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Ⅰ. 시작하며
- Ⅱ. 연극적 완성도 측면에서 바라본 교실연극
- 1. 교실연극 준비의 단기성
- 2. 교실연극 배우의 비전문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90256
김선애 (한국예술종합학교)
2022
Korean
교실연극 ; 배우 ; 관객 ; 연기 ; 무대 ; 탈경계화 ; Classroom-Theatre ; Actors ; Spectators ; Acting ; Stage ; Borderless
370
KCI등재
학술저널
1-19(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초등 3학년 뮤지컬 교육 내용 고찰 - 서울S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리더스 씨어터(Readers Theater)를 활용한 내용통합 초등영어 수업모형에 관한 연구
자체 제작 챗봇을 활용한 초등영어 역할극 지도방안 - 고학년 수업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