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rality and the collectivity are preconditions for proper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Clean Tamir River”, since they contains the writer’s ideology and spirit. The orality of “Clean Tamir River” is shown in its short sentence, convers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47944
이성준 (제주대학교)
2015
Korean
Clean Tamir River ; orality ; collectivity ; proverbs ; folk songs ; short sentence ; intervention of the speaker ; 맑은 타미르강 ; 구술성 ; 민중성 ; 속담 ; 민요 ; 짧은 문장 ; 화자 개입
KCI등재
학술저널
103-131(2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rality and the collectivity are preconditions for proper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Clean Tamir River”, since they contains the writer’s ideology and spirit. The orality of “Clean Tamir River” is shown in its short sentence, conversa...
The orality and the collectivity are preconditions for proper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Clean Tamir River”, since they contains the writer’s ideology and spirit. The orality of “Clean Tamir River” is shown in its short sentence, conversation-centered narrative, intervention of the speaker, question to the audience, direct exposure of the speaker’s feeling.
However, utilizing proverbs and folk songs can be seen as its significant orality. Proverbs are linguistic heritages that imply agelong experience, lessons, value, and wisdom of the people. 97 proverbs are used 102 times in “Clean Tamir River”. It is a significant narrative technique in the way that the proverbs try to convey lessons and truth of life to readers as well as the people’s wisdom, view of life, value, and consciousness. Folk songs are the most popular and self-sufficient art. Rodoidamba expresses the people’s life and consciousness vividly using this character of folk songs.
Furthermore, they turn the lively life in Mongolia into a movie strengthening the factor of background music. Thus, “Clean Tamir River” embodies the dynamic life of Mongolian and shows their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orality and popularity.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문, "한국의 속담" 삼성미술문화재단 1976
2 장두식, "한․몽 소설의 의적 모티프 비교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0) : 329-354, 2011
3 마샬 맥루한, "쿠텐베르크 은하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4 엄병섭, "조선속담집" 평양 1992
5 김영돈, "제주민의 삶과 문화" 제주 2003
6 고재환, "제주도속담의 주제"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7 : 1988
7 김영돈, "제주도 민요연구" 민속원 2002
8 장두식, "유목문화와 말(馬)-"맑은 타미르 강"에 나타난 말 형상을 중심으로" 한국몽골학회 (34) : 423-445, 2013
9 유원수, "세계의 소설가 1"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1
10 제라르 쥬네뜨, "서사담론" 교보문고 1992
1 이기문, "한국의 속담" 삼성미술문화재단 1976
2 장두식, "한․몽 소설의 의적 모티프 비교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0) : 329-354, 2011
3 마샬 맥루한, "쿠텐베르크 은하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4 엄병섭, "조선속담집" 평양 1992
5 김영돈, "제주민의 삶과 문화" 제주 2003
6 고재환, "제주도속담의 주제"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7 : 1988
7 김영돈, "제주도 민요연구" 민속원 2002
8 장두식, "유목문화와 말(馬)-"맑은 타미르 강"에 나타난 말 형상을 중심으로" 한국몽골학회 (34) : 423-445, 2013
9 유원수, "세계의 소설가 1"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1
10 제라르 쥬네뜨, "서사담론" 교보문고 1992
11 이선옥, "사회주의 문학의 새로운 접근: 이데올로기, 寫實, 대중성―맑은 타미르강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러시아연구소 8 : 2012
12 맥루언,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2002
13 강톨가, "몽골의 역사" 동북아역사재단 2009
14 최형원, "몽골비사의 종합적 연구" 민속원 2006
15 이승준, "몽골 근대사의 문학적 형상화 -차드라발 로도이담바의 '맑은 타미르 강' 연구-" 한중인문학회 (31) : 325-346, 2010
16 차드라빌 로도이담바, "맑은 타미르강 1ㆍ2" 민음사 2007
17 현평효, "논문집: 인문ㆍ사회과학편 11" 제주대학 1979
18 김현주, "구술성과 한국서사전통" 월인 2003
19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文藝出版社 1995
20 김선풍, "韓ㆍ蒙 俗談의 對比―動物素材 俗談을 中心으로"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 2 : 1990
21 월터 J. 옹, "言語의 現存" 探求堂 1985
Орчин цагийн монгол хэлний нэгдүгээр биеийн олон тооны төлөөний үгсийн тухай ажигласан нь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KAFMS -> KAMS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2-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 TKAFMS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3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3 | 0.501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