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환경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08694
2023
-
375
학술저널
137-154(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환경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환경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IBM SPSS V22.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년기 무효화환경은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정서조절곤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유년기 무효화환경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절효과는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높을수록 유년기 유효화 환경이 정서조절 곤란에 미치는 영향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청소년들의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활용방안을 논의한 후,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cognitive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neglect and emotional dysregulation in adolesc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online from adolescents atten...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cognitive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neglect and emotional dysregulation in adolesc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online from adolescent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and analyzed using IBM SPSS V22.0 and AMOS 18.0 programs.
Results The primar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hildhood emotional neglect showed a static influence on emotional dysregulation in adolescents. Secondly, social-cognitive mindfulness demonstrated a mitigating effect on emotional dysregulation. Thirdly, social-cognitive mindfulness exhibit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neglect and emotional dysregulation. This moderation effect indicates that higher levels of social-cognitive mindfulness lessen the impact of childhood emotional neglect on emotional dysregul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s results, the utilization of social-cognitive mindfulness was discussed to enhance adolescent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Additio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cessity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