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에마뉘엘 레비나스-분리와 회귀로서의 현상학적 방법에 대하여 = Emmanuel Lévinas-la séparation et récurrence comme méthode phénoménologiq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22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레비나스의 사상을 윤리-종교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기보다 그 자신이 자신의 글쓰기의 기원이라고 했던 현상학의 관점에서, 특히 그의 현상학적인 방법론으로부터 그의 철학을 밝혀보려는 한 시도이다. 후설과 하이데거에 대한 비판에 이어지는 윤리적인 전회 후에도, 그가 고백하듯이 그가 현상학자라면, 어떤 측면에서 우리는 그를 여전히 현상학자라고 부를 수 있는가? 그의 철학을 총괄하는 하나의 현상학적인 방법이 있는가? 레비나스는 『전체성과 무한』에서 그 책의 목적을 두 가지로 말한다. 하나는 무한에 이념에 근거한 “주체성의 변호”이며, 다른 하나는 현상학적인 초월성으로서의 객관성이나 세계의 개념과 구별되는 “초월성의 확립”이다. 주체의 주체성과 타자의 초월성을 동시의 자신의 철학 안에서 유지하고자 노력한 레비나스의 철학적인 기획은 그의 사유의 초기부터 그의 마지막 저서까지를 요약하는 하나의 핵심적인 주제를 형성한다. 이 글은 바로 레비나스가 이 두 목적을 “분리와 회귀”라는 현상학적인 방법을 통해 실현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다시 말해, 이 글에서 우리는 분리와 회귀라는 이 주체의 운동을 주체의 한 시대에 한정된 특수한 모습이 아니라, 주체가 자기로부터 분리되어 나와 자기로 돌아가는 ‘주체의 주체화(la subjectivation du sujet)’ 또는 ‘주체의 자기 동일화’(l'identification du sujet)의 운동의 일반적인 원리로서 주체는 이 운동을-후설의 에포케와 환원에 대응하는-통해 자신을 ‘동일자 안의 타자’(l’autre dans le meme), 또는 ‘타자를 위한 주체’(l'un-pour-l"autre)로 자신을 발견하며, 그 안에서 비로소 주체는 현상학의 세계 개념과 구분되는 초월성을 체험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레비나스의 사상을 윤리-종교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기보다 그 자신이 자신의 글쓰기의 기원이라고 했던 현상학의 관점에서, 특히 그의 현상학적인 방법론으로부터 그의 철학을 밝혀...

      이 글은 레비나스의 사상을 윤리-종교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기보다 그 자신이 자신의 글쓰기의 기원이라고 했던 현상학의 관점에서, 특히 그의 현상학적인 방법론으로부터 그의 철학을 밝혀보려는 한 시도이다. 후설과 하이데거에 대한 비판에 이어지는 윤리적인 전회 후에도, 그가 고백하듯이 그가 현상학자라면, 어떤 측면에서 우리는 그를 여전히 현상학자라고 부를 수 있는가? 그의 철학을 총괄하는 하나의 현상학적인 방법이 있는가? 레비나스는 『전체성과 무한』에서 그 책의 목적을 두 가지로 말한다. 하나는 무한에 이념에 근거한 “주체성의 변호”이며, 다른 하나는 현상학적인 초월성으로서의 객관성이나 세계의 개념과 구별되는 “초월성의 확립”이다. 주체의 주체성과 타자의 초월성을 동시의 자신의 철학 안에서 유지하고자 노력한 레비나스의 철학적인 기획은 그의 사유의 초기부터 그의 마지막 저서까지를 요약하는 하나의 핵심적인 주제를 형성한다. 이 글은 바로 레비나스가 이 두 목적을 “분리와 회귀”라는 현상학적인 방법을 통해 실현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다시 말해, 이 글에서 우리는 분리와 회귀라는 이 주체의 운동을 주체의 한 시대에 한정된 특수한 모습이 아니라, 주체가 자기로부터 분리되어 나와 자기로 돌아가는 ‘주체의 주체화(la subjectivation du sujet)’ 또는 ‘주체의 자기 동일화’(l'identification du sujet)의 운동의 일반적인 원리로서 주체는 이 운동을-후설의 에포케와 환원에 대응하는-통해 자신을 ‘동일자 안의 타자’(l’autre dans le meme), 또는 ‘타자를 위한 주체’(l'un-pour-l"autre)로 자신을 발견하며, 그 안에서 비로소 주체는 현상학의 세계 개념과 구분되는 초월성을 체험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들어가는 말
      • 2. 자기로부터의 탈출
      • 3. 분리와 회귀
      • 4. 나가는 말
      • 【요약문】
      • 1. 들어가는 말
      • 2. 자기로부터의 탈출
      • 3. 분리와 회귀
      • 4.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남인, "후설의 현상학과 현대 철학" 풀빛미디어 2006

