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북의 외래어 표기 비교 연구 -외국 국가명 표기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Loanword Orthography in South and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Spelling of Foreign Country Nam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48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남북의 외국 국가명의 표기를 비교함으로써 남북 간의 외래어 표기방식의 차이를 밝히고 그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남북 각각의 현행 표기로서 합리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자료에기반하여 외국 국가명의 외래어 표기 대조 목록 186건을 수집하였다.
      남북의 외국 국가명의 표기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는 전체 중 약 44%로, 남북이 각자의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는 경우 동일한 표기가 나타났다. 한편 일부자음이나 모음의 표기가 상이한 경우는 전체 중 약 47%로, 일부 자음의 표기가상이한 경우, 일부 모음의 표기가 상이한 경우, 일부 자음과 모음의 표기가 상이한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다. 남측에서는 외래어 표기법이 정연하게 적용되나,북측에서는 북측의 외래어 표기 규정이 실제 사례에서 일관되게 적용되지 않는사례가 빈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남북의 외국 국가명이 완전히상이한 경우도 약 9% 발견되었는데, 이는 남북에서 채택하는 원어가 상이하여표기도 상이한 경우와, 남과 북에서 국가명을 지칭하는 방식 자체가 상이하여 표기가 상이한 경우가 있었다.
      남과 북의 외래어 표기에서 차이가 생기는 원인은 거시적으로 채택 원어의 차이와 채택 발음의 차이라는 두 가지의 원인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미시적으로는북측의 규정과 괴리가 있는 관용적 외래어 표기의 사용, 북측의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지 못하는 규정 때문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남북의 상이한 표기 체계를 검토하고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표기의 이질성을 점검하였다는 데서 향후 남북의 정서법 통일이나 조정의 논의에서가치 있는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남북의 외국 국가명의 표기를 비교함으로써 남북 간의 외래어 표기방식의 차이를 밝히고 그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남북 각각의 현행 ...

      이 연구는 남북의 외국 국가명의 표기를 비교함으로써 남북 간의 외래어 표기방식의 차이를 밝히고 그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남북 각각의 현행 표기로서 합리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자료에기반하여 외국 국가명의 외래어 표기 대조 목록 186건을 수집하였다.
      남북의 외국 국가명의 표기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는 전체 중 약 44%로, 남북이 각자의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는 경우 동일한 표기가 나타났다. 한편 일부자음이나 모음의 표기가 상이한 경우는 전체 중 약 47%로, 일부 자음의 표기가상이한 경우, 일부 모음의 표기가 상이한 경우, 일부 자음과 모음의 표기가 상이한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다. 남측에서는 외래어 표기법이 정연하게 적용되나,북측에서는 북측의 외래어 표기 규정이 실제 사례에서 일관되게 적용되지 않는사례가 빈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남북의 외국 국가명이 완전히상이한 경우도 약 9% 발견되었는데, 이는 남북에서 채택하는 원어가 상이하여표기도 상이한 경우와, 남과 북에서 국가명을 지칭하는 방식 자체가 상이하여 표기가 상이한 경우가 있었다.
      남과 북의 외래어 표기에서 차이가 생기는 원인은 거시적으로 채택 원어의 차이와 채택 발음의 차이라는 두 가지의 원인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미시적으로는북측의 규정과 괴리가 있는 관용적 외래어 표기의 사용, 북측의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지 못하는 규정 때문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남북의 상이한 표기 체계를 검토하고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표기의 이질성을 점검하였다는 데서 향후 남북의 정서법 통일이나 조정의 논의에서가치 있는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orthography of foreigncountry nam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o achieve this, Icollected 186 lists of loanword spellings of foreign country names,relying on data that could be reasonably recognized as the currentspellings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In approximately 44% of cases, the spelling of foreign countrynames in South and North Korean was completely identical. In caseswhere South and North Korean followed their respective loanwordorthography, the same spelling was employed. However, in around47% of cases, differences were observed, manifesting as variations insome consonants, some vowels, or both. Notably, South Koreanloanword orthography adheres consistently to Korean norms, whereasNorth Korean loanword orthography displayed some inconsistencies inactual usage. Lastly, in about 9% of cases, the names of foreigncountries differed entirel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due todifferences in the source language and different ways of referring toforeign countr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basic data for futurediscussions of the unification or adjustment of the orthographies in South and North Korea. It achieves this through a comprehensivereview,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heterogeneity in spellingsbetween the two region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orthography of foreigncountry nam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o achieve this, Icollected 186 lists of loanword spellings of foreign country names,relying on data that could be reasonably recognized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orthography of foreigncountry nam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o achieve this, Icollected 186 lists of loanword spellings of foreign country names,relying on data that could be reasonably recognized as the currentspellings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In approximately 44% of cases, the spelling of foreign countrynames in South and North Korean was completely identical. In caseswhere South and North Korean followed their respective loanwordorthography, the same spelling was employed. However, in around47% of cases, differences were observed, manifesting as variations insome consonants, some vowels, or both. Notably, South Koreanloanword orthography adheres consistently to Korean norms, whereasNorth Korean loanword orthography displayed some inconsistencies inactual usage. Lastly, in about 9% of cases, the names of foreigncountries differed entirel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due todifferences in the source language and different ways of referring toforeign countr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basic data for futurediscussions of the unification or adjustment of the orthographies in South and North Korea. It achieves this through a comprehensivereview,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heterogeneity in spellingsbetween the two reg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어원, "한국 어문 규정집" 국립국어원 1-311, 2018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웹사전"

