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서울여자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명저 읽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명저 기반 교양 교육의 사례를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목표가있다. 명저는 “훌륭한 저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서울여자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명저 읽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명저 기반 교양 교육의 사례를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목표가있다. 명저는 “훌륭한 저술, ...
이 연구는 서울여자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명저 읽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명저 기반 교양 교육의 사례를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목표가있다. 명저는 “훌륭한 저술, 또는 이름난 저서”로 보편적 지식의 습득과 사고력,표현력의 증진, 인성 함양을 주요 목표로 하는 교양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될수 있다. 명저를 활용한 교양 교육의 사례를 확인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서울여자대학교에서 운영 중인 비교과 프로그램인 ‘명저 읽기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명저 읽기와 이에 대한 서평 쓰기가 결합된 프로그램으로 교내 전반적인 독서 분위기 조성과 인문학적 사고 함양, 인지 능력 강화, 다방면으로 학습할 수 있는 역량 개발 등을 목표로 한다. 2016년에 시작되어 2023년 10월 현재까지 운영되어 오면서 실제 로 대상 명저의 확대, 참여 학생 수의 증가, 참여 학생들이 실제로 읽은 명저의수 확대, 읽기와 쓰기의 연계 강화와 같은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명저 목록의 지속적인 확대, 명저 목록의 현실화가 요구되며 현재2, 3단계에 머물러 있는 독서의 단계를 주제별 통합 독서 단계에 해당하는 4단계로 향상하게 하는 심화된 프로그램의 운영도 필요하다는 것을 개선 방안으로제시하였다. 또한 참여 학생의 범위 확대가 요구되며 학생들의 참여 목적이 학생들의 역량 증진과 보다 긴밀하게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 현재 읽기와 쓰기와의 통합 단계에서 머물지 않고 말하기와의 통합을 모색해 보아야 한다는 점 등을 향후 과제로 도출하였다. 대학에서 교양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명저를 활용하고 있다. 그 사례 중 하나인 ‘명저 읽기 프로그램’을 자세히 분석하여 성과와 한계를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서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Seoul Women’s University’s Great Books ReadingProgram as a model for enhancing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renownedworks. Great books, defined as “excellent writings or famous books,” serveas tools for expanding knowledg...
This study examines Seoul Women’s University’s Great Books ReadingProgram as a model for enhancing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renownedworks. Great books, defined as “excellent writings or famous books,” serveas tools for expanding knowledge,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skills,and character development. The program, initiated in 2016, blends readingclassical works with writing reviews to cultivate a comprehensive readingculture, foster humanistic thinking, enhance cognitive abilities, and developmultifaceted learning competencies. Since its inception, the program hasexpanded its great books list, witnessed increased student participation, andimproved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writing. Accordingly, this researchrecommends continued expansion of the great books list and theintroduction of a more advanced Syntopic reading program at a 4th level.
Emphasizing broader student involvement and aligning participation goalswith competency enhancement, this study suggests exploring integrationwith speaking skills. It highlights how universities use diverse approacheslike the Great Books Reading Program, to advance liberal arts educationgoals, offering insights into its achievements, limitations, and valuablesuggestions for further enhance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 강옥희, "창의성과 비판적인 사고능력 개발을 위한 고전읽기 수업방안 연구 - 문학토론을 통한 <명저읽기>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543-578, 2016
3 박현희, "인성함양을 위한 구성주의적 고전 읽기 수업 모형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읽기 수업 사례 -" 한국수사학회 (26) : 63-105, 2016
4 박현희,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 읽기 강좌의 운영 특성과 효과 - 서울대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 묻다> 교과목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1-37, 2019
5 차윤정, "비교과 활동으로서 비평문 쓰기의 교육적 의미: ‘고전·명저 비평문 저자되기’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90 : 143-171, 2020
6 임연정, "문해력 기반의 통합적 고전읽기 교육 설계 고찰-<명저읽기>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25-37, 2022
7 김기호, "문제해결 구조에 기반한 읽기·토론·쓰기의 창의성 이해 - 영남대 「명저읽기와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문화학회 (79) : 35-61, 2015
8 Adler, J. M., "독서의 기술" 범우사 1993
9 변상출 ; 김현숙, "대학 교양교육의 심화발전 방안에 대한 재고(再考) -D대학교 『클라시카 자유학』 ‘고전교육’ 교과목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9-113, 2020
10 김영학, "대학 교양교과로서의 고전읽기 수업모형 연구 - 조선대학교 <명저읽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86) : 9-48, 2019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 강옥희, "창의성과 비판적인 사고능력 개발을 위한 고전읽기 수업방안 연구 - 문학토론을 통한 <명저읽기>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543-578, 2016
3 박현희, "인성함양을 위한 구성주의적 고전 읽기 수업 모형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읽기 수업 사례 -" 한국수사학회 (26) : 63-105, 2016
4 박현희,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 읽기 강좌의 운영 특성과 효과 - 서울대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 묻다> 교과목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1-37, 2019
5 차윤정, "비교과 활동으로서 비평문 쓰기의 교육적 의미: ‘고전·명저 비평문 저자되기’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90 : 143-171, 2020
6 임연정, "문해력 기반의 통합적 고전읽기 교육 설계 고찰-<명저읽기>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25-37, 2022
7 김기호, "문제해결 구조에 기반한 읽기·토론·쓰기의 창의성 이해 - 영남대 「명저읽기와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문화학회 (79) : 35-61, 2015
8 Adler, J. M., "독서의 기술" 범우사 1993
9 변상출 ; 김현숙, "대학 교양교육의 심화발전 방안에 대한 재고(再考) -D대학교 『클라시카 자유학』 ‘고전교육’ 교과목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99-113, 2020
10 김영학, "대학 교양교과로서의 고전읽기 수업모형 연구 - 조선대학교 <명저읽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86) : 9-48, 2019
11 손동현,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한국교양교육학회 3 (3): 5-22, 2009
12 정인모, "교양교육과 고전 읽기"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39 (39): 329-350, 2007
13 손다정 ; 김혜령, "교양 교육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과의 교육 내용 분석" 한국어학회 96 : 39-68, 2022
14 조혜경,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을 연계한 명저 읽기와 서평 쓰기 제안- 대구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677-698, 2017
15 권순구 ; 윤승준, "고전교육의 교육적 성과 분석 연구-역량, 효능감, 흥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61-173, 2020
16 윤승준, "고전교육, 교양필수 교과목 운영 사례: 단국대학교 <명저읽기>를 중심으로"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6) : 33-76, 2021
17 양승권, "‘전공 인정 교양과정’으로서 고전 읽기 프로그램 : 대구대학교 ‘클라시카 자유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18 이하준 ; 이종하,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423-448, 2014
19 김주언, "LAC 교과목으로서 「명저읽기」 강좌의 방향 설정을 위한 모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235-253, 2019
남북의 외래어 표기 비교 연구 -외국 국가명 표기를 중심으로-
『西友』와 『少年韓半島』의 언어 양상비교로 본 20세기 초의 한국어
사전 사용자를 고려한 국어사전의 체계와 방향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중심으로-
‘선택적’ 디아스포라의 세대와 미국 -재미작가 김용익⋅김은국과 문학적 영토의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