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장교사의 흡연청소년 지도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utoethnography on a Teacher’s Experiences of Guiding the Adolescent Smokers at Middle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19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공립중학교의 현장교사가 흡연청소년과의 교호작용을 드러내어 현행구제방안에 대한 문제점과 한계를 조명해보고 실천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문화기술지 연구...

      이 글은 공립중학교의 현장교사가 흡연청소년과의 교호작용을 드러내어 현행구제방안에 대한 문제점과 한계를 조명해보고 실천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채용하였으며 현장 메모, 교사성찰일지, 공공수하물과 자기회상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내용 분석과 구조 분석(Ellis, 2004)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학교는 흡연청소년들에 대한 적절한 교육적 이해와 접근이 필요하다.학교라는 토양의 시공간적 맥락에 대처한 지도교사와 흡연청소년의 영향력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서 흡연청소년을 지도하는 방식은 교내 규칙에 의한 낙인과 처벌만이 아닌 홍익인간을 구현하고 싶어하는 자율성의 전제가 그 해소책이라는 것이다. 둘째, 흡연청소년은 고구마줄기처럼 붙어다니며 ‘모험이행’을 하려는 시도를 하기에 타자를 경험하는 동료성으로 승화됨으로 차분한 학교 분위기 조성에 기여할 수있는 반전의 기회가 된다는 것이다. 셋째, 흡연청소년이 쉽게 임계점을 넘어 형성하는 반수업· 반학교적인 하위문화를 공식적인 문화로 흡수하는 연결망으로서 지도교사의 중심성이 네트워크 결절점으로 작동한다는 것이다. 넷째, 교사-흡연청소년의 유목적적인 일상의 경험활동이 누적되는 계속성의 원리가 상처를 치유하고 해방된 삶을 담보할 수있다는 것이다. 학교는 흡연청소년에 대하여 징계와 처벌의 대상으로 간주하고 학교 밖으로 배제와 추방을 하고 있으나,교사-흡연청소년 모두는 마땅히 해야 ‘할 일’ 을 해결하는 사고(思考)의 과정을 통해 상호간소속감과 인정을 받고 싶은 욕망이 있다. 하루종일 거주하는 실지 시공간으로서 학교(school)의 본래적인 여유(schole)가 회복될 때에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해법을 모색해볼 수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issue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ways of treating the student smokers and exploring alternative ways to deal with them through transacting with them at a public middle school. To this end, auto-ethnography techniq...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issue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ways of treating the student smokers and exploring alternative ways to deal with them through transacting with them at a public middle school. To this end, auto-ethnography technique is employed, along with the memos in the field, teacher’s inspection journal, official letters and self-reminiscence materials. Contents Analysis and Structure Analysis (Ellis, 2004) are adopted to handle the collected materials. The school authorities need a more appropriate educational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ward young smokers. At the school setting at the current time and space, the specific study results on teachers’ influence of the smoking students are as follows: A better way to treat smokers at school is not through stigmatizing or punishing them but through believing that they have inborn propensity that they want to realize the spirit of ‘Hongik Ingan’ - live and work for the benefit of all mankind. Second, they hang out together like peas in a pod, trying risky shifts, experiencing others, and in turn, creating tight fellowship, an ironical opportunity to create a more peaceful atmosphere on campus. On the other hand, to absorb their anti-class and anti-school sub-culture that the smokers easily create at school, teacher’s role to embrace them is critical. Finally, on reflection that rationalism has caused people to feel alienated from their real life, accumulative experiences of teacher-smokers’ meaningful activities might guarantee their healing and liberated life. The current Korean schools treat adolescent smokers as a target of disciplinary actions and punishments, finally driving them out for the elimination from school. Teachers and student smokers, however, know what they are supposed to do at school and want to do it. When a school restores its original time and space it can afford, only then, various ways to help them do it can be pursu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