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최저임금 급격한 인상이 성별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이 일어난 2017년과 2018년과 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44727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57(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최저임금 급격한 인상이 성별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이 일어난 2017년과 2018년과 비...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최저임금 급격한 인상이 성별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이 일어난 2017년과 2018년과 비슷한 시기 비교적 낮은 최저임금 인상률을 보인 2019년과 2020년 최저임금 영향집단의 성별 임금차이를 이중차분분석으로 비교하였으며 최저임금 영향집단과 미만집단, 차상위임금집단으로 구분하여 최저임금 영향권에 있는 집단을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저임금의 증가가 성별 임금격차를 가중하는 결과를 보여 최저임금의 인상이 성별 임금격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 rapid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on the gender wage gap using data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s Korea Labor Panel Survey. A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DID) was used to compare the gender wage differenc...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 rapid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on the gender wage gap using data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s Korea Labor Panel Survey. A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DID) was used to compare the gender wag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ffected by the minimum wage in 2019 and 2020, which showed a relatively low minimum wage increase rate at a similar time to 2017 and 2018, when the minimum wage increased sharply, and the groups 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minimum wage were analyzed together. As a result, the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increased the gender wage gap,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ender wage gap.
좋은 일자리 결정요인에 대한 남녀 차이 비교연구: AHP 기법을 활용한 우선순위 분석
글로벌 금융위기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다국적기업의 역할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