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DHD 아동·청소년의 진단평가 절차에 대한 고찰 = A Review of Diagnosis and Evaluation Procedure for the Child & Adolescent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3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and parents understand the medical diagnostic evaluation procedure of ADHD and contribute to more accurate ADHD diagnostic evaluation. To this end, we reviewed the diagnostic guidelines, including the medical diagnosis process and principles, screening and evaluation, and diagnosis decisions for ADH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 focus on diagnostic guidelines from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According to the results, we suggest the following. First, in order to make accurate and stable diagnosis, it is necessary to be adhered the diagnostic principles and systematically diagnose it through a diagnostic algorithm. Second, for screening and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collect effective information through appropriate procedures and tools from parents, teachers, important community informants, and children themselves. In addition to diagnosis, treatment and intervention require close efforts to form clos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families, and teachers. Third, the diagnosis of ADHD should be determined by checking whether the DSM-5 diagnostic criteria are met, considering age and gender, identifying comorbid conditions, and excluding other diseases. Parents' expectations, beliefs and perceptions of mental disease should also be considered when deciding on diagnosi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factors that have not yet been identified can shape the child’s current problems. Finally, for a more accurate diagnos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guidelines for ADHD diagnosis at the level of related societies or associations, and to continuously educate them to clinicians. Also transdisciplinary research efforts in related fields are needed to understand and apply the diagnostic criteria for childhood mental disorders including ADHD and DSM-5 in accordance with our culture, society, and health care syst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and parents understand the medical diagnostic evaluation procedure of ADHD and contribute to more accurate ADHD diagnostic evaluation. To this end, we reviewed the diagnostic guidelines, including the med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and parents understand the medical diagnostic evaluation procedure of ADHD and contribute to more accurate ADHD diagnostic evaluation. To this end, we reviewed the diagnostic guidelines, including the medical diagnosis process and principles, screening and evaluation, and diagnosis decisions for ADH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 focus on diagnostic guidelines from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According to the results, we suggest the following. First, in order to make accurate and stable diagnosis, it is necessary to be adhered the diagnostic principles and systematically diagnose it through a diagnostic algorithm. Second, for screening and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collect effective information through appropriate procedures and tools from parents, teachers, important community informants, and children themselves. In addition to diagnosis, treatment and intervention require close efforts to form clos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families, and teachers. Third, the diagnosis of ADHD should be determined by checking whether the DSM-5 diagnostic criteria are met, considering age and gender, identifying comorbid conditions, and excluding other diseases. Parents' expectations, beliefs and perceptions of mental disease should also be considered when deciding on diagnosi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factors that have not yet been identified can shape the child’s current problems. Finally, for a more accurate diagnos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guidelines for ADHD diagnosis at the level of related societies or associations, and to continuously educate them to clinicians. Also transdisciplinary research efforts in related fields are needed to understand and apply the diagnostic criteria for childhood mental disorders including ADHD and DSM-5 in accordance with our culture, society, and health care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의료적 진단평가 절차에 대한 교사와 부모들의 이해를 돕고 ADHD 진단평가에 기여할 수 있도록, 미국소아과학회(AAP)의 진단지침을 중심으로 아동·청소년의 ADHD 진단 과정과 원칙, 선별과 평가, 진단 결정을 포함한 진단평가 절차를 고찰하였고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정확하고 안정적인 진단을 위해서 진단 원칙을 준수하고 진단 알고리듬을 통해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 선별과 평가를 위해 부모를 포함한 가족과 교사와 지역사회 주요 관련인 그리고 아동 본인으로부터 타당한 절차와 도구를 통해 효과적인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 및 중재를 위해서 아동과 부모, 교사 및 학교와 긴밀한 관계형성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ADHD 진단은 DSM-5 진단기준의 부합 여부 확인, 연령과 성별에 대한 고려, 동반질환 파악과 다른 질환의 배제 과정을 거쳐 결정해야 한다. 또한 진단을 결정할 때 부모의 기대와 신념,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도 고려해야 하며, 미처 파악하지 못한 요인들이 아동의 현재 문제를 형성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관련 학회나 협회 차원에서 ADHD 진단지침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의들에게 지속적으로 교육해야 하며, ADHD를 포함한 아동기 정신질환과 DSM-5의 진단기준을 우리 문화와 사회, 보건의료체계에 맞게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한 관련 분야의 초학문적 연구 노력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의료적 진단평가 절차에 대한 교사와 부모들의 이해를 돕고 ADHD 진단평가에 기여할 수 있도록, 미국소아과학회(AAP)의 진단지침을 중심으로 ...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의료적 진단평가 절차에 대한 교사와 부모들의 이해를 돕고 ADHD 진단평가에 기여할 수 있도록, 미국소아과학회(AAP)의 진단지침을 중심으로 아동·청소년의 ADHD 진단 과정과 원칙, 선별과 평가, 진단 결정을 포함한 진단평가 절차를 고찰하였고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정확하고 안정적인 진단을 위해서 진단 원칙을 준수하고 진단 알고리듬을 통해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 선별과 평가를 위해 부모를 포함한 가족과 교사와 지역사회 주요 관련인 그리고 아동 본인으로부터 타당한 절차와 도구를 통해 효과적인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 및 중재를 위해서 아동과 부모, 교사 및 학교와 긴밀한 관계형성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ADHD 진단은 DSM-5 진단기준의 부합 여부 확인, 연령과 성별에 대한 고려, 동반질환 파악과 다른 질환의 배제 과정을 거쳐 결정해야 한다. 또한 진단을 결정할 때 부모의 기대와 신념,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도 고려해야 하며, 미처 파악하지 못한 요인들이 아동의 현재 문제를 형성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관련 학회나 협회 차원에서 ADHD 진단지침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의들에게 지속적으로 교육해야 하며, ADHD를 포함한 아동기 정신질환과 DSM-5의 진단기준을 우리 문화와 사회, 보건의료체계에 맞게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한 관련 분야의 초학문적 연구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2 신민섭, "한결 쉬워진 정신장애 진단 제 2판" 시그마프레스 2015

