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내담자의 자살을 경험한 미술심리치료사의 이야기를 탐구하 는 과정이다. 연구자가 ‘자살’이라는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미술 심리치료사가 되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72493
서울 :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25
학위논문(박사) --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 표현예술치료학과 , 2025. 2
2025
한국어
서울
; 26 cm
지도교수: 김나영
I804:11036-20000085935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내담자의 자살을 경험한 미술심리치료사의 이야기를 탐구하 는 과정이다. 연구자가 ‘자살’이라는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미술 심리치료사가 되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고...
이 연구는 내담자의 자살을 경험한 미술심리치료사의 이야기를 탐구하 는 과정이다. 연구자가 ‘자살’이라는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미술 심리치료사가 되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고 학업을 하던 과정에서 자살을 시도한 내담자를 만났을 때부터이다. 집단 미술심리치료를 진행하는 과정 에서 일어난 내담자의 자살 시도는 연구자로 하여금 ‘자살’이라는 주제 에 관심을 갖도록 이끌었고, 이후 미술심리치료사가 되어 임상에서 내담 자를 만나는 16년 동안 연구자에게 ‘자살’은 지속적으로 중요한 주제가 되었다. 자살예방 전문가가 되고, 자살이 이슈를 가진 내담자를 심리치료 현장 에서 만나 상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종결된 내담자의 자살을 경험하였다. 갑작스러운 내담자의 자살을 애써 외면하면서 지내던 중 심 리치료를 받고 있던 내담자의 자살을 다시 경험한 이후 연구자는 ‘내담 자의 자살 경험이 미술심리치료사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미술 심리치료사에게 내담자의 자살은 어떤 경험인가’에 대해 지속적으로 질 문하고 답을 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신을 마주하였다.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는 연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구성하고 심층적으로 성찰하면서 연구의 주요한 자료로 활용하는 질적 연구 방법이 다. 특히 이 연구 방법론은 개인적 경험과 사회적 맥락이 어떻게 상호작 용하며 형성되는지를 탐구하는데 초점을 둔다. 연구자는 내담자의 자살을 경험한 미술심리치료사인 연구자의 경험에 대해 질문하고 분석하고 이해 하기 위해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선택하고 연구자의 경험을 이야기로 재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자가 미술심리치료를 전문적으로 배우기 시작한 시기부 터 임상현장에서 미술심리치료 전문가로 활동하는 현재까지로 이어진다. 연구자의 자전적 탐구를 통한 이야기는 연구 주제와 관련된 의미 있는 경 험들을 중심으로 세 장의 핵심 장면으로 구성되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심리치료를 전문적으로 배우다’에서 연구자는 삶의 방향 을 잃고 고민하던 중 미술심리치료를 만나 나를 찾아가는 경험을 통해 미 술심리치료사의 정체성을 만들어가면서 내담자의 치유를 돕고 미술심리치 료사로 기능하기 시작한다. 둘째, ‘미술심리치료사가 경험한 내담자의 자살’에서 연구자는 내담자의 자살 이후 미술심리치료사의 존재, 역할, 정체성, 전문성, 윤리성에 대해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하는 과정에서 내 담자의 자살 사건을 수용하였고, 내담자 존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셋째, ‘미술심리치료사가 경험한 내담자의 자살, 그 이후’에서는 미술 심리치료사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전문가로서의 삶과 개인의 삶의 균형 을 맞춰간다. 이 연구에서 구성된 경험의 이야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미 술심리치료사가 경험한 내담자의 자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의미를 도출하 였다. 첫째, 연구자는 내담자의 자살로 상처를 받았음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미술심리치료사의 역할과 존재를 확인하였다. 둘째, 연구자는 내담자의 자살로 인해 미술심리치료에서 내담자 존재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셋 째, 연구자는 내담자의 자살로 인해 고통을 경험했지만 미술심리치료사의 정체성을 재확인하고 미술심리치료사의 전문성과 윤리성을 재점검하는 과 정에서 실존하는 미술심리치료사로 거듭날 수 있었다. 넷째, 내담자의 자 살을 통해 연구자는 죽음은 곧 삶을 의미하며 분리되지 않고 공존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현재, 지금 이 순간에 충실해야 하는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내담자의 자살은 미술심리치료사인 연구자에게 고통스러운 경험이지만 자살예방전문 지식을 갖춘 실존하는 미술심리치료사로 성장할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해 준 시간이기도 하며, 연구자를 성찰로 이끌어준 과정이기도 하였다. 연구자의 경험을 탐색하는 과정은 내담자의 자살을 경험한 심리 치료전문가와 예술심리치료사, 그리고 동료 미술심리치료사에게 내담자의 자살에 대한 심리적 변화와 정보를 제공하고, 자기분석과 미술작업을 통 한 자기 치유의 과정에 대한 안내자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미술심리치료사의 정체성을 가지고 내담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미술심리 치료사의 존재 의미를 찾고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 로 기대한다. 주요어: 미술심리치료사, 심리치료사의 내담자 자살 경험, 자전적 내러티 브 탐구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