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한인 교회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지키며 오늘도 다양한 문화와 사회적, 제도적 차이를 극복하며 세계 각지에서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 한인 교회는 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36626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 신학과 , 2024. 8
2024
한국어
서울
; 26 cm
지도교수: 남성현
I804:11050-00000000878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해외 한인 교회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지키며 오늘도 다양한 문화와 사회적, 제도적 차이를 극복하며 세계 각지에서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 한인 교회는 전...
해외 한인 교회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지키며 오늘도 다양한 문화와 사회적, 제도적 차이를 극복하며 세계 각지에서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 한인 교회는 전례 없는 다양한 위기 앞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한인 교회가 선교적 교회로서의 정체성과 본질을 재확인하고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 과정에서 선교적 교회론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 한인 교회의 목회 철학과 조직 구조를 비롯한 사역 방향을 세밀히 분석하고 새롭게 적용할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는 교회 내 평신도 리더십, 특히 여성 평신도 리더십의 활성화를 강조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교회 구성원이 교회 내외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고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여성 평신도 리더십의 적극적 활용은 선교적 교회로서의 사명 뿐만 아니라, 지역 선교 전략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논문은 현지 교회 및 교단과의 디아코니아 협력 관계를 구축해야 하는 당위성에 대해 강조한다. 해외 한인 교회는 현지 교회와 함께 현지 지역 사회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예언자적 대화의 선교를 실천하기 위한 디아코니아 협력 방안을 연구하고 실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선교적 교회로서 여성 평신도 리더십을 적용하여 실천함으로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는 사이공드림교회의 사례를 소개하고,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사이공드림교회를 분석, 평가하여 해외 한인 교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제안 사항을 소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를 통해 해외 한인 교회가 직면한 도전과 문제를 극복하여 더욱 성숙하고 성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