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Non-face-to-face Video Group Couns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75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조절 변인 특성과 효과를 확인하고자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방법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과 관련된 연구 중 2020년 1월부터 2023년 8월까지 발간된 논문을 수집하였다. 논문검색에 활용된 학술검색데이터베이스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원(KISS), 학술데이터베이스서비스(DBpia)를 활용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활용한 검색어는 비대면, 화상, 집단, 프로그램, 상담, 효과를 조합하여 활용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근거로 최종 31편의 논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결과 증상수준 별 구분을 살펴보면 상당 수의 연구가 일반군(87.1%)에 집중되어 있었다. 발달단계에 따른 구분은 (성인61.3%)과 대학생 이상(29.0%)이 많았다. 이론적 접근은 마음챙김명상(35.7%), 인지정서행동(17.9%), 통합적접근(14.3%)이 많았으며, 개입영역은 정서(24.7%), 스트레스(16.4%), 자아개념(15.1%)이 많았다. 개입효과와 관련하여 정서, 스트레스, 대인관계, 인지 영역에 대한 개선이 확인되었다. 자아개념, 주관적 안녕감은 상반된 보고가 혼재되어 있었다.
      결론 증상 관점에서는 사회불안을 포함한 임상군, 발달단계 측면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과 노인군을 포함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자아개념, 주관적 안녕감 영역에 있어서 서로 상반된 보고가 혼재되어 있으므로 메타연구를 포함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의 연구동향과 개입영역 별 효과를 파악하고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조절 변인 특성과 효과를 확인하고자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방법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과 ...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조절 변인 특성과 효과를 확인하고자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방법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과 관련된 연구 중 2020년 1월부터 2023년 8월까지 발간된 논문을 수집하였다. 논문검색에 활용된 학술검색데이터베이스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원(KISS), 학술데이터베이스서비스(DBpia)를 활용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활용한 검색어는 비대면, 화상, 집단, 프로그램, 상담, 효과를 조합하여 활용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근거로 최종 31편의 논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결과 증상수준 별 구분을 살펴보면 상당 수의 연구가 일반군(87.1%)에 집중되어 있었다. 발달단계에 따른 구분은 (성인61.3%)과 대학생 이상(29.0%)이 많았다. 이론적 접근은 마음챙김명상(35.7%), 인지정서행동(17.9%), 통합적접근(14.3%)이 많았으며, 개입영역은 정서(24.7%), 스트레스(16.4%), 자아개념(15.1%)이 많았다. 개입효과와 관련하여 정서, 스트레스, 대인관계, 인지 영역에 대한 개선이 확인되었다. 자아개념, 주관적 안녕감은 상반된 보고가 혼재되어 있었다.
      결론 증상 관점에서는 사회불안을 포함한 임상군, 발달단계 측면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과 노인군을 포함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자아개념, 주관적 안녕감 영역에 있어서 서로 상반된 보고가 혼재되어 있으므로 메타연구를 포함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화상 집단상담의 연구동향과 개입영역 별 효과를 파악하고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modulating variables by examining research on non-face-to-face video group counseling.
      Methods Among the studies related to non-face-to-face video group counseling,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2020 to August 2023 were collected. The academic search database used for thesis search was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the Korean Academy of Information (KISS), and the Academic Database Service (DBpia). The search terms used for the research were used by combining non-face-to-face, video, group, program, counseling, and effect.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the final 31 paper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Looking at the classification by symptom level, a significant number of studies were concentrated in the general group (87.1%). In terms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stage of development, adults (61.3%) and college students or higher (29.0%). The theoretical approach was mindfulness meditation (35.7%), cognitive emotional behavior (17.9%), and integrated approach (14.3%), and the intervention areas were emotions (24.7%), stress (16.4%), and self-concept (15.1%). Regarding the intervention effect, improvements in emotions,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gnitive domains were confirmed. The self-concept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mixed with conflicting reports.
      Conclusions In terms of symptom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including the clinical group including social anxiety, and in terms of developmental stage, inclu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elderly. Since con-flicting reports are mixed in the areas of self-concept and subjective well-being,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including meta-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understands the re-search trends of non-face-to-face video group counseling and the effects of each intervention area,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modulating variables by examining research on non-face-to-face video group counseling. Methods Among the studi...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modulating variables by examining research on non-face-to-face video group counseling.
      Methods Among the studies related to non-face-to-face video group counseling,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2020 to August 2023 were collected. The academic search database used for thesis search was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the Korean Academy of Information (KISS), and the Academic Database Service (DBpia). The search terms used for the research were used by combining non-face-to-face, video, group, program, counseling, and effect.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the final 31 paper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Looking at the classification by symptom level, a significant number of studies were concentrated in the general group (87.1%). In terms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stage of development, adults (61.3%) and college students or higher (29.0%). The theoretical approach was mindfulness meditation (35.7%), cognitive emotional behavior (17.9%), and integrated approach (14.3%), and the intervention areas were emotions (24.7%), stress (16.4%), and self-concept (15.1%). Regarding the intervention effect, improvements in emotions,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gnitive domains were confirmed. The self-concept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mixed with conflicting reports.
      Conclusions In terms of symptoms,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including the clinical group including social anxiety, and in terms of developmental stage, inclu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elderly. Since con-flicting reports are mixed in the areas of self-concept and subjective well-being,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including meta-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understands the re-search trends of non-face-to-face video group counseling and the effects of each intervention area,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