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교사와 초・중등 교사의 융합역량과 식생활영역 활용 융합교수 효능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158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을 맞아 창의성 개발을 위한 융합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와 초・중등 교사의 융합역량 및 식생활영역을 활용한 융합교수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201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서울경기, 충청, 전라, 강원, 경상 지역의 교육대학,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와 초・중・고등학교 교사 812명을 대상으로 5-Likert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24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Varimax회전법에 의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Cronbach’s α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융합역량 및 식생활영역 활용 융합교수 효능감의 일반사항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와 Ryan-Einot-Gabriel-Welsch F를 이용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인분석 결과 융합역량은 태도, 지식과 이해의 2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식생활영역 활용 융합교수 효능감은 활용의 적극성, 자신감, 긍정적 기대, 부정적 정서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융합역량의 태도 요인 평균은 3.74±0.58점, 지식과 이해 요인 3.40±0.68점이었고, 전체평균은 3.62±0.57점이었다. 식생활영역 활용 융합교수 효능감의 활용가능성 요인은 3.37±0.71점, 자신감 요인 3.10±0.68점, 긍정적 기대감 요인 3.27±0.62점, 부정적 정서(역) 요인 2.55±0.71점으로 전체평균은 3.12±0.53점이었다. 융합역량의 전체평균은 (예비)교사의 전공, 연령, 건강상태, 식사준비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식생활영역 활용 융합교수 효능감은 성별, 전공, 연령, 건강상태, 식사준비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식사준비 참여횟수는 모든 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므로 예비교사와 교사를 대상으로 식사준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융합역량을 강화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식생활교육이 적극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 식생활영역을 활용한 융합교육을 위한 자료가 여러 전공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4차 산업혁명을 맞아 창의성 개발을 위한 융합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와 초・중등 교사의 융합역량 및 식생활영역을 활용한 융합교수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