      3 양모현, "학생, 부모, 교사가 보고한 초기 청소년 ADHD 증상의 요인 구조 모형에 관한 탐색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20 (20): 1473-1490, 2018

      4 이상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의료적 진단에 대한 고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1-24, 2018

      5 이문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 개정안(II) - 진단 및 평가 -"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8 (28): 58-69, 2017

      6 김은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 개정안(I) - 서론, 임상양상 및 공존질환 -"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8 (28): 46-57, 2017

      7 이수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 및 치료: ADHD 중개연구센터 가이드라인"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7 (27): 236-266, 2016

      8 조영경, "아동의 ADHD 증상과 굼뜬 인지적 속도(SCT)가 내재화 외현화 문제 및 학업적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5 (35): 311-336, 2019

      9 김희진, "신경인지기능 손상 유무에 따른 아동기 ADHD의 증상 특성"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5 (35): 387-412, 2019

      10 박수빈, "구조적 면담으로 ADHD로 진단받은 아동의 주산기 요인 및 발달력상 위험인자"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3 (23): 181-187, 2012

      1 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2 신민섭, "한결 쉬워진 정신장애 진단 제 2판" 시그마프레스 2015

      3 양모현, "학생, 부모, 교사가 보고한 초기 청소년 ADHD 증상의 요인 구조 모형에 관한 탐색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20 (20): 1473-1490, 2018

      4 이상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의료적 진단에 대한 고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1-24, 2018

      5 이문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 개정안(II) - 진단 및 평가 -"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8 (28): 58-69, 2017

      6 김은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한국형 치료 권고안 개정안(I) - 서론, 임상양상 및 공존질환 -"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8 (28): 46-57, 2017

      7 이수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 및 치료: ADHD 중개연구센터 가이드라인"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7 (27): 236-266, 2016

      8 조영경, "아동의 ADHD 증상과 굼뜬 인지적 속도(SCT)가 내재화 외현화 문제 및 학업적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5 (35): 311-336, 2019

      9 김희진, "신경인지기능 손상 유무에 따른 아동기 ADHD의 증상 특성"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5 (35): 387-412, 2019

      10 박수빈, "구조적 면담으로 ADHD로 진단받은 아동의 주산기 요인 및 발달력상 위험인자" 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3 (23): 181-187, 2012

      11 국민건강보험공단,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전체 환자 중 80%가남성, 10명 중 6명이 10대에서 나타나"

      12 Rigoni, M., "Symptom level associations betwee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school performance" 59 (59): 874-884, 2020

      13 Danielson, M. L., "Prevalence of parent-reported ADHD diagnosis and associated treatment among U.S. children and adolescents, 2016" 47 (47): 199-212, 2018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2

      15 Jae Hyun Yoo, "Exploring characteristic feature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findings from multi-modal MRI and candidate genetic data"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4 (14): 2132-2147, 2020

      16 Nichols, J. Q., "Explor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of ADHD in adolescence through self, parent, and teacher reports of symptomatology" 45 (45): 625-641, 2017

      17 Barnes, G. L., "Evaluation of a diagnostic ADHD pathway in a community child mental health service in South London" 25 (25): 1-19, 2020

      1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19 Wolraich, M. 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diagnosis,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44 (144): e20192528-, 2019

      20 Efron, D., "Children referred for evaluation for ADHD: Comorbidity profiles and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a positive diagnosis" 42 (42): 718-724, 2016

      2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Data and statistics about ADHD"

      22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iagnosis and management, NICE clinical guideline"

      23 Rosales, A. G., "Are all the 18 DSM-IV and DSM-5 criteria equally useful for diagnosing ADHD and predicting comorbid conduct problems?" 24 : 1325-1337, 2015

      24 양수진, "ADHD의 통합적 이해" 학지사 105-117, 2015

      25 이문수, "ADHD의 임상 양상 및 평가" 7-14, 2017

      26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DHD에 대한 가장 완전한 지침서" 범문에듀케이션 2016

      27 최수빈, "ADHD아동의 화용능력: 사회적 갈등상황 해결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5 (35): 95-106, 2019

      28 안동현, "ADHD: 공부에서 로봇까지" 87-96, 2019

      29 대한소아신경학회, "ADHD 진료지침서"

      30 이상훈, "ADHD 진단에 대한 특수교육학적 고찰: DSM-5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283-311, 2017

      31 한유리, "ADHD 아동과 뚜렛장애 아동의 인지적 특성, 실행기능 및 행동문제 비교"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5 (35): 121-138, 2019

      32 Mark L. Wolraich, "ADHD Diagnosis and Treatment Guidelines: A Historical Perspectiv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144 (144): e20191682-,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