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과대학 진로교과목 수강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 Network for Occupations and Workers(KNOW): Focused on the Engineering Students in College Career Co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4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rovement plan of Korea Network for Occupations and Workers(KNOW) in terms of the information quality and usefulness for undergraduate students.‘Homework of occupational information exploration’as research instrument was assigned to the engineering students taking career courses at KoreaTech in Chungnam province,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two-hundred sixty six college studen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ercentage of awareness of KNOW was very low(7.5%), but the mean of preference(73.5) and usefulness of career readiness(70.6) of KNOW were likely to be high. The information quality of KNOW was analysed in terms of both menu bar and evaluative components. In menu bar, the highest mean of information quality was‘wage, job satisfaction, and job outlook’menu bar(71.7). On the other hand‘task information on the job’had the lowest mean. In evaluative component, the highest mean of information quality was understandability(73.4), whereas the completeness was at the bottom(63.7).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KNOW has the usefulness for engineering students to explore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to make ready for career. Nevertheless, it is needed to publicize KNOW and to redeem menu bar and contents for the improvement of this online syst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rovement plan of Korea Network for Occupations and Workers(KNOW) in terms of the information quality and usefulness for undergraduate students.‘Homework of occupational information exploration’as 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rovement plan of Korea Network for Occupations and Workers(KNOW) in terms of the information quality and usefulness for undergraduate students.‘Homework of occupational information exploration’as research instrument was assigned to the engineering students taking career courses at KoreaTech in Chungnam province,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two-hundred sixty six college studen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ercentage of awareness of KNOW was very low(7.5%), but the mean of preference(73.5) and usefulness of career readiness(70.6) of KNOW were likely to be high. The information quality of KNOW was analysed in terms of both menu bar and evaluative components. In menu bar, the highest mean of information quality was‘wage, job satisfaction, and job outlook’menu bar(71.7). On the other hand‘task information on the job’had the lowest mean. In evaluative component, the highest mean of information quality was understandability(73.4), whereas the completeness was at the bottom(63.7).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KNOW has the usefulness for engineering students to explore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to make ready for career. Nevertheless, it is needed to publicize KNOW and to redeem menu bar and contents for the improvement of this online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가차원에서 개발된 온라인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들의 인식과 평가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KNOW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공대 특성화 대학인 K대학교의 진로교과목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KNOW 사이트 전반에 대한 평가(인지도, 이용자반응도: 애호도, 진로준비 유용성), KNOW 메뉴별 평가(선호도, 만족도, 도움정도, 정보품질)를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수강생들에게 <정보탐색 개별과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이루어졌다. <정보탐색 개별과제>는 학생들이 실제로 관심 갖고 있는 직업정보를KNOW에서 검색해볼 수 있도록 구성한 인쇄자료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연구자료 활용에 동의한 진로교과목 수강생 266명의 과제물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NOW에 대한 인지도는 7.5%로 나타났다.
      둘째, KNOW에 대한 반응 중 애호도는 평균 73.5점으로 나타났고, 진로준비 유용성은 평균 70.6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정보 검색 메뉴 중, 사용 전 선호도가 가장높은 메뉴는 ‘나의 특성에 맞는 직업 찾기’(141명, 53.0%)였다. 넷째, 사용 후 불만족이 가장 큰 메뉴는 ‘조건별 검색’(104명, 40.6%)으로 나타났고, 가장 도움이 되는 검색 메뉴는 ‘키워드로 직종 찾기’(87명, 33.1%)로 나타났다. 다섯째, ‘키워드로 직종 찾기’ 하위메뉴에 대한 정보품질 분석결과, ‘임금/직업만족도/전망’ 메뉴가 평균 71.7 로 가장 높았고, 반면‘하는 일’메뉴는 평균 67.9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또한 평가요소별 정보품질 분석 결과, ‘이해성’이 평균 73.4로 가장 높았고, 반면‘완전성’은 평균 63.7로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볼 때, KNOW가 공대 학생의 정보탐색에 유용성이 있지만, 보다 나은 시스템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인지도 향상,‘조건별 검색’메뉴개선, ‘키워드로 직종 찾기’ 메뉴에서 ‘하는 일 ’개선 및‘완전성’ 보완에 대한 개선이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가차원에서 개발된 온라인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들의 인식과 평가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KNOW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국가차원에서 개발된 온라인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들의 인식과 평가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KNOW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공대 특성화 대학인 K대학교의 진로교과목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KNOW 사이트 전반에 대한 평가(인지도, 이용자반응도: 애호도, 진로준비 유용성), KNOW 메뉴별 평가(선호도, 만족도, 도움정도, 정보품질)를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수강생들에게 <정보탐색 개별과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이루어졌다. <정보탐색 개별과제>는 학생들이 실제로 관심 갖고 있는 직업정보를KNOW에서 검색해볼 수 있도록 구성한 인쇄자료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연구자료 활용에 동의한 진로교과목 수강생 266명의 과제물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NOW에 대한 인지도는 7.5%로 나타났다.
      둘째, KNOW에 대한 반응 중 애호도는 평균 73.5점으로 나타났고, 진로준비 유용성은 평균 70.6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정보 검색 메뉴 중, 사용 전 선호도가 가장높은 메뉴는 ‘나의 특성에 맞는 직업 찾기’(141명, 53.0%)였다. 넷째, 사용 후 불만족이 가장 큰 메뉴는 ‘조건별 검색’(104명, 40.6%)으로 나타났고, 가장 도움이 되는 검색 메뉴는 ‘키워드로 직종 찾기’(87명, 33.1%)로 나타났다. 다섯째, ‘키워드로 직종 찾기’ 하위메뉴에 대한 정보품질 분석결과, ‘임금/직업만족도/전망’ 메뉴가 평균 71.7 로 가장 높았고, 반면‘하는 일’메뉴는 평균 67.9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또한 평가요소별 정보품질 분석 결과, ‘이해성’이 평균 73.4로 가장 높았고, 반면‘완전성’은 평균 63.7로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볼 때, KNOW가 공대 학생의 정보탐색에 유용성이 있지만, 보다 나은 시스템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인지도 향상,‘조건별 검색’메뉴개선, ‘키워드로 직종 찾기’ 메뉴에서 ‘하는 일 ’개선 및‘완전성’ 보완에 대한 개선이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가열,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과거, 현재, 그리고 의도된 미래" 한국고용정보원 76-117, 2014

