 새싹플랜 ; 보육재정 ; 시장실패 ; 기본보조금 ; childcare policies ; childcare system
337
KCI등재
학술저널
27-49(23쪽)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보육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제고 및 저출산 대책이라는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미래의 인적자본 형성과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사회전체적인 합의가 필요하다. 참여정부의 보육정책(새...
보육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제고 및 저출산 대책이라는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미래의 인적자본 형성과 개발이라는 관점에서 사회전체적인 합의가 필요하다. 참여정부의 보육정책(새싹플랜)에 따르면 공보육 기반조성 등 5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향후 6조 4,579억원의 재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새싹플랜의 정책목표인 보육의 공공성을 강화시키고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육재정의 확충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성장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보육재정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OECD 국가의 보육관련 보조금 운용사례를 검토한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보육재정의 운용과 관련된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ldcare should be examined in terms of promoting women’s economic activities and increasing the childbirth rate, as well as developing future human resources for society. Also, the role of public and private childcare should be re-examined to st...
Childcare should be examined in terms of promoting women’s economic activities and increasing the childbirth rate, as well as developing future human resources for society. Also, the role of public and private childcare should be re-examined to strengthen the public nature of the childcare system. According to the childcare plan of the participating government, approximately 6.5 trillion won is expected to be spent on the public childcare system from 2006 to 2010. However, financing the expenditure is a controversial issue. This study reviews the problems within the childcare policies of the participating government, and then suggest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ildcare system in Ko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자활공동체 유형별 빈곤여성의 자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자활공동체가 갖는 대안적 일자리로서의 가능성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