      2 강연안, "타인의 얼굴-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2005

      3 Levinas, Emmanuel, "존재에서 존재자로" 민음사 2001

      4 Boehm, Rudolf, "“Le fondamental est-il essentiel?”, Revue philosophique de Louvain, 1966, Tome 64. pp. 373-389"

      5 Platon, R?ublique, "Trad. R. Baccou, Paris, Garnier-Frammarion, 1966"

      6 Levinas, Emmanuel, "Totalite et infini, Essai sur l’exteriorite, La Haye, Martinus Nijhoff, 1961, Le Livre de Poche, 1990*"

      7 Ricoeur, Paul, "Soi-m?e comme un autre" Seuil 1990

      8 Hegel, "Phenomenologie de l’esprit, Trad. Fr. par J. Hyppolite, Paris, Aubier, t. I, 1941"

      9 Husserl, Edmund, "M?itations cart?iennes, Trad. E. L?inas et G. Peiffer, Paris, Vrin, 1996"

      10 Sartre, Jean-Paul, "L’etre et le neant" Gallimard 1943

      1 이남인, "후설의 현상학과 현대 철학" 풀빛미디어 2006

      2 강연안, "타인의 얼굴-레비나스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2005

      3 Levinas, Emmanuel, "존재에서 존재자로" 민음사 2001

      4 Boehm, Rudolf, "“Le fondamental est-il essentiel?”, Revue philosophique de Louvain, 1966, Tome 64. pp. 373-389"

      5 Platon, R?ublique, "Trad. R. Baccou, Paris, Garnier-Frammarion, 1966"

      6 Levinas, Emmanuel, "Totalite et infini, Essai sur l’exteriorite, La Haye, Martinus Nijhoff, 1961, Le Livre de Poche, 1990*"

      7 Ricoeur, Paul, "Soi-m?e comme un autre" Seuil 1990

      8 Hegel, "Phenomenologie de l’esprit, Trad. Fr. par J. Hyppolite, Paris, Aubier, t. I, 1941"

      9 Husserl, Edmund, "M?itations cart?iennes, Trad. E. L?inas et G. Peiffer, Paris, Vrin, 1996"

      10 Sartre, Jean-Paul, "L’etre et le neant" Gallimard 1943

      11 Janicaud, Dominique, "Le tournant theologique de la phenomenologie francaise" de l’Eclat 1991

      12 Levinas, Emmanuel, "Le temps et l’autre" Quadrige 1983-, 1948

      13 Levinas, Emmanuel, "Humanisme de l’autre homme, Montpellier, Fata Morgana, 1972, Le Livre de poche, 1987*"

      14 Sartre, Jean-Paul, "Huis clos" folio 1947

      15 L?inas, Emmanuel, "Ethique et infini, dialogues avec P. Nemo, Paris, Fayard, 1982, Le Livre de Poche, 1984*"

      16 Rivelaygue, Jacques, "Essence et fondement: Actualite de la “doctrine de l’essence" Grasset 1990

      17 Levinas, Emmanuel, "Entre nous, Essais sur le penser-a-l’autre" Le Livre de Poche 1993

      18 Levinas, Emmanuel, "En decouvrant l’existence avec Husserl et Heidegger" augmentee 1949

      19 Foiri? Fran?is, "Emmanuel L?inas Qui ?es-vous?, Lyon, La Manufacture, 1987"

      20 L?inas, Emmanuel, "Dieu, la mort et le temps" Le Livre de poche 1995

      21 Levinas, Emmanuel, "De l’existence a l’existant" Paris, Vrin 1947

      22 Levinas, Emmanuel, "De l’evasion (1935), Montpellier, Fata Morgana, ed. annotee par J. Rolland 1982, Le Livre de Poche, 1998*"

      23 Levinas, Emmanuel, "De Dieu qui vient a l’idee" Vrin 1982

      24 Sartre, Jean-Paul, "Cahiers Confrontation n?20, Apr? le sujet, qui vient? r?lis?par Jean-Luc Nancy"

      25 Levinas, Emmanuel, "Autrement qu’etre ou au-dela de l’essence, La Haye, Martinus Nijhoff, 1974, Le Livre de Poche, 1991*"

      26 "Aristote, M?aphysique, Trad. J. Tricot, Paris, Vrin, 1991"

      27 Levinas, Emmanuel, "Alterite et transcendance, Montpellier" Fata Morgana 1995

      28 Derrida, Jacques, "Adieu ?Emmanuel L?inas" Galil?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철학과 현상학 연구 -> 현상학과 현대철학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4 1.301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