      2 서다혜, "취업정보센터 웹사이트 이용자의 컨텐츠 특성에 대한 지각이 이용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6 (6): 111-117, 2014

      3 조철호, "취업정보사이트의 웹서비스 품질이 가치, 고객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탐색유형의 조절효과" 한국서비스경영학회 13 (13): 1-29, 2012

      4 정경희, "취업정보 사이트의 서비스 품질현황 및 비교 연구" 8 (8): 291-297, 2007

      5 임광현, "청년층 고용동향분석 및 고용정보 제공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 분석" 경인행정학회 10 (10): 319-342, 2010

      6 Santrock, J. W., "청년심리학" 박학사 2004

      7 강혜영, "진로지도 및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노동부 직업훈련 신교수법 연구과제 개발 보고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08

      8 임경희, "진로발달이론을 적용한 진로상담 제 4판" 아카데미프레스 2008

      9 김나현, "정보품질 요인의 적합한 구조파악과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5

      10 강혜영, "이공계 대학생이 지각한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의 유용성과 한계" 한국고용정보원 20-67, 2014

      1 박가열,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과거, 현재, 그리고 의도된 미래" 한국고용정보원 76-117, 2014

      2 서다혜, "취업정보센터 웹사이트 이용자의 컨텐츠 특성에 대한 지각이 이용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6 (6): 111-117, 2014

      3 조철호, "취업정보사이트의 웹서비스 품질이 가치, 고객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탐색유형의 조절효과" 한국서비스경영학회 13 (13): 1-29, 2012

      4 정경희, "취업정보 사이트의 서비스 품질현황 및 비교 연구" 8 (8): 291-297, 2007

      5 임광현, "청년층 고용동향분석 및 고용정보 제공 웹사이트에 대한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 분석" 경인행정학회 10 (10): 319-342, 2010

      6 Santrock, J. W., "청년심리학" 박학사 2004

      7 강혜영, "진로지도 및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노동부 직업훈련 신교수법 연구과제 개발 보고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08

      8 임경희, "진로발달이론을 적용한 진로상담 제 4판" 아카데미프레스 2008

      9 김나현, "정보품질 요인의 적합한 구조파악과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5

      10 강혜영, "이공계 대학생이 지각한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의 유용성과 한계" 한국고용정보원 20-67, 2014

      11 임언,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Ⅱ"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12 이시환, "웹사이트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2): 73-118, 2001

      13 강혜영, "상담교재에 나타난 ‘정보제공’기법의 정의와 방법에 대한 고찰" 대한공업교육학회 39 (39): 144-164, 2014

      14 임언,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15 이제경, "대학생의 효율적 진로상담 체계 구축을 위한 진로문제 유형분와 개입방안"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연구센터 2012

      16 박기문, "대학생의 진로개발과 취업준비에 대한 인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4 (34): 103-127, 2009

      17 이명훈, "대학생의 진로 관련 인식, 직업기초능력, 직업가치" 대한공업교육학회 39 (39): 58-80, 2014

      18 한국고용정보원, "대학생을 위한 취업교육: 진로계획 수립과 노동시장의 이해" 한국고용정보원 2014

      19 정철영, "대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한국고용정보원 2006

      20 황매향, "대학생 대상 진로탐색 교과목 운영의 효과" 교육연구소 8 (8): 71-91, 2007

      21 허은영, "대학생 대상 진로지도 교과목 운영의 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77-94, 2009

      22 이동혁, "대학 진로관련 교과목의 효과성 검증 연구 분석" 한국상담학회 11 (11): 657-683, 2010

      23 이병일, "공공운영 취업정보사이트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2014

      24 이지연, "고등교육단계에서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 4년제 일반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25 이정우,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한 정보품질의 차원과 요소들에 관한 연구" 2003

      26 Gordon, V. N., "The undecided college student: An academic and career advising challenge" CHARLES C THOMAS·PUBLISHER, LTD 2007

      27 조규만, "K사의 고객 정보시스템의 정보품질 평가 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28 Lapan, R. T., "Career development: Across the K-16 years"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04

      29 Luzzo, D. A., "Career counseling of college studen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

      30 Super, D. E.,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 Jossey-Bass 197-261,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9-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4 1.17 1.46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