      4차 산업혁명을 맞아 창의성 개발을 위한 융합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와 초・중등 교사의 융합역량 및 식생활영역을 활용한 융합교수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201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서울경기, 충청, 전라, 강원, 경상 지역의 교육대학,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와 초・중・고등학교 교사 812명을 대상으로 5-Likert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24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Varimax회전법에 의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Cronbach’s α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융합역량 및 식생활영역 활용 융합교수 효능감의 일반사항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와 Ryan-Einot-Gabriel-Welsch F를 이용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인분석 결과 융합역량은 태도, 지식과 이해의 2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식생활영역 활용 융합교수 효능감은 활용의 적극성, 자신감, 긍정적 기대, 부정적 정서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융합역량의 태도 요인 평균은 3.74±0.58점, 지식과 이해 요인 3.40±0.68점이었고, 전체평균은 3.62±0.57점이었다. 식생활영역 활용 융합교수 효능감의 활용가능성 요인은 3.37±0.71점, 자신감 요인 3.10±0.68점, 긍정적 기대감 요인 3.27±0.62점, 부정적 정서(역) 요인 2.55±0.71점으로 전체평균은 3.12±0.53점이었다. 융합역량의 전체평균은 (예비)교사의 전공, 연령, 건강상태, 식사준비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식생활영역 활용 융합교수 효능감은 성별, 전공, 연령, 건강상태, 식사준비 참여횟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식사준비 참여횟수는 모든 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므로 예비교사와 교사를 대상으로 식사준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융합역량을 강화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식생활교육이 적극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 식생활영역을 활용한 융합교육을 위한 자료가 여러 전공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vergence education for creativity development is emphasiz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usion competency and the utilizing of dietary area convergence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teachers. A questionnaire that used the 5-point Likert scale was conducted to 812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7. Data was analyzed using χ2-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REGWF using SPSS Statistics 24 (IBM, U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fusion competency was classified into attitude, and knowledge and comprehension. The utilizing of dietary area convergence teaching efficacy was sub-grouped into availability, confidence, positive expectation, and negative emotion. The mean of attitude factors of fusion competency was 3.74±0.58, knowledge factor was 3.40±0.68, and overall average was 3.62±0.57. The mean of the utilizing of dietary area convergence teaching efficacy was 3.37±0.71, 3.10±0.68, 3.27±0.62, and 2.55±0.71, respectively. The overall mean was 3.12±0.53. The overall average of fusion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ajors, age, health status, and food preparation frequency (p<0.05). The overall average of utilizing of dietary area convergence teaching efficacy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major, occupation, age, health status, and food preparation frequency (p<0.01). The health status and the number of food preparation particip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usion competency and the utilizing of dietary area convergence teaching efficacy. Therefore,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preparing meals so that they can strengthen their dietary management capacity. In addition, it was required to produce convergence education materials that can enhance the efficacy of convergence education using the dietary area.
      번역하기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vergence education for creativity development is emphasiz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usion competency and the utilizing of dietary area convergence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and junior...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vergence education for creativity development is emphasiz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usion competency and the utilizing of dietary area convergence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teachers. A questionnaire that used the 5-point Likert scale was conducted to 812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7. Data was analyzed using χ2-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REGWF using SPSS Statistics 24 (IBM, U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fusion competency was classified into attitude, and knowledge and comprehension. The utilizing of dietary area convergence teaching efficacy was sub-grouped into availability, confidence, positive expectation, and negative emotion. The mean of attitude factors of fusion competency was 3.74±0.58, knowledge factor was 3.40±0.68, and overall average was 3.62±0.57. The mean of the utilizing of dietary area convergence teaching efficacy was 3.37±0.71, 3.10±0.68, 3.27±0.62, and 2.55±0.71, respectively. The overall mean was 3.12±0.53. The overall average of fusion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ajors, age, health status, and food preparation frequency (p<0.05). The overall average of utilizing of dietary area convergence teaching efficacy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major, occupation, age, health status, and food preparation frequency (p<0.01). The health status and the number of food preparation particip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usion competency and the utilizing of dietary area convergence teaching efficacy. Therefore,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preparing meals so that they can strengthen their dietary management capacity. In addition, it was required to produce convergence education materials that can enhance the efficacy of convergence education using the dietary a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관련 문헌 고찰
      • 1. 융합역량
      • 2. 교수 효능감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관련 문헌 고찰
      • 1. 융합역량
      • 2. 교수 효능감
      • Ⅲ. 연구 방법
      • 1. 조사대상 및 시기
      • 2. 설문도구
      • 3. 통계방법
      • Ⅳ. 결과 및 고찰
      • 1. 일반사항
      • 2. 예비교사와 교사의 융합역량 및 UDA 융합교수 효능감 요인분석
      • 3. 일반사항에 따른 융합능력과 UDA 융합교수 효능감 차이
      • 4. 융합역량과 UDA 융합교수 효능감 요인 간의 상관관계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연지, "현대음악에 대한 중등과정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효능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5

      2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 김윤화, "청소년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불량식품관리 특성"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1 (21): 509-519, 2016

      4 김왕동,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한국영재교육학회 11 (11): 97-119, 2012

      5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6 김유정,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교사 효능감 유형과 관련 변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7 김영숙, "중등 생명공학기술 관련 교육과정 국제 비교" 한국기술교육학회 16 (16): 23-55, 2016

      8 이정모,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본 학문의 융합" 84 : 56-67, 2008

      9 최미영, "음악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음악교수 실제에 대한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2 (42): 209-233, 2013

      10 김종덕, "음식문맹자, 음식시민을 만나다" 도서출판 따비 2012

      1 정연지, "현대음악에 대한 중등과정 예비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효능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5

      2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 김윤화, "청소년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불량식품관리 특성"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1 (21): 509-519, 2016

      4 김왕동,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한국영재교육학회 11 (11): 97-119, 2012

