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영화 만들기가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158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영화 만들기가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양적 분석 결과에 의하면, 초등 예비교사의 영화 만들기는 교직소양 역량, 상담학급 운영 역량, 학교업무 행정 역량, 교육과정 수업전문성 역량 등의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영화 만들기는 창의력, 협력관계형성, 책임감, 친밀감, 도전정신 등 초등교사의 핵심역량을 크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분석 결과에서도 초등 예비교사들 대부분은 영화 만들기가 초등교사의 핵심 역량을 증진시킬 것이라고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진술하였다. 영화 만들기는 영상시대를 살아가는 요즘 학생들의 기호에 적합하고, 미래인재에게 요구되는 디자인, 스토리, 조화, 공감, 유희, 의미 등의 조건에도 부합되며,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추후 초등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영화 만들기 강좌를 개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영화 만들기 강좌에는 시나리오 작성, 촬영, 편집 등의 테크놀로지 영역도 포함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영화 만들기가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양적 분석 결과에 의하면,...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영화 만들기가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양적 분석 결과에 의하면, 초등 예비교사의 영화 만들기는 교직소양 역량, 상담학급 운영 역량, 학교업무 행정 역량, 교육과정 수업전문성 역량 등의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영화 만들기는 창의력, 협력관계형성, 책임감, 친밀감, 도전정신 등 초등교사의 핵심역량을 크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분석 결과에서도 초등 예비교사들 대부분은 영화 만들기가 초등교사의 핵심 역량을 증진시킬 것이라고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진술하였다. 영화 만들기는 영상시대를 살아가는 요즘 학생들의 기호에 적합하고, 미래인재에게 요구되는 디자인, 스토리, 조화, 공감, 유희, 의미 등의 조건에도 부합되며,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도 효과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추후 초등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영화 만들기 강좌를 개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영화 만들기 강좌에는 시나리오 작성, 촬영, 편집 등의 테크놀로지 영역도 포함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lm making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n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ilm mak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as helpful in promoting teaching literacy competency, counseling class competency, school administration competency, and curriculum competency. In particular, film making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teachers, such as creativity, cooperative relationships, sense of responsibility, intimacy, and challenging spirit. In qualitative analysis, mos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ympathize that film making will enhance the curriculum competency, counseling class competency, school administration competency, and teaching literacy competency. Film making fits the needs of students in today's video era, and is compatible with the design, story, harmony, empathy, amusement, and meaning required by future talents, and is also effective in enhancing the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teachers 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on movie making course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he movie making lecture should include the technology areas such as scenario writing, shooting and editing.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by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lm making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n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

      This study was conducted by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lm making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n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ilm mak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as helpful in promoting teaching literacy competency, counseling class competency, school administration competency, and curriculum competency. In particular, film making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teachers, such as creativity, cooperative relationships, sense of responsibility, intimacy, and challenging spirit. In qualitative analysis, mos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ympathize that film making will enhance the curriculum competency, counseling class competency, school administration competency, and teaching literacy competency. Film making fits the needs of students in today's video era, and is compatible with the design, story, harmony, empathy, amusement, and meaning required by future talents, and is also effective in enhancing the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teachers 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on movie making course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he movie making lecture should include the technology areas such as scenario writing, shooting and edit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Ⅱ. 연구의 방법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Ⅱ. 연구의 방법
      • 1. 양적 분석
      • 2. 질적 분석
      • Ⅲ. 영화 만들기 교육의 효과와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간 관계
      • 1. 영화 만들기 교육의 효과
      • 2. 영화 만들기 교육의 효과와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간 관계
      • Ⅳ. 연구의 결과
      • 1. 초등 예비교사의 영화 만들기가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 양적 분석
      • 2. 초등 예비교사의 영화 만들기가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 질적 분석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찬복, "초, 중, 고 과정의 영화 제작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미국 노동부 필수능력 취득위원회가 제시한 워크플레이스 노우하우를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27) : 223-245, 2005

      2 이재연, "청소년영화캠프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고찰 : 2011 Family Poom Movie Camp '품안의 영화 만들기'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Hargreaves, A., "지식사회와 학교교육–불안정한 시대의 교육" 학지사 2011

      4 Bamford, A.,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 세계 예술교육 현장 리포트" 한길아트 2007

      5 노경주, "예비교사의 개인적 실제적 이론에 관한 사례 연구: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한 자기 이해와 반성의 제고"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417-443, 2012

      6 진동섭,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스마트폰 영화 제작 활용 교수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학회 51 (51): 107-135, 2013

      7 김혜영, "예비교사 교육실습 강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활용 방안: SMART Teacher Lab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197-220, 2013

      8 이상미, "영화치료를 통한 고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성 고정관념의 효과분석"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강태규, "영화제작활동이 고등학생의 사회성 및 의사소통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0 유나영, "영화제작교육을 활용한 배려적 사고력 신장 프로그램 연구"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 이찬복, "초, 중, 고 과정의 영화 제작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미국 노동부 필수능력 취득위원회가 제시한 워크플레이스 노우하우를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27) : 223-245, 2005

      2 이재연, "청소년영화캠프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고찰 : 2011 Family Poom Movie Camp '품안의 영화 만들기'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Hargreaves, A., "지식사회와 학교교육–불안정한 시대의 교육" 학지사 2011

      4 Bamford, A.,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 세계 예술교육 현장 리포트" 한길아트 2007

      5 노경주, "예비교사의 개인적 실제적 이론에 관한 사례 연구: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한 자기 이해와 반성의 제고"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417-443, 2012

      6 진동섭,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스마트폰 영화 제작 활용 교수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학회 51 (51): 107-135, 2013

      7 김혜영, "예비교사 교육실습 강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활용 방안: SMART Teacher Lab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197-220, 2013

      8 이상미, "영화치료를 통한 고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성 고정관념의 효과분석"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강태규, "영화제작활동이 고등학생의 사회성 및 의사소통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0 유나영, "영화제작교육을 활용한 배려적 사고력 신장 프로그램 연구"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1 황보성진, "영화교육 패러다임 연구 :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12 서인숙, "영화교육 및 교직과정 연구" 한국영화학회 (24) : 279-298, 2004

      13 김일영, "영상의 재활 기능 연구-영화 제작 실제를 중심으로" 한국드라마학회 (33) : 65-88, 2010

      14 박수정, "액션러닝을 적용한 교육행정학 강의에 대한 형성적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389-416, 2012

      15 Pink, D. H., "새로운 미래가 온다 : 미래 인재의 6가지 조건" 한국경제신문 2012

      16 Konno, N., "디자인 사고" 스펙트럼 북스 2012

      17 김병찬, "구성주의적 교사양성교육에서 예비교사들의 학습 특성" 한국교육행정학회 20 (20): 109-134, 2002

      18 김준호, "교사의 핵심역량이 학생의 학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19 한은정, "교사양성기관에서의 영화 제작 교육방법의 적용과 학습 경험 연구 : 스마트폰 영화 제작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2014

      20 손성호, "교사 생애주기별 핵심역량 모델링 및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21 소경희,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4-96, 2003

      22 Eisner, F. W., "What can education learn from the arts about the practice of education?" 5 (5): 2004

      23 Melekhina, M. B., "Recursive model of a methodical competency formation of a high school teacher in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8 (8): 142-149, 2015

      24 정재형, "N세대를 위한 새로운 영화/영상 교육" 집문당 2004

      25 Grzeda, M. M., "In competence we trust? Addressing conceptual ambiguity" 24 (24): 530-545, 2005

      26 Shandler, D., "Competency and the Learning Organization" Crisp Publications, Inc.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3 1.387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