      3 교육도서출판사, "지리(고급중학교 제2학년용)" 평양고등교육도서인쇄공장 1-96, 2014

      4 사회과학출판사, "조선말대사전 4" 사회과학출판사 1-1670, 2017

      5 사회과학출판사, "조선말대사전 3" 사회과학출판사 1-1478, 2017

      6 사회과학출판사, "조선말대사전 2" 사회과학출판사 1-1798, 2017

      7 사회과학출판사, "조선말대사전 1" 사회과학출판사 1-1870, 2017

      8 국어사정위원회, "조선말 규범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어사정위원회 1-83, 2010

      9 김희진, "외래어 표기, 남북한이 어떻게 다른가" 국립국어원 6 (6): 73-104, 1996

      10 국어사정위원회, "외국말적기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어사정위원회 1-145, 2001

      1 국립국어원, "한국 어문 규정집" 국립국어원 1-311, 2018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웹사전"

      3 교육도서출판사, "지리(고급중학교 제2학년용)" 평양고등교육도서인쇄공장 1-96, 2014

      4 사회과학출판사, "조선말대사전 4" 사회과학출판사 1-1670, 2017

      5 사회과학출판사, "조선말대사전 3" 사회과학출판사 1-1478, 2017

      6 사회과학출판사, "조선말대사전 2" 사회과학출판사 1-1798, 2017

      7 사회과학출판사, "조선말대사전 1" 사회과학출판사 1-1870, 2017

      8 국어사정위원회, "조선말 규범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어사정위원회 1-83, 2010

      9 김희진, "외래어 표기, 남북한이 어떻게 다른가" 국립국어원 6 (6): 73-104, 1996

      10 국어사정위원회, "외국말적기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어사정위원회 1-145, 2001

      11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세계지도"

      12 박명수,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남북한 외래어 대조연구 :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생활어휘 교재의 외래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3 연규동, "북한의 외래어 -<조선말대사전>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7) : 169-195, 2003

      14 이관규, "북한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 양상과 과제" 한국어문교육연구소 (32) : 169-194, 2020

      15 국립국어원, "문체부 고시 「외래어 표기법」(제2017-14호)"

      16 국립국어원, "문체부 고시 「외래어 표기법」(제2014-0043호)"

      17 김민수, "남북한 언어의 차이(3)" 국립국어연구원 5 (5): 163-174,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