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주역』 상징어의 의미변천에 대한 문화사적 연구” 프로젝트의 연속 기획의 하나로서, 조선 역학의 특징적 성격을 검토하고 특히 정약용의 역상학이 갖는 조선 역학 내적 발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67067
2022
Korean
시대정신 ; 문화적 상대성 ; 역상학 ; 역학(易學) ; 정약용 ; 역경(易經) ; 탈중국화 ; 종교학적 역학 ; 서학(西學) ; 해석 관점 ; the Spirit of the Times ; the Cultural Relativity ; the Study of the Images of Changes ; Yi-ology(易學) ; Jeong Yak-yong (丁若鏞) ; I Ching ; de-Chineseize ; Korean language ; Religious Yi-ology ; Western Learning ; interpretation perspective
240
KCI등재
학술저널
35-68(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주역』 상징어의 의미변천에 대한 문화사적 연구” 프로젝트의 연속 기획의 하나로서, 조선 역학의 특징적 성격을 검토하고 특히 정약용의 역상학이 갖는 조선 역학 내적 발전...
이 글은 “『주역』 상징어의 의미변천에 대한 문화사적 연구” 프로젝트의 연속 기획의 하나로서, 조선 역학의 특징적 성격을 검토하고 특히 정약용의 역상학이 갖는 조선 역학 내적 발전상의 시대성과 문화적 상대성을 고찰한 논문이다. 여기에 더해 조선 역학의 문화다원적 상대성에 바탕하여 조선 역학을 경학적 담론에서 벗어나 인문학적 담론으로 재해석한 논문이다.
역학 도통론의 패러다임으로 정통과 이단을 구별하는 이분적 관점에서 벗어나 문화적 다원성이라는 패러다임으로 보면 각각의 역학은 상대성을 지니며 특수한 문화적 상징성이 드러난다. 주석자의 특수한 해석 관점에 따라 역학 언어는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표현되는데, 그가 속한 특수한 역사와 문화가 배경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 역학에 대한 문화다원적 접근이 가능한 것이다.
조선 역학의 시대정신과 문화적 상대성을 주제의 한도 내에서 네 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가 한글 언해를 통한 독자적 역학을 소유하려는 노력이 끊임없이 지속되었다는 점이다. 조선 역학의 가장 큰 특징을 꼽아야 한다면 한글의 창제와 함께 독해방식에 있어 탈중국화할 수 있었다는 점일 것이다. 한편 조선의 역학을 특징짓는 몇 가지 지표들이 있는데, 권근의 역학이 주자학의 수용과 보급을 목표로 하여 주희의 본의를 발양한 것, 이황의 역학이 지닌 동아시아문명론과 선조 시기 이황의 후학들과 이이에 의해 완성된 역경 언해 사업의 동아시아 문명사적 위상, 그리고 정약용의 종교학적 역학 관점의 세계사적 위상 등이 그것이다.
둘째가 조선 중기 이후 특히 이황의 역학 저술 이후 주희의 권위가 다시 제고되었고, 조선 역학의 특징적 요소인 도서학(圖書學)적 성격이 두드러졌다는 점이다. 이황의 의리와 상수의 결합적 공부론은 이후 조선 역학의 기본적 사조로 자리를 잡았다. 조선의 도서학적 경향은 17세기 즈음 서양학문이 도입되었을 때 서학의 천문학과 물리학적 지식들을 도서학으로 재해석하려는 무리한 시도로 이어졌다. 조선 후기의 도서학적 경향의 역학이 조선만의 특징은 아닐 수 있어도, 이 또한 조선이라고 하는 특수한 시공간의 환경이 요구한 것이다.
셋째가 새로운 상수학의 경향이다. 이익과 신후담과 정약용의 효변설은 조선 중기 이래로 서학(西學)과 서교(西敎)가 소개되면서 형성된 박물학적 계몽주의와 연결된다. 이익의 자질구레한 메모들이 조선 후기 거대한 실학적 흐름의 선구가 되는 기폭제가 되었다. 당시 조선은 서구문명을 봉쇄한 상태에서 서학에 자극받아 실학적 태도가 자체적으로 형성되고 있었다는 점이 조선의 후기 역학을 바라보는 상대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가 정약용을 정점으로 하는 종교학적 역학의 태동이다. 정약용은 종교학적 해석 관점으로 주역을 이해했다. 그는 자연계와 인간계를 천상계와 구분되는 것으로 보고, 신 대 자연과 인간이라는 신학적 프레임을 사용했다. 정약용의 이러한 역학 관점은 윤정기(尹廷琦)에게 그대로 전수되었고, 조선 역학사의 매우 흥미로운 부분이다. 정약용의 보유론(補儒論)적 역학 관점은 천주교의 신앙대상과는 다른 원시유교의 신앙대상을 언급한다는 점과, 이러한 관점이 조선에서 자체적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이 조선 역학사의 특징적 현상이라고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