      5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6 김유정,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교사 효능감 유형과 관련 변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7 김영숙, "중등 생명공학기술 관련 교육과정 국제 비교" 한국기술교육학회 16 (16): 23-55, 2016

      8 이정모,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본 학문의 융합" 84 : 56-67, 2008

      9 최미영, "음악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음악교수 실제에 대한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2 (42): 209-233, 2013

      10 김종덕, "음식문맹자, 음식시민을 만나다" 도서출판 따비 2012

      11 신동희, "융합형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과교육연구소 16 (16): 371-398, 2012

      12 오헌석, "융합인재역량 분석-K대학교 공과대학 신기술융합학과 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4 (14): 201-228, 2013

      13 최현철, "융합의 개념적 분석" 한국문화융합학회 37 (37): 11-30, 2015

      14 이미순, "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성공지능 교수효능감과 집단적 교수효능감의 분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2 (62): 93-116, 2014

      15 서영식, "융복합 교육을 위한 철학적 고찰" 새한철학회 67 (67): 145-163, 2012

      16 곽금순, "올바른 식생활을 위한 사회적 경제 분야의 활동" 2015 (2015): 17-32, 2015

      17 김효남,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의 상관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0 (40): 29-50, 2009

      18 최지연, "예비교사교육에서 융합교육의 가치와 한계" 1 : 39-52, 2015

      19 김은정, "예비 가정과 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과 교수 효능감 관련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9 (29): 57-70, 2017

      20 라영순, "식생활의 역사 : 인간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방식" 한국사학사학회 (32) : 455-492, 2015

      21 강문봉,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8 (18): 519-537, 2014

      22 이미순, "소속 학교급과 영재교육 경험에 따른 집단적 교수효능감 및 융합교육 장애요인에 대한 교사인식" 한국영재학회 25 (25): 1-19, 2015

      23 이정란, "미술교육개선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미술적 배경, 미술교수효능감, 미술교육인식의 관계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397-406, 2013

      24 이세나, "동작교육 관련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불안과 동작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65-81, 2015

      25 성은모, "대학교육에서 산업형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 탐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5 (25): 543-580, 2013

      26 손욱, "기업에 필요한 이공계 인재"

      27 함승연, "기술·가정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수전략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61-83, 2012

      28 이한규, "기술 교사들의 기술 교수 효능감과 기술 교수 내용 지식 관계" 한국기술교육학회 9 (9): 1-22, 2009

      29 현은자, "국내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음식과 식생활의 내용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1-23, 2014

      30 최애진, "국내 식생활 안전정보 전달 체계 분석 및 대상별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1

      31 교육부, "교육통계분석자료집-유초중등교육통계편"

      32 강은희, "건강과 식생활-심혈관질환과 영양" 5 (5): 48-53, 2012

      33 김은실, "가정교과의 녹색식생활 교육과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과의 관계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7 (27): 63-77, 2015

      34 이재숙, "가정과 교사의 교사효능감 관련 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21-34, 2009

      35 정동욱, "가상현실공간에서의 수업실습이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36 안철수, "T자형 인재 뛰어넘는 A자형 인재 되라"

      37 Riggs, I. M.,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74 (74): 625-637, 1990

      38 Edward Nissan, "Technological Change and Contribution to Growth and Convergence" 경제연구소 31 (31): 113-134, 2006

      39 Dembo M. H.,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86 (86): 173-184, 1985

      40 Hoy, W. W.,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93 (93): 355-372, 1993

      41 Emmer, E. T., "Teacher 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and discipline" 51 : 755-765, 1991

      42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17 (17): 783-805, 2001

      43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44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and Company 1997

      45 Sivri H., "Pre-service teachers’ classroom management self-efficacy beliefs" 7 (7): 37-50, 2015

      46 Ashton, P. T., "Making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1986

      47 Enochs, G. L., "Establishing factorial validit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100 (100): 194-201,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3 1.387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